• Title/Summary/Keyword: 구조물거동대응성능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Standard Establishment of Adhesive Composite Waterproofing Sheets (점착형 복합 방수시트의 표준(안)제정을 위한 구조물 거동대응성능 시험방법 개선 및 검증 평가 연구)

  • Kim, Soo-Yeon;Park, Jong-Sun;Oh, Sang-Ke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4
    • /
    • pp.377-386
    • /
    • 2021
  • In April 2019, this study was enacted as a test method for the performance of waterproof layers in an environment where complex deterioration and structural behavior are simultaneously applied, but some existing standards were implemented to point out the errors of the method that should be supplemented. Thus, in establishing standards for (tentative) adhesive waterproofing sheets, field workability and quantification of test results were studied on the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test methods included as test item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dhesive-type composite waterproof sheet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sidered contents to review improvements such as applicability as an item of standard standards and field workability related problems.

Structure movement-coping Waterproofing technology application for Railroad facilities (철도시설에 있어서의 구조물 거동대응형 방수기술의 적용)

  • Cho, Il-Kyu;Lee, Jong-Yong;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0.06a
    • /
    • pp.1964-1969
    • /
    • 2010
  • Recently, as construction market scale is getting bigger and transportation industry is develop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such as subway, tunnel (excavation box) or shield tunnel structure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its demand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for the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ed underground, the water leakage is occurred due to th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joint, or movement, uneven settlement, excessive load and vibration during application causing cracks. Many waterproofing method and materials are used in jobsites, but areas such as underground railroad and subway that has movement and vibration at all times, the ability of waterproofing layer is declined causing repetitive water leakage due to crack, erosion and separation, which is a vicious cycle.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responsiveness to a movement for adhesive/flexible waterproofing material that can cope with the vib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structure. Also to recommend a waterproofing technology that can cope with structure movement through examples of actual jobsite applications such as subway and tunnel where there are constant movement and vibration.

  • PDF

Limitations of Structural Behavior Response Performance Evaluation for Waterproofing Materials Under Non-Constrained Condi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Measures (방수재료의 거동대응성능 시험시 비 구속조건에서의 구조물 거동 대응성능 평가의 한계와 향후 개선 방안 제안)

  • An, Ki-Won;Oh, Gyu-Hwan;Kim, Soo-Yeon;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11a
    • /
    • pp.212-213
    • /
    • 2021
  • As structure and the waterproofing material are compressed through the backfilling process after the waterproof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at the actual sit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behavioral response force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in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behavioral response force in the non-constrained state. In this regard, we will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ructural behavioral response evaluation and suggest an improvement plan so that the future test and evaluation environment can be evaluated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e field.

  • PDF

Safety Evaluation Development of Bridge (교량의 안전성 평가 기법 개발)

  • Kong, Jung-Sick;Lee, Won-Woo;Kim, Jung-Hoon;Jung, Jin-So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6-169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량구조물의 성능평가방법으로는 크게 공용하중에 대한 내하율을 구하기 위하여 허용응력개념이나 강도설계 개념을 적용한 내하력 평가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의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공용연수의 경과에 따른 재료 및 구조적 성능의 손실과 여러 가지 하중 및 환경적 요인들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상 및 열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그리고 제원 및 재료물성치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존 설계 자료의 DB 부족으로 기존의 평가방법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성능저하를 정확히 산정할 수 없어 이론상의 값과 실제 구조물과의 차이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용년수 경과에 따른 시설물의 재료 구조적인 성능 및 거동분석 수행, 신뢰성 해석 수행을 바탕으로 교량 안전성 평가의 합리성 및 현실성을 제고하며, 구조 신뢰성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구조물의 강도 한계상태에 대한 파괴확률을 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Performance Criteria and Improving Method of Firestop Systems in Fire Compartmentation - Focused on Through-Penetration Sealing System - (방화구획 내화충전구조의 성능기준 현황 및 개선방안 - 설비관통부 충전시스템을 중심으로 -)

  • Yeo, In-Hwan;Yoon, My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4-359
    • /
    • 2010
  • 최근 성능기준에 의한 평가규정이 시행된 건축물 내화충전구조에 대해 관련 제도운영체계와 국내외 성능평가방법 및 성능기준을 살펴본 후 현재 기준의 보완점과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내화충전구조는 방화구획의 기능을 완성시키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연구개발 및 시장활성화가 필요하며, 현장 품질을 확보 유지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한편 내화성능 뿐만 아니라 구조거동에 대한 대응 및 내구성에 대한 기술기준의 보완 마련이 필요하다.

  • PDF

Safety Evaluation Development of Urban Structures Using Removal Bridge (철거 교량을 활용한 도시시설물의 안전성 평가 기법 개발)

  • Lee, Won Woo;Kim, Jung Hoon;Kang, Chang Mook;Kong, Jung 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81-81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량구조물의 성능평가방법으로는 크게 공용하중에 대한 내하율을 구하기 위하여 허용응력개념이나 강도설계 개념을 적용한 내하력 평가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의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공용연수의 경과에 따른 재료 및 구조적 성능의 손실과 여러 가지 하중 및 환경적 요인들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상 및 열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그리고 제원 및 재료물성치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존 설계 자료의 DB 부족으로 기존의 평가방법에서는 이러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성능저하를 정확히 산정할 수 없어 이론상의 값과 실제 구조물과의 차이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용년수 경과에 따른 시설물의 재료 구조적인 성능 및 거동분석 수행, 신뢰성 해석 수행을 바탕으로 교량 안전성 평가의 합리성 및 현실성을 제고하며, 구조 신뢰성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구조물의 강도 한계상태에 대한 파괴확률을 산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1. 재료 강도, 부재 제원, 긴장력, 작용하중 등에 있어 설계 시 가정과 실제 사용 환경 사이의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 연구 수행 결과 일반 정밀진단 및 해석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하고 중요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된 성능평가 기법이 제안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Nonlinear Seismic Behavior of a Biaxial Hollow Slab (2방향 중공슬래브 구조시스템의 비선형 지진거동 평가)

  • Park, Yong-Koo;Kim, Hyun-Su;Ko, Hyun;Park, Hyun-Jae;Lee, Dong-Guen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1-10
    • /
    • 2011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noise isolation capacity of floor slabs, and thus an increase of slab thickness is required. In addition, long span floor systems are frequently used for efficient space use of building structures. In order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a biaxial hollow slab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verify the structural capacity of a biaxial hollow slab system, safety verification against earthquake loads is essential. Therefore, the seismic behavior of a biaxial hollow slab system has been investigated using material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es. For efficient time history analyses, the equivalent plate element model previously proposed was used and the seismic capacity of the example structure having a biaxial hollow slab system has been evaluated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 developed by the equivalent frame method. Based on analytical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ismic capacity of a biaxial hollow slab system is not worse than that of a flat plate slab system with the same thickness.

Performance Test Method on the Influence Waterproofing as Behavior of Concrete Structure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방수층의 대응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Noh Jong-Soo;Kwon Shi-Won;Kwak Kyu-Sung;Kwon Kee-Joo;Oh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v.y2004m10
    • /
    • pp.77-81
    • /
    • 2004
  • The massive structures are not free to move with vibration, differential settlement, thermal stresses because, construction and expansion joint, crack etc., can be large enough to cause leakage as deformation of waterproofing. It has been depended on the test method of tensile/tear strength which is waterproofing performance as behavior of concrete structure crack. However, not to practically confirm the creep applied to concrete surface, even waterproofing membrane have more performance than definite strength and elasticity. Therefore, i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test method to consider a resistance performance about loose adhesion and deformation of waterproofing and behavior of concrete structure as construction/expansion joint, crack. Performance test method on the influence as behavior of concrete structure crack is to choose waterproof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which possible to confront with behavior of 50mm crack in the atmosphere and low temperature. Examine the deformation of waterproofing membrane and loose adhesion which can occur to structure in general job site, suggest standard testing method to analyze correlation waterproofing membrane and structure with 5-types of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such as Adhesion membrane and sheet complex, sheet and urethane complex, self-adhesive sheet, spray poly-urea, spray membrane of rubberized Asphalt.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Two-phase Flow in Pipes Using Electrical Conductivity Meter (전기전도계를 이용한 관 내 이상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 Lee, Kyungsu;Cho, Hanil;Lyu, Siwan;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56-460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하천 저류능력의 감소 및 부적절한 하수시설의 설계로 도시유역의 홍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적극적인 구조물적 홍수방어대책으로 대심도터널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외국에서는 대심도터널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실제 설치 및 운영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홍수 방어용 대심도터널의 설치 및 운영된 사례가 없고 설계 및 시공과 관련한 기준 및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터널 내부에서의 이상흐름 거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터널을 모형화한 수평관에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경 100 mm 투명 아크릴관으로 제작된 수평관 내부를 흐르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전기전도계를 이용하여 유속변화에 따른 관에서의 물-공기 혼합 이상흐름의 거동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터널 계통 전반에서의 물-공기(이상류) 거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심도터널 내부 공기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로 흐름의 안정화 및 그에 따른 수리성능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도시지역의 집중강우로 인한 수방재 대응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the state of art of fire engineering design in USA (미국의 건축물 내화설계절차에 관한 연구)

  • Park, Su-Jin;Park, Sang-Hyo;Hong, Hwa-Young;Kwon, 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17-320
    • /
    • 2012
  •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기술의 향상으로 건물은 점점 고층화, 다양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건물에서 화재 시 대응방안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건물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에 따른 건물의 화재거동 또한 건물 내의 가연물의 양, 종류 및 건물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건물의 내화성능을 충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재로 인한 인명과 구조적 피해를 줄이고 보다 안전한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미국의 건축물 내화설계 절차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성능적 내화설계법을 도입하기 위한 기반자료를 도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