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감각

Search Result 29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ructure of sensilla on the Antenna and Mouthpart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Heliothis assulta Guenee) Larvae (담배나방의 유충의 촉각 및 구기 감각기의 구조)

  • 박순식;부경생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7 no.2
    • /
    • pp.94-102
    • /
    • 1988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describe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various sensilla on the antenna and mouthparts of the Oriental tobacco bud worm (H. assulta) larvae b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larval antenna has 3 segments. The second segment has 2 hairs and 3 pegs, while the third segment shows 3 regular pegs and a segmented peg (styloconicum type). Each mandible bears 2 aporous hairs on the lateral surface. The labrum bears 12 aporous hairs on its external surface. and 6 aporous hairs, 4 coeloconica-like sensilla and 2 campaniformia-like sensilla on its epipharynx. The stipes has 3 hairs, and the galea has 3 pegs. 2 papillae and 2 domes. The maxillary palpus has only a digitiform sensillum on its 1st segment but 11 sensilla of 4 different types on its 2nd segment. Maxillary sensilla represent almost 70% of total number of larval sensilla on the mouthparts. Labial pal pus has a single segment bearing a large segmented uniporous peg and a small peg. Finally their possible fun¬ctions were suggested.

  • PDF

Micro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ory Organs in the Millipede Cawjeekelia pyongana (Polydesmida: Paradoxomatidae) (평안노래기 (Cawjeekelia pyongana) 안테나 감각기의 미세구조)

  • Chung, Kyung-Hwun;Moon, Myung-Jin
    • Applied Microscopy
    • /
    • v.37 no.2
    • /
    • pp.73-82
    • /
    • 2007
  • The antennae of millipedes have a prominent function in detecting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stimuli. The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antenna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sense recognition. Here we study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antennae of the millipede Cawjeekelia pyongana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he antennae generally include eight segments, called 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antennae, there are a variety of sensory receptors which include olfactory and mechanical receptors. We could identify four different types of antennal sensory organs in C. pyongana as follows: apical cone (Ac), trichoid sensilla (Ts), chaetiform sensilla (Cs) and basiconic sensilla (Bs). The most prominent of which is four APs at the 8th article. Both of the Is and the Cs are abundantly observed almost all of the antennal segments. They are long and strong bristles with longitudinal grooves acuminating toward the tip. The Bs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types: large basiconic sensilla $(Bs_1)$, small basiconic sensilla $(Bs_2)$ and spiniform basiconic sensilla $(Bs_3)$. The $Bs_1$ is located at the 5th and 6th articles, while the $Bs_2$ and $Bs_3$ can be seen at the 5th and at the 7th article, respectively.

자연모사 감각센서

  • Han, Chang-Su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12
    • /
    • pp.42-45
    • /
    • 2016
  • 인간의 오감을 비롯해 생명체의 감각기관은 선택성, 감도, 크기, 수명, 소모전력 등 여러 측면에서 매우 뛰어난 성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센서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서 이 분야의 파괴적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 감각기관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공학적인 모사기술이 결합된다면 초감각을 지닌 동물의 감지능력까지도 모사가 가능할 것이다.

  • PDF

Fine Structure of the Antennal Sensilla of the Millipede Oxidus gracilis(Polydesmida: Paradoxomatidae) (고운까막노래기(Oxidus gracilis) 안테나 감각모의 미세구조)

  • Chung, Kyung-Hwun;Moon, Myung-Jin
    • Applied Microscopy
    • /
    • v.37 no.4
    • /
    • pp.231-238
    • /
    • 2007
  • Although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tennal sensillae to millipedes are widely understoo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ntennal sensillae are still not clear and more precise analysis is required. Thus, this study initiate to reveal the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sensory receptors on the antennae of millipede Oxidus gracilis were observed with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he antennae generally include eight segments, called 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antennae, there are a variety of sensory receptors which include olfactory and mechanical receptors. We could identify four different types of antennal sensillae in O. gracilis as follows: apical cone sensilla, trichoid sensilla, chatiform sensilla and basiconic sensilla. The most prominent is four large spital cone sensillae on distal tip of the 8th article. Both of trichoid and chaetiform sensillae are abundantly observed at the most of antennal articles. These sharply pointed structures are inclined and slightly curved toward the apex of the sensilla. The basiconic sensilla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types: large basiconic sensilla($Bs_1$), small basiconic sensilla($Bs_2$) and spiniform sensilla($Bs_3$). The $Bs_1$ is located at the 5th and 6th articles, while the $Bs_2\;and\;Bs_3 can be seen at the 5th and 7th articles, respectively.

Metamorphosis (<미적 감각자극 생성 시스템> 새로운 출발)

  • Choi, Moon-Chan;Lee, Jun-Haeng;Kim, Hyung-Gi;Paik, Joon-K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68-473
    • /
    • 2006
  • 본 논문은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각자극과 그것을 생성해 내는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마음을 움직이거나, 어떤 행동을 유발하는 정신작용의 과정에 관여하는 요소들을 밝히고, 그 구조와 효과 등을 알아내는 일이 중요하며, 이러한 연구의 성과물들은 정신작용에 관여하는 요소들을 조작, 변수처리 하여 의도적인 정신작용 감각자극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간은 감각자극으로 인지된 정보를 자신의 정신적인 필터를 통해 개념화하게 되는데, 이 시스템은 의식에 직접 관여하거나, 우회하는 감각자극에 대한 것들을 제공 할 수 있도록 인간의 개념화의 과정을 의식하여 시스템의 구조를 구현 했다. 인간의 기억데이터와 비슷하다 할 수 있는 구조적 위치의 소스데이터가 있다. 그리고 이것을 현실의 시공간에서 얻어지는 미적 행위와 자극의 반복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만들어 내거나, 이러한 미적 결과물을 유저는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의 시작으로, 우리의 삶 깊숙이 침투해 있는 미디어의 감각자극들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생산해 내는 것이다. 이런 행위는 자신을 가꾸고 만드는 자기최면적인 도구나, 대상을 갖는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를 만들어내는 연구가 될 수 있다.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신적 바탕을 스스로 만들어가는 도구로써, 자신의 메시지를 대상에게 감동을 통해 전달하는 도구로써, 그 역할을 운운하기에는 시기상조인 감이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이러한 비전을 가지고 개발과 발전을 거듭해 인공감성지능 감각자극 생성과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으로 성장 할 것이다.

  • PDF

Brain Areas involved in graphaesthesia : Tactile sensation to letter recognition (문자감각인지와 관련된 뇌영역에 대한 연구 : 문자인지와 관련된 감각과정에 대한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 연구)

  • 김광기;우성호;이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8-210
    • /
    • 2002
  • 신경과 의사들은 실제 임상에서 환자들에게 대뇌피질감각의 이상 여부를 알기 위해 손바닥에 숫자나 문자를 쓰게 하여 알아 맞추게 하는 검사를 시행한다. 손바닥에 쓰여진 문자나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의 인지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번째로 손바닥에 닿는 감각을 인지해야 하고, 다음 단계로 이 감각들을 시공간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고, 이러한 정보들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단계로 우리 머리 속에 있는 문자와 일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가설 아래 각각에 해당할 수 있는 뇌영역을 밝히기 위해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다. 손바닥의 일차적 감각을 인지하는 데는 일차감각영역이 활성화 되었고, 이차감각영역의 활성은 감각들의 시공간적 통합과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것들을 유지하는 것은 작업기억의 하부구조인 시공간 그림판과 관련되는 영역이며, 문자를 일치시키는 과정은 브로카영역 부근의 활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위의 가설에 대한 추가검증 및 실제로 일어나는 인지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조작활동의 지도 방안

  • Kim, Chang-Il;Kim, Sin-Jw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83-192
    • /
    • 2002
  •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tive feeling)을 뜻하는 공간감각은 수학교육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수학과 과학에서 다른 영역을 공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의 구조와 대칭성을 볼 수 있게 도우며, 모든 수학에서 창의적 사고를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여역에 ‘공간감각 기르기’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공간감각 지도의 변천과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영역의 학습내용을 살피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의거 초등학교 2학년의 공간감각 영역의 교수 ${\cdot}$ 학습과정을 실제 적용, 이후 아동의 학습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러한 수업으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감각 영역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기술하였다.

  • PDF

Analysis For Surface Roughness of Fabric by Using FFT (FFT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거칠기 해석)

  • 문지성;권영하;강대임;박연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83-387
    • /
    • 1999
  • 인간의 감성을 고려하는 제품의 생산에서 촉감은 인간이 제품을 만질 때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중요한 감각이다. 이러한 촉감의 연구를 위해 직물을 대상으로 직물 표면의 거칠기를 측정하고 해석하였다. 측정된 표면 거칠기를 Fast Fourier Transform 변환하여 직물구조를 분석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각 peak 값들을 분석하여 나온 값이 직물 구조를 수식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됨을 알았다. 또한, 실의 잔털량을 측정하여, 잔털량과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을 대표하는 값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잔털량이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ecretory and contratile sensory receptor cells in the Sucker of Korean Octopus variabilis (한국산 낙지(Octopus uariabilis) 흡반(sucker)내분비 및 수축성 감각수용 세포)

  • 장남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414-427
    • /
    • 1992
  • Octopus variabilis의 흡반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내측상피 부위 돌기구 조물 속에서 관찰된 세포들은 핵을 둘러싼 세포들이 공포화 현상으로 인하여 해면처럼 보였다. 이 세포들은 감각과 수축에 관여하는 해면질성인 세포로 생각된다. 외측 상피조직에서는 2종의 분비성인 감각세포(A 및 B형세포)차 2종의 상피성인 감각세포(C 및 D형세포)가 관찰되었다. 분비성인 감각세포는 감각이외에 점액분비 기능을 소지하였으며, 상피성인 감각세포는 상피의 지지와 감각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흠반을 구성하고 있는 근섬유는 중앙이 기린 도나스 형태로서 10-15개의 종선이 나타났다. 또한 부위에 따라서는 근섬유들은 서로 집결하여 원주형의 근육 기등을 형성하기도 했는데 이들은 신경섬유에 의하여 서로 연결 되고 통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lor Sensibility (색채 감성의 위계 구조에 대한 탐구)

  • 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1
    • /
    • pp.41-56
    • /
    • 2008
  • Previous studies, while investigating factors of sensibility, had rarely considered its internal structur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sensibility had sensational aspects and emotional aspects and the former corresponded to o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attributes of objects, and the latter to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psychology of experiencers. Forty-three objective adjectives and 21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color sensibility were selected both by a linguistic criterion and an empirical evaluation. Factor analysis on semantic differential responses to these two groups of adjectives resulted in 5 sensational factors and 3 emotional factors of color sensibility respectively. Hierarchical structure was derived by regressing emotional factor scores on sensational factor scores. In consequence, emotional aspects were interpret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sensational factor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