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개편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Feasibility of Tax Increase in Korean Welfare State via Estimation of Optimal Tax burden Ratio (적정조세부담률 추정을 통한 한국 복지국가 증세가능성에 관한 연구)

  • Kim, SeongWook
    • 한국사회정책
    • /
    • v.20 no.3
    • /
    • pp.77-11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for discussion of financing social welfare via estimating optimal tax burden in the main member countries of the OECD by using Hausman-Taylor method considering endogeneity of explanatory variables. Also, the author produced an international tax comparison index reflecting theoretical hypotheses on revenue-expenditure nexus within a model to compare real tax burden by countries and to examine feasibility of tax increase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tax burden was, the higher the level of welfare expenditure was, indicating the connection between high burden and high welfare from the aspect of scale.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subject countries recently entered into the state of low tax burden. Meanwhile, Korea had maintained low burden until the late 1990s but the tax burden soared up since the financial crisis related to the IMF. However, due to the impact of foreign economy and the tax reduction policy, it reentered into the low-burden state after 2009.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s reducing tax burden has been gradually enhanced since the crisis. In this context, the current optimal tax burden ratio of Korea as of 2010 may be 25.8%~26.5% of GDP based on input of welfare expenditure variables, a percent that Korea was investigated to be a 'high tax burden-low ITC' country whose tax increase of 0.7~1.4%p may be feasible and that the success of tax system reform for tax increase might be higher probability when compare to others. However, measures of increasing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nd consumption tax were analyzed to be improper from the aspect of managing finance when compared to increase in other tax items, considering the relatively higher ITC. Tax increas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ough there may be room for tax increase; the optimal tax burden ratio can be understood as the level that may be achieved on average when compared to other nations, not as the "proper" level. Thus, discussion of tax increase should be accompanied wit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odels of economic developmental difference from nations and institutional & historical attributes included in specific tax mix.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 Oh, Jun-Young;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1
    • /
    • pp.10-1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focusing on Nakseonjae(樂善齋), Juhamnu(宙合樓), Jondeokjeong(尊德亭), and Daebodanji (大報壇址).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of the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photo taken by the Czech Vráz, in 1901, a total of six garden ornaments, including a stone pond and odd-shaped stones, were located in the backyard of Nakseonjae. Since liberation, arbitrary relocation of garden ornaments has frequently occurred, and in the process, two odd-shaped stones, originally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terraced flower bed,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backyard of Gyeonghungak(景薰閣). Second, unlike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Donggwoldo(東闕圖)」 was produced, odd-shaped stones we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backyard of Juhamnu in the early 1900s. It was a traditional style garden ornament with similar appearance, size, and design. However, all the odd-shaped stones in the backyard of Juhaumnu were relocated to other places in the 1970s and 1980s. One is located at the rear of Aeryeonjeong(愛蓮亭) through the entrance of Bingcheon(氷泉) and the vicinity of Geumcheongyo(錦川橋), and the other remains in front of the Yeongyeongdang Jangnakmun(演慶堂 長樂門). Third, among the garden ornaments located in the area of Jondeokjeong in the past, one odd-shaped stone is now relocated around the stone bridge near the pavilion and the Yeonghwadang(暎花堂) with its components separated. The bondstone near Yeonghwadang was relocated in 1990 for the purpose of installing an imitation of Angbuilgu(仰釜日晷). Another odd-shaped stone has been relocated to the front door of the Secret Garden(後苑), and now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ocation. Fourth, the two bondstones remaining in the Daebodanji were actually building materials that were used as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entrance pillars of the Yi Royal Office Building(李王職廳舍)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the Yi Royal Office Building was reorganized into Imperial Estate Administration Office(皇室財産事務總局), and when the office building was burned down in 1960, the stone statues and foundation stones placed on the stylobate were relocated to the Daebodanji. The bondstone at Daebodanji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nstruction materiasl being mistaken for gaeden ornaments.

Investigation of the location of Jagiso eunchon in Goheung-hyeon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Undae-ri kiln (고흥현 자기소(磁器所) 은촌(犾村)의 위치 탐색과 운대리 가마터 성격 검토)

  • SUNG Yungi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4
    • /
    • pp.72-92
    • /
    • 2023
  •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of Jagiso eunchon in Goheung-hyeon and the nature of Undae-ri kiln site were examined.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to Joyang-hyeon, which is now Joseong-myeon, Boseong-gun in 1395. Therefore, Goheung-hyeon Jagiso Eunchon in Sejongsillok Jiriji corresponding to 1424~1432 should be found in the west of Joseong-myeon, Boseong, where the administrative agency was moved in 1395. Among the four boundaries of Goheung-hyeon recorded in the 『Sejongsillok』 Jiriji, it is recorded as 2-ri by the sea in the south and 8-ri by Nakan in the east. If the current Goheung-hyeon is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Sejongsillok Jiriji Records Compilation Period, it cannot be the boundary the south and east mentioned above.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2-ri from the current Goheung-eup to the sea in the south, and Nakan is close to the north, not the east, as recorded. However, it has already been suggested that Joyanghyeonseong(朝陽縣城), located in Gonae Village, Ucheon-ri, Josung-myeon, Boseonggun is an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And if the four-way boundary of Goheung-hyeon was converted into the current distance unit based on this place(Joyanghyeonseong, 朝陽縣城), an approximate result could be obtained even if it did not exactly match.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which was moved to Joyang-hyeon, Boseong in 1395, is Gonae Village,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Jagiso eunchon(犾村) in Goheung-hyeon can be interpreted as a "dog-shouting village." It is thought to be a meaning structure of "animal + sound". A place name thought to have the same structure was identified in Jeongheung-ri, west of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It is the name of a village called Hoeum-dong(虎吟洞), and it is interpreted as the sound of a tiger or the bark of a tiger, which is the same as the meaning structure of Eunchon. However, there is Gaesan Village in the south of Hoeum-dong, and a Buncheong ware kiln site was identified around it. At this kiln site, a fragment of carved Buncheong ware engraved with the character "Eon", which corresponds to the right stroke of the character "Seom (贍)" in the name "Naeseom (內贍)" was identified. A small amount of Buncheong ware and Joseon celadon pieces were also identified. It can be seen that the Buncheong ware paid to the government was made by checking the Buncheong ware with the government name engraved on it. On the west side of Joyanghyeonseong Fortress in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Goheung-hyeon and the area around the Gaesan Buncheong ware kiln site in Jeongheung-ri, where the Buncheong ware paid to the government was, is thought to be Jagiso Eunchon, Goheung-hyeon. Jagiso and Dogiso are located in the four direction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gency. Naturally, the location of Jagiso and Dogiso is also determined on where the administrative agency of Hyeon is. Since the Goheung-hyeon's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moved to Ucheon-ri, joseong-myeon, Boseong-myeon, it is necessary to naturally find Jagiso and Dogiso in Boseong. In addition, regarding the nature of the kiln site in Undae-ri, the aspects of the excavated relic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Undae-ri kiln site functioned as a jagiso in Heungyang-hyeon from February 1441 to the 1470s. If so, the "Ye" Buncheong ware, which was collected around Undae-ri kiln No. 7, could be naturally understood.

The Advancement of Underwriting Skill by Selective Risk Acceptance (보험Risk 세분화를 통한 언더라이팅 기법 선진화 방안)

  • Lee, Ch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4
    • /
    • pp.49-78
    • /
    • 2005
  • Ⅰ. 연구(硏究) 배경(背景) 및 목적(目的) o 우리나라 보험시장의 세대가입율은 86%로 보험시장 성숙기에 진입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전업채널에서 방카슈랑스의 도입, 온라인전문보험사의 출현, TM 영업의 성장세 等멀티채널로 진행되고 있음 o LTC(장기간병), CI(치명적질환), 실손의료보험 등(等)선 진형 건강상품의 잇따른 출시로 보험리스크 관리측면에서 언더라이팅의 대비가 절실한 시점임 o 상품과 마케팅 等언더라이팅 측면에서 매우 밀접한 영역의 변화에 발맞추어 언더라이팅의 인수기법의 선진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하에서 위험을 적절히 분류하고 평가하는 선진적 언더라이팅 기법 구축이 필수 적임 o 궁극적으로 고객의 다양한 보장니드 충족과 상품, 마케팅, 언더라이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보험사의 종합이익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Ⅱ. 선진보험시장(先進保險市場)Risk 세분화사례(細分化事例) 1. 환경적위험(環境的危險)에 따른 보험료(保險料) 차등(差等) (1) 위험직업 보험료 할증 o 미국, 유럽등(等) 대부분의 선진시장에서는 가입당시 피보험자의 직업위험도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가입하는 보장급부에 따라 직업 분류방법 및 할증방식도 상이하며 일반사망과 재해사망,납입면제, DI에 대해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함 o 할증적용은 표준위험율의 일정배수를 적용하여 할증 보험료를 산출하거나, 가입금액당 일정한 추가보험료를 적용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재해사망 가입시 표준위험율의 300% 적용하며, 일반사망 가입시 $1,000당 $2.95 할증보험료 부가 (2) 위험취미 보험료 할증 o 취미와 관련 사고의 지속적 다발로 취미활동도 위험요소로 인식되어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할증보험료는 보험가입금액당 일정비율로 부가(가입 금액과 무관)하며, 신종레포츠 등(等)일부 위험취미는 통계의 부족으로 언더라이터가 할증율 결정하여 적용함 - 패러글라이딩 년(年)$26{\sim}50$회(回) 취미생활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재해사망 $2, DI보험 8$ 할증보험료 부가 o 보험료 할증과는 별도로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를 적용함. 위험취미 활동으로 인한 보험사고 발생시 사망을 포함한 모든 급부에 대한 보장을 부(不)담보로 인수함. (3) 위험지역 거주/ 여행 보험료 할증 o 피보험자가 거주하고 있는 특정국가의 임시 혹은 영구적 거주시 기후위험, 거주지역의 위생과 의료수준, 여행위험, 전쟁과 폭동위험 등(等)을 고려하여 평가 o 일반사망, 재해사망 등(等)보장급부별로 할증보험료 부가 또는 거절 o 할증보험료는 보험全기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 - 러시아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은 2$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4) 기타 위험도에 대한 보험료 차등 o 비행관련 위험은 세가지로 분류(항공운송기, 개인비행, 군사비행), 청약서, 추가질문서, 진단서, 비행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할증보험료를 부가함 - 농약살포비행기조종사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 6$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o 미국, 일본등(等)서는 교통사고나 교통위반 관련 기록을 활용하여 무(無)사고운전자에 대해 보험료 할인(우량체 위험요소로 활용)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보험료차등(保險料差等) (1) 표준미달체 보험료 할증 1) 총위험지수 500(초과위험지수 400)까지 인수 o 300이하는 25점단위, 300점 초과는 50점 단위로 13단계로 구분하여 할증보험료를 적용중(中)임 2) 삭감법과 할증법을 동시 적용 o 보험금 삭감부분만큼 할증보험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청약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수 있으며 고(高)위험 피보험자에게 유용함 3) 특정암에 대한 기왕력자에 대해 단기(Temporary)할증 적용 o 질병성향에 따라 가입후 $1{\sim}5$년간 할증보험료를 부가하고 보험료 할증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표준체보험료를 부가함 4) 할증보험료 반환옵션(Return of the extra premium)의 적용 o 보험계약이 유지중(中)이며, 일정기간 생존시 할증보험료가 반환됨 (2) 표준미달체 급부증액(Enhanced annuity) o 영국에서는 표준미달체를 대상으로 연금급부를 증가시킨 증액형 연금(Enhanced annuity) 상품을 개발 판매중(中)임 o 흡연, 직업, 병력 등(等)다양한 신체적, 환경적 위험도에 따라 표준체에 비해 증액연금을 차등 지급함 (3) 우량 피보험체 가격 세분화 o 미국시장에서는 $8{\sim}14$개 의적, 비(非)의적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준에 따라 표준체를 최대 8개 Class로 분류하여 할인보험료를 차등 적용 - 기왕력, 혈압, 가족력, 흡연, BMI, 콜레스테롤, 운전, 위험취미, 거주지, 비행력, 음주/마약 등(等) o 할인율은 회사, Class, 가입기준에 따라 상이(최대75%)하며, 가입연령은 최저 $16{\sim}20$세, 최대 $65{\sim}75$세, 최저보험금액은 10만달러(HIV검사가 필요한 최저 금액) o 일본시장에서는 $3{\sim}4$개 위험요소에 따라 $3{\sim}4$개 Class로 분류 우량체 할인중(中)임 o 유럽시장에서는 영국 등(等)일부시장에서만 비(非)흡연할인 또는 우량체할인 적용 Ⅲ. 국내보험시장(國內保險市場) 현황(現況)및 문제점(問題點) 1. 환경적위험도(環境的危險度)에 따른 가입한도제한(加入限度制限) (1) 위험직업 보험가입 제한 o 업계공동의 직업별 표준위험등급에 따라 각 보험사 자체적으로 위험등급별 가입한도를 설정 운영중(中)임. 비(非)위험직과의 형평성, 고(高)위험직업 보장 한계, 수익구조 불안정화 등(等)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위험1급 적용으로 사망 최대 1억(億), 입원 1일(日) 2만원까지 제한 o 금융감독원이 2002년(年)7월(月)위험등급별 위험지수를 참조 위험율로 인가하였으나, 비위험직은 70%, 위험직은 200% 수준으로 산정되어 현실적 적용이 어려움 (2) 위험취미 보험가입 제한 o 해당취미의 직업종사자에 준(準)하여 직업위험등급을 적용하여 가입 한도를 제한하고 있음. 추가질문서를 활용하여 자격증 유무, 동호회 가입등(等)에 대한 세부정보를 입수하지 않음 - 패러글라이딩의 경우 위험2급을 적용, 사망보장 최대 2 억(億)까지 제한 (3) 거주지역/ 해외여행 보험가입 제한 o 각(各)보험사별로 지역적 특성상 사고재해 다발 지역에 대해 보험가입을 제한하고 있음 - 강원, 충청 일부지역 상해보험 가입불가 - 전북, 태백 일부지역 입원급여금 1일(日)2만원이내 o 해외여행을 포함한 해외체류에 대해서는 일정한 가입 요건을 정하여 운영중(中)이며, 가입한도 설정 보험가입을 제한하거나 재해집중보장 상품에 대해 거절함 - 러시아의 경우 단기체류는 위험1급 및 상해보험 가입 불가, 장기 체류는 거절처리함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인수차별화(引受差別化) (1) 표준미달체 인수방법 o 체증성, 항상성 위험에 대한 초과위험지수를 보험금삭감법으로 전환 사망보험에 적용(최대 5년(年))하여 5년(年)이후 보험 Risk노출 심각 o 보험료 할증은 일부 회사에서 주(主)보험 중심으로 사용중(中)이며, 총위험지수 300(8단계)까지 인수 - 주(主)보험 할증시 특약은 가입 불가하며, 암 기왕력자는 대부분 거절 o 신체부위 39가지, 질병 5가지에 대해 부담보 적용(입원, 수술 등(等)생존급부에 부담보) (2) 비(非)흡연/ 우량체 보험료 할인 o 1999년(年)최초 도입 이래 $3{\sim}4$개의 위험요소로 1개 Class 운영중(中)임 S생보사의 경우 비(非)흡연우량체, 비(非)흡연표준체의 2개 Class 운영 o 보험료 할인율은 회사, 상품에 따라 상이하며 최대 22%(영업보험료기준)임. 흡연여부는 뇨스틱을 활용 코티닌테스트를 실시함 o 우량체 판매는 신계약의 $2{\sim}15%$수준(회사의 정책에 따라 상이) Ⅳ. 언더라이팅 기법(技法) 선진화(先進化) 방안(方案) 1. 직업위험도별 보험료 차등 적용 o 생 손보 직업위험등급 일원화와 연계하여 3개등급으로 위험지수개편, 비위험직 기준으로 보험요율 차별적용 2.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 적용 o 해당취미를 원인으로 보험사고(사망포함) 발생시 부담보 제도 도입 3. 표준미달체 인수기법 선진화를 통한 인수범위 대폭 확대 o 보험료 할증법 적용 확대를 통한 Risk 헷지로 총위험지수 $300{\rightarrow}500$으로 확대(거절건 최소화) 4. 보험료 할증법 보험금 삭감 병행 적용 o 삭감기간을 적용한 보험료 할증방식 개발, 고객에게 선택권 제공 5. 기한부 보험료할증 부가 o 위암, 갑상선암 등(等)특정암의 성향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가입초기에 평준할증보험료를 적용하여 인수 6. 보험료 할증법 부가특약 확대 적용, 부담보 병행 사용 o 정기특약 등(等)사망관련 특약에 할증법 확대, 생존급부 특약은 부담보 7. 표준체 고객 세분화 확대 o 콜레스테롤, HDL 등(等)위험평가요소 확대를 통한 Class 세분화 Ⅴ. 기대효과(期待效果) 1. 고(高)위험직종사자, 위험취미자, 표준미달체에 대한 보험가입 문호개방 2. 보험계약자간 형평성 제고 및 다양한 고객의 보장니드에 부응 3. 상품판매 확대 및 Risk헷지를 통한 수입보험료 증대 및 사차익 개선 4. 본격적인 가격경쟁에 대비한 보험사 체질 개선 5. 회사 이미지 제고 및 진단 거부감 해소, 포트폴리오 약화 방지 Ⅵ. 결론(結論) o 종래의 소극적이고 일률적인 인수기법에서 탈피하여 피보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위험평가하여 적정 보험료 부가와 합리적 가입조건을 제시하는 적절한 위험평가 수단을 도입하고, o 언더라이팅 인수기법의 선진화와 함께 언더라이팅 인력의 전문화, 정보입수 및 시스템 인프라의 구축 등이 병행함으로써, o 보험사의 사차손익 관리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보험시장 개방 및 급변하는 보험환경에 대비한 한국 생보언더라이팅 경쟁력 강화 및 언더라이터의 글로벌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