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역평균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s for the Missing Rainfall data in a Urban Sub-drainage Area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의 결측 강우량 산정 방법 비교)

  • Kim, Chung-Soo;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01-705
    • /
    • 2006
  • 강우자료는 수문 모델링 작업에서 가장 기초적인 수문학적 입력자료로 시간과 공간에 따른 변동성이 크므로 규명하기 복잡한 수문현상 중의 하나이다.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 특성과 태풍, 장마 및 특히, 최근의 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간 실측된 수문기상 기초 자료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상 홍수예보 및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해 정확한 강우량 자료의 취득이 선행돼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장소에 수문관측소 설치 및 관리를 통해 양호한 강우량 자료를 획득해야 하지만, 현장 여건상 등의 이유로 미계측 및 결측, 이상자료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계측 혹은 결측지점의 우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보정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미계측 지점 혹은 산악지역에서의 점 강우량 보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에서 운영 중인 도시하천 유역 특히 소배수구역에서의 결측 자료에 대해 여러 추정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랑천 유역의 3개 소배수 구역(월계1 배수구역, 군자 배수구역, 어린이대공원 배수구역)에 설치된 3개 우량관측소와 건설교통부 관할 우량관측소 2개소의 우량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측치 보간을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술평균법(Arithmetic Average method), 역거리법(Reciprocal Distance Squared method), 거리고도비율법(Ratio of Distance and Elevation method), 인근관측소와의 관계식 이용, 크리깅방법(Simple Kriging method)을 비교, 검토 적용하였다. 중랑천 유역의 소배수구역을 대상으로 연중 발생하는 큰 호우사상에 대해 임의의 강우관측소를 결측지점으로 가정하고 주변의 강우관측소로부터 각각의 방법을 이용해 가중치들을 산정하여 결측지점의 강우량 값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실측값과 보정값의 오차정도를 평균절대오차법(Mean Absolute Error)과 제곱평균제곱근오차법(Root Mean Squared Error)에 의해 산정하여 보정 방법간의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 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5
    • /
    • pp.80-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bborhood parks--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in Seoul. Based on an analysis of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the volume of storm water runoff (VSW), the runoff rate of open channels(ROC), and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rmels(DCOC) by each drainage watershed, the coefficient of runoff rate(CROC) as evaluated to be relevant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oefficient of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nne1s(CDCOC) as evaluated with DCOC compared to VSW were estimated and analyzed by parks and by watersh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drainage area of Baebongsan Park was 34.13ha including surface runoff area(15.05ha; 44.09%), open channel area(l4.60ha; 42.78%), and natural waterway area(4.48ha; 13.13%). The total drainage area of Ogeum Park was 20.39ha including open channel area (10.14ha; 49.73%), ridge-side gutter area(7.17ha; 35.16%), surface runoff area (2.52ha; 12.36%), and natural waterway area (0.56ha; 2.75%). In Baebongsan Park, the portion of surface runoff was comparatively higher while the portion of artificial drainage area was higber in Ogeum Park. 2. In Baebongsan Park drainage districts were largely divided: VSW was $7.28m^3/s$ in total(average $0.23m^3/s$). Comparatively, tbe VSW in Ogeum Park, including smaller drainage districts, was $4.37m^3/s$ in total(average $0.12m^3/s$). 3. The ROC of Baebmgsan Park was $11.58m^3/s$ in total(average $0.77m^3/s$) and the CROC was 5.26, while in Ogeum Park, the ROC was $15.40m^3/s$(average $0.34m^3/s$) and tbe CROC was 8.87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Because the size and slope of the open channel in Baebongsan Park was higher, the average ROC was larger, while tbe CROC of Ogeum Park was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Park, for the VSW in Ogeum Park was comparatively lower. 4. The DCOC in Baebongsan Park was $554.54m^3$ and the average of CDCOC was 179.83. That of Ogeum Park was $717.74m^3$ and the average of the CDCOC was 339.69, meaning that the DCOC of Ogeum Park was so much higber that drainage facilities in Ogeum Park were built intensively. This study was focused m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by using the CROC to evaluate relevance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DCOC to evaluate the DCOC as compared with VSW. The devised methodology and coefficient for evaluating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may he universally applicable through additional study. Further study m 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 for retaining rainwater in a reservoir and for enhancing ecological value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Role of Sand Shoal in the Intertidal Flat Sedimentation, Gomso Bay, Southwestern Korea (서해 곰소만 조간대 퇴적작용에서 모래톱의 역할)

  • Lee, In-Tae;Chun, Seu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2
    • /
    • pp.120-129
    • /
    • 2001
  • A sand shoal (1300 m long and 400 m wide) with an orientation of north-south is formed on the lower tidal flat of Gomso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Surface bedforms, sedimentary structures, sedimentation rat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can-corer sediments have been measured and analysed along the sand shoal proper zone B and its offshore zone A and onshore zone C during the period of 14 months. These three zones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 zone - fine sand (3${\varphi}$ mean), linguoid-type ripples, 7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B zone - medium sand (2.5${\varphi}$ mean), dunes (4${\sim}$5 m in wavelength), 3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no bioturbation, and C zone - coarse silt (5${\varphi}$ mean), sinuous-type ripples, 10 mm/month in sedimentation rate and well-developed bioturbation.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zone C represents a relatively low-energy regime environment whereas the zone A corresponds to a relatively high-energy environment. The zone B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barrier to dissipate the approaching wave energy, resulting in maintaining of low-energy conditions in the inner part of Gomso-Bay intertidal flat behind.

  • PDF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 Jung, Kyoungwon;Park, Moo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6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Efficient of Using Water in Yidong Irrigation District (이동 농업용수지구에서의 물이용 효율 분석)

  • Park, Jea Heung;Kim, Jin Taek;Lee, Yong Jig;Joo, Uk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57-1261
    • /
    • 2004
  • 국내 농업용수 관리기관인 농업기반공사에서 농업용수의 관개효율 개선을 포함한 효율적인 물관리 연구를 위해 운영중인 경기 평택의 이동 농업용수지구를 대상으로 실제 공급량과 수정 Penman식으로 구한 필요수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물이용 효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3년은 년간 강수량이 평년에 비하여 많았으며 강우횟수도 많아 관개 필요수량이 평년에 비하여 적었으며 이로 인하여 물이용 효율 또한 낮게 나타났다. 관개구역별 필요수량 산정량과 실제 공급량 비교를 통한 물이용 효율 분석은 3개 저수지 관개구역에 대해 실시하였다. 관개구역별 공급량과 필요수량 비교는 미산저수지 관개지구의 경우 수정 Penman식으로 구한 필요수량의 $90\%$를 실제 관개구역에 공급하였고 용덕저수지 관개구역의 경우 $170\%$를 공급하였고 이동저수지 관개구역의 경우 $220\%$를 공급하여 $90\%\~220\%$의 범위를 보였다. 전체 관개구역의 평균은 필요수량 산정량의 $160\%$를 실제 관개구역에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Bone of Masan Sea Outfall (마산만 해양방류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 분포 변화)

  • Kang See-Whan;You Seung-Hyup;Kim Sang-Ik;Oh Byung-Cheol;Park Kw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2
    • /
    • pp.15-24
    • /
    • 2001
  •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discharged wastewater effluents due to ambient current flows and density stratifications in an outfall mixing zone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the outfall mixing zone analysis of Huang et al.[1996]. This analysis was applied to Masan sea outfall case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s were simulated using three month period of current-meter data measured in the outfall site. Hourly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wastewater effluents were averaged for the period of 15 days which covers the flow conditions of the neap and the spring tidal currents in Masan Bay. The results show that the wastewater concentrations in the Masan outfall mixing zone were very low due to the higher dilution rates during the period of strong ambient currents and less density stratifications. The higher concentrations in the mixing zone were found in August because of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s with low ambient currents. The mixing zone was extended to the west coast beach area because of major tidal current directions. This result can be used to explain the dynamical reasons for the depositional distribution of the contaminated sediments in Masan sea outfall area.

  • PDF

Analysis of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East Sea (동해 연안 행정구역 별 해수침투 취약성 분석)

  • Lee, Jae-Beom;Yang, Jeong-Seok;Kim, Il-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3-9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은 평균 2.48mm/yr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동해의 해수면 상승률은 2.69mm/yr 로 전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인 2.0mm/yr 보다 높게 나타나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수침투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침투로 인해 1차적으로 연안지역의 해수침투 영역이 증가하고, 지하수의 오염, 농작물의 염수 피해, 산업활동의 제약 등 피해 범위가 지역 사회 범위로 점차 증가한다. 한정된 자원에서 해수침투를 예방하고 피해지역을 줄이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동해 연안지역의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해수침투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취약지역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동해 연안의 11개 시 군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선택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e-scale 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고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가중치를 각각의 인자에 적용하였다. 산정된 해수침투 취약성 지수는 동해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인 취약성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취약성 지수를 동해안의 행정구역이 도시되어 있는 지도에 나타내어 취약한 지역에 대하여 해수침투 방지 대책 및 시설 보강 계획을 세운다면 해수침투 피해에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두꺼운 감마선 차폐체 문제에 대한 분산감소기법연구

  • 윤정현;최병일;이인구;조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47-552
    • /
    • 1996
  •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한 MCNP4A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두꺼운 차폐체내에서 효과적인 분산감소기법에 대하여 가장 단순화된 모델을 이용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등방점선원과 이를 둘러싼 반경 50cm의 납차폐체를 계산을 위한 모빌로 사용하여 차폐체 내부 각 영역과 외부에서의 평균선속을 계산하였다. 분산감소기법으로는 구역분할법과 Exponential transform을 적용하여 각 구역에서의 분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계산결과 두꺼운 차폐체문제에서는 exponential transform이 가장 효과적인 분산감소기법으로 나타났고 이때 구역분할법을 통하여서는 상대오차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었다.

  • PDF

Geoacoustic Model of Surface Sediments in the East of Geoje Island, the South Sea of Korea (거제도 동쪽 해역 표층 퇴적물의 지음향모델)

  • KIM, GIL YOUNG;KIM, DAE CHOUL;SHIN, BO KYOUNG;SEO, YOYUNG KYO;LEE, GWANG HOO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0 no.2
    • /
    • pp.129-138
    • /
    • 2005
  • Sediment texture, physical (porosity, water content, bulk density, grain density, and shear strength), and geoacoustic properties (compressional wave velocity and attenuation) were measured on eighteen core samples collected from the shelf off eastern Geoje Island, the South Sea of Korea. Based on these properties,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ub-areas: (1) Area I affected directly by the Nakdong River discharge; (2) Area II covered by the southern branch of the Nakdong River discharge; and (3) Area III dominated by relict sediment. Mean grain size, velocity, and bulk density decrease from Area $I(7.4\Phi,\;1528m/s,\;1.6g/cm^3,\;respectively)$ to Area $II(8.1\Phi,\;1485m/s,\;and\;1.5g/cm^3)$, and then increase rather rapidly in Area $III(1.4\Phi,\;1664m/s,\;and\;2.2g/cm^3)$. Porosity, on the other hand, exhibits an opposite trend, increasing from Area $I(64.5\%)$ to Area$II(73.9\%)$ and then decreasing significantly in Area $III(32.9\%)$ From the results measured and calculated, we suggest a specified geoacoustic model in the study area.

A Study on DFS Beneficial for Reduction on Speed and Traffic Accidents (based on school zones in Buchon city) (DFS설치에 따른 속도 및 교통사고 감소효과에 관한 기초 연구 (부천시 School-zone을 대상으로))

  • Lee, Kye-June;Kim, Gy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4
    • /
    • pp.31-38
    • /
    • 2008
  • Under the recent situation that there increase the efforts to facilitate DFS(driver feedback sign) in school zones and children's protection areas caused by severity of traffic impact on children, the current study aims at predictively evaluating how and to what extent the reduced car speed is influential to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chon city by analyzing the velocity variation before and after DFS installation including its reduction ratio in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related literature survey. It, furthermore, aims at identifying applicable effectiveness in DFS operation for elementary schoolers in Buch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