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모형분석

Search Result 4,21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CART분석을 이용한 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 Lee, Jae-Myung;Kim, Tae-Ho;Lee, Yong-Taeck;Won, Jai-Mu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31-39
    • /
    • 2008
  • Preventing the traffic accident by accurately predicting it in advance can greatly improve road traffic safety. The accurat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requires not only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cause the accident but also having the transferability of the model. So, this paper suggest the traffic accident diagram using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developed Model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in order to test the goodness of 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CART analysis is developed. Second, distance(D), pedestrian shoulder(m) and traffic volume among the geometrical factors are the most influential to the traffic accident. Third. CART analysis model show high predictability i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odels. This study suggest the basic ideas to evaluate the investment priority for the road design and improvement projects of the traffic accident blackspots.

  • PDF

Multi-dimension Categorical Data with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차원 범주형 분석)

  • Kim, Yong-Chul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1 no.2
    • /
    • pp.169-174
    • /
    • 2018
  • In general, the methods of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for the continuous data and the chi-square test for the discrete dat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 and the association. In multidimensional data, analysis of hierarchical structure is required and statistical linear model is adopted. The structure of the linear model requires the normality of the data. A multidimensional categorical data analysis methods are used for causal relations, interaction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this paper, Bayesian network model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is proposed to reduce analysis procedure and analyze interactions and causal relationships in categorical data analys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Modeling of Information Need Using Stereotype of Question Structures (질문구조의 전형을 이용한 정보요구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 김기영;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5.08a
    • /
    • pp.17-20
    • /
    • 1995
  • 본 연구는 질의어 확장 및 단기 이용자 모형 구축에 응용할 수 있는 하나의 기법으로서 이용자 질문구조의 전형을 통한 정보요구의 모형화를 실험을 통해 제시한다. 실험방법은 이용자의 질문을 시소러스를 통해 분석, 구조화 하고 그 질문구조에서 전형을 추출한 후 전형에 따라 요구하는 정보가 질문구조내에 일정하게 위치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6가지 질문구조 전형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질문구조의 전형을 이용한 정보요구 모형의 구축이 타당성이 있음을 입증하였고 지능형 정보검색 시스템에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PDF

Fitting Distribution of Accident Frequency of Freeway Horizontal Curve Sections & Development of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고속도로 평면선형상 사고빈도분포 추정을 통한 음이항회귀모형 개발 (기하구조요인을 중심으로))

  • 강민욱;도철웅;손봉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97-204
    • /
    • 2002
  • 교통사고예측 및 예방을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도로설계과정에서 제어가 가능한 도로 기하구조요소에 대한 사고관계를 파악함이 타당하다. 즉, 도로의 설계자는 도로건설에 앞서 기하구조요소와 사고와의 관계를 현장자료를 통해 정확히 밝혀 도로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의 빈도분포를 박히는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일이며, 교통사고 예측모형개발에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건수의 경우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분산(overdispersion)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음이항 분포를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고모형의 개발에 앞서, 사고발생지점에 대한 도로설계요소와 기타 잠재적인 사고발생 관련요인이 비교적 잘 파악되어있는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평면 선형상 곡선부에 대하여 교통사고의 분포를 적합도 검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고자료는 한국도로송사의 호남고속도로 5년(1996∼2000)간 자료를 분석에 맞게 정리하였으며, 강민욱과 송봉수(2002)에서 제시한 평면선형에 있어서의 구간분할법을 이용하여 배향곡선구간과 단일곡선구간에 대한 사고분석을 하였다. 적합도 분석결과, 예상대로 음이항분포가 사고건수를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구간분할법을 적용한 음이항회귀모형의 경우, 기존의 확률회귀토형에 비하여 높은 결정계수를 갖았으며, 모형에서 적용된 기하구조요소로는 차량 노출계수, 곡선반경, 단위거리 당 편경사변화값 등이다.

인력계획의 통계적 이해와 적용

  • 조관호;이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7-103
    • /
    • 2004
  • 인력계획업무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량적인 모형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핵심적인 모형은 미래의 인력운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인력운영예측모형, 인력구조, 인사제도, 인력흐름간의 수리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인력구조 분석모형, 인력운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진급계획 최적화 모형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형 개발 시 적용한 통계적 방법론을 설명하고 주요 통계적 이슈를 제기하였다

  • PD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lication to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basins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수문특성 평가 :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 Kim, Soeun;Lee, Jinwook;Lee, Munseo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7-387
    • /
    • 2021
  •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는 가뭄, 홍수 등의 피해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 예로 2020년 여름 장마는 1973년 이후로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되었다. 이 장마는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평균 858 mm의 강수량을 발생시켰다. 장마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는 도시침수와 하천범람이 발생하였으며 인적 그리고 물적인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극한강수의 미래변화는 평균 강수량의 증가와 더불어 빈도도 증가하리라 전망한다. 따라서 심화되는 극한 기우 현상의 피해를 대비하기 위해서 수문순환이라는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구조방정식모형은 특정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변량 분석방법 중 하나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 자연과학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관측된 자료가 이론 및 경험을 토대로 구축된 모형과 충분히 부합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구조방정식모형은 변수 간의 영향의 크기와 영향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모형에 대한 통계적인 평가로 연구모형이 수용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수문순환의 모형을 구축하고 수문특성 간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요소의 인과관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고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설마천 유역과 청미천 유역의 연단위 강수량, 기저유출량, 직접유출량, 증발산량을 사용하였다. 각 유역에서의 수문특성과 수문요소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문순환 모형을 구축/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유역이지만 비슷한 구조방정식모형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Parallel Database Machine Architectures (병렬 데이타베이스 컴퓨터 구조의 성능 분석)

  • Lee, Yong-Kyu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4
    • /
    • pp.873-882
    • /
    • 1998
  • The parallel database machine approach is currently widely and successfully used. There are four major architectures which are used in this approach: shared-nothing architecture, shared-evertying architecture, shared-disk architecture, and hybrid architecture. In this paper, we use an analytical mode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database machine architectures. We define an abstract model for each type of database machine design to obtain performance equatons describing the execution times with respect to the hybrid hash join poeration. Using the performance equations, we evaluate the execution times of the various database machine design models.

  • PDF

Structural Optimization of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unoff (초기 유출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시설의 구조적 최적화)

  • Cho, Hun-Sik;Yeo, Chang-Guen;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68-672
    • /
    • 2009
  • 상대오염도가 높은 초기유출수에 대한 1차 처리의 화학적인 효율성 증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온 반면 동수역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 시설에 대해서 수리모형 및 수치모의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수처리 시설은 내부 격벽(baffle)의 배열에 변화를 주어 흐름제어를 유도하여 초기유출수의 처리 효율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시설을 고안하였다. 수리모형 및 수치모의 실험을 통해 구조물 내에 복잡한 난류흐름을 관찰하였고, 주입된 염수의 농도분포 양상을 시간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해서 3차원 수치모형 프로그램인 FLOW-3D를 사용하였으며 LES 난류모형과 질량생성(mass source)모형을 적용하여 수처리 시설 내에서의 동수역학적 거동분석 및 오염원(source)의 농도분포를 모의하였다. 실험 결과 수처리 시설의 3차원 난류흐름을 통해 오염원이 지체 및 확산되고 이에 따라 배출되는 농도가 현격하게 차이 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내부구조에 대한 수치모의 결과를 분석하게 되면 초기 유출수 처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처리 시설모형의 최적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