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인 모델링 방식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imple intelligence control method for actuator of an automatic installation with the unknown system modelling (시스템 모델링이 불확실한 자동화 설비용 액츄에디터를 위한 간단한 지능제어 방식)

  • 손동설;이용구;엄기환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1
    • /
    • pp.81-91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모델링이 어렵과 복잡한 자동화 설비를 위한 간단한 지능제어방식을 제안하나. 제안된 방식은 시스템 모델링이 불확실한 시스템에 대하여 입력신호와 직접관계되지 않은 비선형 함수의 동정은 퍼지-신경회로망을 이용하고, 입력신호와 관계되는 비선형 함수는 동정을 하지 않고 임의의 양의 실수로 놓으므로 기존의 전체함수 동정보다 적은량으로 동정할 수 있고, 동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선형 제어기를 설계하는 간단한 제어방식이다. 제안된 제어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화 설비에 액츄에이터로 많이 사용되는 직류 서보전동기를 이용한 역진자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하고, 제안된 제어방식을 기존의 신경회로망 제어방식과 제어성능을 비교 검토한다.

  • PDF

The research on the AC machine modeling using the d-q transform (d - q 변환을 이용한 교류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Park, Jin-Ho;Hong, Sun-Ki;Kim, Beom-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78-1879
    • /
    • 2011
  • 주로 사용하는 3상 교류 전동기는 3상의 전압, 전류가 인가되며, 이 3상인 a, b, c상 변수들을 변환하여 d. q, 0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상의 변수로 변환하는 것을 좌표 변환 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교류기의 모델링 또는 해석 시 이 방식을 통하여 실행한다. 기본적으로 좌표 변환 즉 d - q변환은 사용하나 그 이후에 d축과 q축의 전류와 자속쇄교수 구해가는 방식과 d축과 q축을 해석하는 관점의 변화에 따라 모델링에 사용되는 수식이 변환하며 이러한 수식들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함으로써 서로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그 비교를 통하여 교류기에 이론적으로 더 근접하고 단순화된 모델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3가지 모델링을 비교한다. 각각의 모델링마다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그러한 장단점을 비교하여 교류기에 더 근접한 모델링을 결정했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Voice Conversion in the Text-to-speech System (Text-to-speech 시스템에서의 화자 변환 기능 구현)

  • Hwang Cholgyu;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3-3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text-to-speech(TTS) 합성방식이 미리 정해진 화자에 의한 단조로운 합성음을 가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의의 화자의 음색을 표현할 수 있는 화자 변환(Voice Conversion)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방식은 화자의 음향공간을 Gaussian Mixture Model(GMM)로 모델링하여 연속 확률 분포에 따른 화자 변환을 가능케 했다. 원시화자(source)와 목적화자(target)간의 특징 벡터의 joint density function을 이용하여 목적화자의 음향공간 특징벡터와 변환된 벡터간의 제곱오류를 최소화하는 변환 함수를 구하였으며, 구해진 변환 함수로 벡터 mapping에 의한 스펙트럼 포락선을 변환했다. 운율 변환은 음성 신호를 정현파 모델에 의해서 모델링하고, 분석된 운율 정보(피치, 지속 시간)는 평균값을 고려해서 변환했다. 성능 평가를 위해서 VQ mapping 방법을 함께 구현하여 각각의 정규화된 켑스트럼 거리를 구해서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합성시에는 ABS-OLA 기반의 정현파 모델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시스템에서의 이득 설계

  • 전태원
    • 전기의세계
    • /
    • v.36 no.9
    • /
    • pp.658-664
    • /
    • 1987
  • 최적이득을 구하는 해석적인 방식으로 안정여유에 의한 최적화방식과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을 살펴보았으며, 두방식을 비교해 보면 몇몇 문제점이 존재하나 다음의 몇가지 점에서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제어루우프내의 제어기 수에 관계없이 이 방식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2) 시스템을 수식으로 모델링할 때 거의 간략화함이 없이 표현하므로 실제 시스템과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3) 평가함수 내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과도응답을 가지는 최적이득으로 유도할 수 있다. 공액경사법에 의한 최적화방식은 벡터제어나 전류제어PWM등 보다 복잡한 제어루우프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직류기 및 서보전동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PDF

Research on the Protective Relay considers the Power System interconnected to small scale Distributed Generation. (소규모 분산전원의 계통연계를 고려한 보호계전에 관한 연구)

  • Ko, Yeon-Seong;Lee, Jong-Su;Lee, Bock-Ku;Shin, M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506-507
    • /
    • 2008
  • 소규모 풍력에너지, 연료전지 및 태양에너지 등의 신 재생에너지원들이 소규모 분산전원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로 인해, 수용가 측의 전원이 대규모 전력사업자로부터만 공급받던 시스템방식에서, 분산전원과 연계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분산전원이 계통에 도입될 경우 이로 인해 평상시 기존 계통의 보호방식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는 상시전압변동, Flicker, 병해열로 인한 순시전압변동, 고조파, 불평형 등이 고려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로 인해 보호계전기의 오동작도 초래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시스템을 분산전원으로 하는 연계 계통을 모델링하여 발생하는 파형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디지털 필터링 기법을 비교하여 빠른 연산 속도와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지는 알고리즘을 선정하고 모델링하여 모델링 된 디지털 필터로 분산전원 연계를 통해 얻어진 파형을 필터링 한다. 본 논문에서 분산전원의 계통 모의는 전력계통에 모의에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PSCAD/EMTDC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디지털 필터 알고리즘 모델링은 MATLAB을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Soft Switching Boost Type Power Supply Using Load Resonance for 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ion (부하 공진을 이용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의 부스트형 대기압 플라즈마 파워서플라이에 대한 연구)

  • Kim, Min-Young;Seo, Kwang-Duk;Han, Hee-Min;Choi, Byung-Jun;Kim, Joohn-Sh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10a
    • /
    • pp.25-28
    • /
    • 2008
  • 본연구는 부스트형 대기압 플라즈마 전원장치에 대한 연구로서 부스트형 전원장치는 플라즈마의 발생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커패시터로 모델링되는 부하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기존의 정현파 공진형 전원장치는 PWM기법을 이용하여 펄스의 폭을 증감하는 방식으로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지만 이 방식은 별도의 공진회로를 이용하여 공진을 일으킨 다음 이를 부하에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속응성이 떨어지고 균일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어렵다. 부스트형 전원장치는 별도의 부스트 컨버터로 직류전압을 제어하여 부하단에 입력되는 전압을 직접 제어하므로 매우 균일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별도의 부스트용 스위치가 필요하고 이로 인한 효율의 감소 및 사이즈의 증가가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커패시터로 모델링되는 부하를 이용하여 직접 공진을 일으키고 공진된 부하 전압을 직접 부스트 스위치에 인가시키는 방식으로 부스트용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식에서는 부스트용 스위치가 ZCS형태로 켜지고 ZVS형태로 꺼지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별도의 추가 회로 없이도 획기적인 효율 증가와 방열판 사이즈의 감소로 인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DC링크 커패시터의 최소화로 인하여 부하단의 아크 문제가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장점도 있다. 제안된 제어 방식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Modeling of Speech Signals Using Segmental-Features (분절 특징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모델링)

  • 윤영선;오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71-3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절 특징을 모수적 궤적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 특징을 분절 HMM(segmental HMM)의 입력으로 하는 음성 신호의 모델링 방식을 제안한다. 분절 특징은 음성의 경향을 나타내는 궤적으로 표현되고, 그 궤적은 연속되는 프레임 상에서 전이 정보를 포함하도록 디자인 행렬과 다항식의 회귀 함수를 이용하여 구해진다. 이 궤적을 분절 HMM에 적용하기 위하여, 외적 분절 변이와 내적 분절 변이에 대한 확률 분포 표현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IMIT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분절 특징은 음성 신호의 인접한 프레임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동적 특징과 같은 효과를 보였으며, 1차 미분계수를 포함하여 분절 특징을 구한 경우에는 기존의 특징 표현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color characteristic of LED lamp of Digital Control Method (디지털 제어방식 LED 램프의 색 특성에 관한 연구)

  • Kang, Shin-Ho;Han, Jin-Ho;Lee, Jeong-Seop;Ryeom, Jeo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1-14
    • /
    • 2009
  • 색이란 빛의 스펙트럼 분포에 의하여 눈이 느끼는 지각이고, 삼자극치에 의하여 수치화된 색자극의 표시이다. 이때 삼자극치란 사람의 눈의 중심와 부분에 분포하는 3가지 추상체에 의하여 뇌로 전달되는 색의 정보를 수치화한 것이다. 삼자극치를 이용하면 색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고, 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LED의 광량 제어에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full color LED 램프의 이론적인 색채연구를 위하여 분광분포를 이용한 삼자극치를 구하는 과정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구해진 삼자극치로부터 색도좌표를 구하는 과정을 모델링하였고, 실제로 측정된 색도좌표와의 오차를 계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jection Capability Based on Anti-phone Modeling (반음소 모델링을 이용한 거절기능에 대한 연구)

  • 김우성;구명완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3
    • /
    • pp.3-9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the study on the rejection capability based on anti-phone modeling for vocabulary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system. The rejection system detects and rejects out-of-vocabulary words which were not included in candidate words which are defined while the speech recognizer is made. The rejection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y their implementation methods, keyword spotting method and utterance verification method. The keyword spotting method uses an extra filler model as a candidate word as well as keyword models. The utterance verification method uses the anti-models for each phoneme for the calculation of confidence score after it has constructed the anti-models for all phonemes. We implemented an utterance verification algorithm which can be used for vocabulary independent speech recognizer. We also compared three kinds of means for the calculation of confidence score, and found out that the geometric mean had shown the best result. For the normalization of confidence score, usually Sigmoid function is used. On using it, we compared the effect of the weight constant for Sigmoid function and determined the optimal value. And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size of cohort s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r set gave the better results. And finally we found out optimal confidence score threshold value. In case of using the threshold value, the overall recognition rate including rejection errors was about 76%. This results are going to be adapted for stock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zer which is currently provided as an experimental service by Korea Telecom.

  • PDF

A Proposal of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학습 발달과정 탐색을 통한 계절의 변화 교육과정 및 교수 계열 제안)

  • Heo, Jaewan;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3
    • /
    • pp.260-2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purpose, 4 steps of construct modeling approach (specifying construct, item design, outcome space, and measurement model) proposed by Wilson (2005) was applied. In the stage of specifying construct, 'length of shadow according to seasons', 'position of constellation according to seasons', 'seasons of the southern hemisphere and northern hemisphere', 'cause and phenomenon of seasonal change' were selected as the subconstructs of seasonal changes, and constructed a construct map showing the level of development from level 1 to level 4 for each subconstru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In the item design stage, we developed five assessment items consisting of 3 items in the form of C-E (choose and explain) and two items in the form of CR (constructed response), applied it to 38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outcome space stag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assessment item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construct map. The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4 levels according to student ability and scores of 1-4 were given. In the measurement model stage, we applied the partial credit model of the Rasch model and compared whether the learning pathway created from the results of students' response coincides with the construct ma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modified the construct map and finally created hypothetical learning progression on seasonal change. Finally, we proposed an orientation of curriculum amendment and effective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