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강성

Search Result 2,5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Efficient Vibration Analysis Method for the Cooncrete-Steel Deck Slab (콘크리트와 강제데크의 합성 바닥판의 실용적인 진동해석 방법)

  • Kim, Gee-Cheol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5 no.4 s.18
    • /
    • pp.91-100
    • /
    • 2005
  • Composite slab structures consisted with steel deck plate and concrete material show generally anisotropic structural behavior because of different stiffness between the major direction and sub-direction of deck plate, and also the structures can be regarded as the laminated slab structures. It is necessary for the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s to carry out the exact vibration analysis to evaluate the serviceability. Also, it is needed to evaluate the exact structural behavior of composite deck slab with a layered orthotropic materials. In this paper, the thickness of topping concrete and deck plate are used to calculate the material coefficient stiffness of a sub-direction, and an equivalent depth calculated from sectional stiffness of concrete and deck plate is applied to get the stiffness of a major direction. The stiffness of two layered composite plates with different depth is determined by laminated theory. It is concluded that the presented method can efficiently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composite deck slab consisted with steel deck plate and concrete material in the practical engineering field.

  • PDF

Analytical study for effects of shoring stiffness and slab cracking on construction loads of flat plates (플랫 플레이트 시공하중에 대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 효과 분석)

  • Kim, Jae-Yo;Hwang, Hyeon-Jong;Park, Hong-Gun;Hong, Geon-Ho;Lim, Joo-Hyuk;Kim, Yong-Nam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438-441
    • /
    • 2009
  • 휨강성이 작은 바닥시스템인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응력조건 뿐만 아니라 사용성조건에 의하여 구조적 성능이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과도한 시공 하중의 작용은 시공 중 안전성에 대한 단기적인 손상 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관련된 장기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랫 플레이트의 시공하중은 동바리지지 층 수, 시공주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재료적인 강성 뿐만 아니라, 동바리의 강성과 슬래브에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한 해석연구를 통하여, 동바리-슬래브의 강성비 변화 및 콘크리트 균열에 의한 단면강성저하가 슬래브들 간의 하중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의 영향을 고려한 시공하중 산정법을 제안한다.

  • PDF

콘크리트 함체의 강성변화가 상부구조물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 Lee, Yeong-Uk;Park, Jeong-A;Chae, Ji-Yong;Choe,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8-130
    • /
    • 2011
  • 플로팅 구조물은 파랑하중의 영향에 따라 함체가 변형하게 되며, 이러한 변형이 상부구조물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함체의 강성변화 및 파랑의 주기변화에 따라 해석을 수행한 결과 함체의 강성이 증가할수록 모멘트는 감소하며, 축력에 대한 영향은 미미하다. 함체의 강성이 같다면 파랑의 주기가 길어질수록 모멘트는 증가한다.

  • PDF

Parametric Study on the tendency of Stiffness Variation using Variable Stiffness Mechanism (변수변화에 따른 가변강성 메커니즘의 강성변화 경향성에 관한 연구)

  • Ham, KiBeom;Han, Jiho;Jeon, JongKyun;Park, YongJa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6
    • /
    • pp.750-758
    • /
    • 2016
  • In general, a system can be stable when it is designed with a rigid material. However, the use of a rigid system can be limited, such as grasping a glass or using a small surgical instrument. To resolve this limitation, a variable stiffness mechanism was developed using a flexible material. Previous research verified the variable stiffness mechanism where flexible segments and rigid segments were connected alternately in series. However, research into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variable stiffness structure is needed to satisfy the desired stiffness. Therefore, a variable stiffness structure was tested by varying the design parameters to confirm the trend of the stiffness variation. When the radius of the structure becomes larger, the stiffness increases. The stiffness increased with decreasing length of the flexible segments. Under the same design parameters, the length of the flexible segment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tiffness than the length of the rigid segments. In addition, the stiffness was estimated using the pseudo rigid body model and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is parametric study can be used as a design guideline for designing the variable stiffness mechanism to satisfy the desired stiffness.

Dynamic Soil Stiff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지중구조물의 축방향 동지반강성계수)

  • 김대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5
    • /
    • pp.149-155
    • /
    • 2000
  • 응답변위법에서 이용되는 동지반강성계수의 적절한 평가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현재까지의 지진피해조사 및 장기간의 지진관측사례는 지반이 공진할 때의 변형모드가 지중구조물의 피해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중구조물의 축방향의 지반의 변형모드와 그 타월 진동수를 특정하여 동지반강성계수를 평가했다. 동지반강성계수는 지반의 공진상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로써 지진파의 축방행 파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상구주물의 반경과 표층두께의 비, 표층두께에 대한 구조물의 매설위치, 표층지반과 기반의 임피단스비 라고 하는 3개의 무차원 변수에 의해 표현된다.

  • PDF

Stiffness Prediction of Flatplate System According to Column Section Shape (기둥단면 형상에 따른 무량판 구조시스템 강성예측)

  • Lee, Do-Bum;Lee, Li-H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0 no.5
    • /
    • pp.194-202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stiffness prediction methodologies for flat-plate structures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full-scale slab-column connections of flat-plate structures. The methodologies are as follows: the methodology proposed by Jacob S. Grossman and the methodology proposed by Choi & Song. The former does not predict the stiffness change of the slab-column connec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column section shape and the latter overestimates the stiffness when edge length of the column section in the loading direction is long. In the present study, the equation to calculate the effective width of slabs was modified to reflect the effect of the change in the column section shape.

Design of Low Vibration Rotor Considering Bearing Support Stiffness (전동기 베어링 지지강성을 고려한 회전자 저진동 설계)

  • Woo, Sang-Pyo;Lim, Do-Hyeong;Kim, Wo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311-313
    • /
    • 2014
  • 전동기는 산업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는 회전기기로서, 소형화, 경량화, 고속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전동기 프레임의 구조강성을 약화시키고, 축계 위험속도를 낮춤으로써 진동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회전체 진동 관련 규정 중 API 684 에서는 베어링 지지강성이 베어링 강성에 비해 3.5 배 이하인 경우 베어링 지지강성이 위험 속도 해석 모델에 포함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는 베어링 지지강성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려워 이를 고려하지 않고 회전체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조건에서 예측하지 못한 진동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베어링 하우징 및 프레임에 대한 가진 시험을 통해 얻은 주파수 응답함수의 실수부를 분석하여 베어링 지지강성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베어링 지지강성을 해석적으로 예측하는 기법을 정립하였다. 추출된 베어링 지지강성을 축계 해석 모델에 포함하여 베어링 지지강성 포함 유무에 따른 축계 위험속도 및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베어링 지지강성을 포함한 경우, 보다 정확한 위험속도 및 진동응답 수준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tress Force and the Effective Rigidity of the Bonded Tendon (부착식 텐던의 긴장력과 유효 강성의 상관성 연구)

  • Jang, Jung-Bum;Lee, Hong-Pyo;Hwang, Kyeong-Min;Song,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41-644
    • /
    • 2010
  •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이 도입된 구조물의 사용수명이 오래됨에 따라, 이들 구조물의 잔존수명 평가와 보수 및 보강 등의 유지관리 차원에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현재 긴장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한 현안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현재 긴장력을 평가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긴장력이 구조계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착식 텐던 형식의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이 도입된 시험체를 대상으로 SIMO sine sweep test를 수행하고 긴장력과 시험체의 유효 강성에 대한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의 긴장력은 시험체의 유효강성을 증가시키며, 저차 고유진동수가 긴장력과 높은 상관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on of the Ratios of Increase in Lateral Stiffness for Preliminary Structural Design of Tall Buildings (초고층건물의 초기 구조설계를 위한 횡강성 증가율 예측)

  • Jung, Jong-Hy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0 no.4
    • /
    • pp.453-46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atios of increase in lateral stiffness for preliminary structural design of tall buildings. For this, the basic models of tall buildings with 60 stories are generated. The basic models have typical floor plan of Box or T type. And the factors for increase in lateral stiffness are selected as follows; the addition of outriggers, increase in material strength, and increase in member size of core walls, outrigger columns, and outrigger walls. Then these factors are applied to the basic models and their effects are investigated using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ratios of increase in lateral stiffness for preliminary structural design of tall buildings are proposed and applied to examples of tall building for verification of the ratios.

Modified Proposal for Optimal Loca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in High-rise Building (초고층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 위치에 대한 수정제안)

  • Kim, Hyong-K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5
    • /
    • pp.37-44
    • /
    • 2020
  • This research aimed to propose the more proper equation than the leading and existing equations to predict the optimum location of offset outrigger. In this study, a 79 existing models of offset outrigger system were examined. And the key factors in the existing offset outrigger models were the stiffness of shear wall and offset outrigger system, the stiffness of exterior column connected in offset outrigger, the frame stiffness, the ratios of lateral stiffness of frame in shear wall-frame structures, and all that. This paper proposed the modified equation of predicting the optimal loca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the important structure engineering materials of the optimal offset outrigger position in tall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