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술 채록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lanning of Oral History of Korean Astronomy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 기획론)

  • Choi, Youngsil;Kim, Sang Hyuk;Mihn, Byeong-Hee;Seo, Yoon Kyung;Ahn, Young Sook;Yang, Hong-Jin;Choi, Go-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6.2-66.2
    • /
    • 2019
  • 구술채록은 특정 주제의 연구사 기록화 작업에 있어 후대에 생생한 역사체험을 전승할 수 있는 최적의 연구사업이다. 특히 국내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원로들이 대부분 연로하다는 점에서 한국천문학 발전사에 대한 구술채록은 시급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는 그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해 온 사료분류체계 수립작업과 단발적인 구술채록 경험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구술채록 연구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의 절차적 방법에 대한 기획론이다. 크게 (1)구술채록 로드맵 수립, (2)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 (3) 산출물 관리 및 활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구술채록 로드맵 수립에 있어서는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의 태동기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역사연구 및 주제분류를 중심으로 천문학 구술기록 특성화를 기한다. 이를 기반으로 구술대상자를 선정하고 큰 맥락의 역사와 개인 생애사를 교차하는 분석 틀을 중심으로 인터뷰 질문지를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구술대상자의 소장 사료를 도출하여 미리 잠재적 사료 수집을 도모하도록 한다. 둘째, 본격적 구술기록 생산 프로세스에서는 전 단계에서 이행한 수집정보를 바탕으로 구술 산출물을 제작한다. 면담일지, 상세녹취록, 요약본, 이용동의서 등 기타 필요한 구술 제반 서식을 바탕으로 구술 동영상을 산출하고 라벨링한다. 이 산출물에 대한 사실관계 검증 후 최종 산출물 완성 및 기타 행정 처리로 제작은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산출물 관리 및 활용에 있어서는 사료 수집 전략의 기반 자료와 다양한 지식정보콘텐츠의 활용체계를 수립한다. 더 나아가 향후 이 연구사업은 구술DB화와 서비스 체계화를 위하여 구술아카이브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성과물을 활용한다. 이 연구기획론은 한국천문학이라는 특정 주제에 대한 것이므로 큰 틀에서의 방법은 기록학적 전개방식을 차용하지만, 역사연구와 기록의 특성화에 있어서는 한국천문학 연구사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범위한 한국천문학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다양한 학회,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각종 사단법인 등의 역사와도 긴밀히 연결되어야 성과물은 비로소 가치 있고 풍부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발점으로 향후 한국천문학 발전사 구술채록 사업에 대한 다양한 관학연구의 인식 공감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nings and Roles of Oral History from a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 Kim, Myoung-Hu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4
    • /
    • pp.73-112
    • /
    • 2010
  • With progress of the sound and moving picture recording technology, sound and moving picture have been a tool for evidence and memory on human activities. Accordingly, in archival science the importance of oral history as a record is disseminating and the production of oral record is carried out actively. But for producing oral record in archival institutions, the identity of oral record need to be established more firmly. Archival science is the task which delivers the current appearance of life to future through records. Therefore producing oral record in archival science must have unique characters. And archival science is the task which is building current memory. Therefore the identity of oral more firmly.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oral record from a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All these days,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d been developed focusing on written records mainly in the deep-rooted influence of positivism. But as it is enabled the creation and preservation of records through 'speech', it need to be noted that oral record is the very core of tool for delivering the current society shape and collective memory. Therefore this article will inten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oral record as a part of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oral record.

Th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Creation of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Oral Records: Focused on 'A Research Project of Producing Oral History Video Clips Displayed at the Exhibition of IMF Situations'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구술 기록에 기반한 박물관 전시콘텐츠 생성의 방향과 과제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전시 맞춤형 구술영상 제작 연구'를 중심으로 -)

  • Cho, Sungsil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56
    • /
    • pp.305-327
    • /
    • 2020
  •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useum oral history recording projects, which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in recent years, are being used in various forms, especially in exhibitions. This paper is emphasized on the need for the oral history-related projects to lead to various museum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s and educations and so on. As a practical example of thi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oral history projects in museums 'A Research Project of Producing Oral History Video Clips for the Exhibition of IMF Financial Crisis Situations'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s analyzed. This research argues that oral history functions as an exhibition representation device that more actively reveal the reality of a specific historical ev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useum can be developed as a venue for various discourses in which citizens participate actively using oral history.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 Song, Zoo Hy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4
    • /
    • pp.155-197
    • /
    • 2015
  • Disaster of Sewol took place in one year. Meanwhile, the victim's family and the call time record academics have tried to record it. Ansan activists have moved to objectives such as civil records committee also pivotal. The citizens committee under the dictation recording oral history team has a diverse group of people associated with the time issue. bereaved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oral as well as volunteers, religious personnel, activists, Ansan citizens and various people. Disasters around the world is also an important event to remember and honor the people together, and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to record There it is establishing an oral history archive. Does not leave a lot of nature history of sudden disasters that occur, as well as a tribute record dictation telling people of diverse perspectives on events helps a lot closer to the reality of the event. Erected i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Museum to honor the Sept. 11 attacks and provide a variety of programs to chaerok dictation of the people involved with 9/11. To remember the 2013 Boston Marathon bombing 'Our Marathon' of crowdsourcing digital archive was built. In the archives of the local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were created to collaborate actively and gathering oral history. Pan Am Flight 103 pieces terror has established an archive from Syracuse University. Here, neither graduates, faculty, and to the victim's family and friends gather and oral hitory. Disaster-related Sewol neither should be able to be used as in the case of foreign well, and it should continue to honor the victims of the collection. It also ought to occasion again to avoid this disaster on earth.

A Study on the Meaning and Scalability of Citizens' Oral History Archiving: Focusing 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Project' in 2021 (시민 구술 아카이빙의 의미와 확장성 고찰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생활사아카이빙 사업을 중심으로)

  • Sohn, DongYou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80
    • /
    • pp.129-16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activation of citizen oral history. As is well known, research on oral history gradually began in earnest in Korea from the 1980s. Until now, citizen interviews by researchers and elite interviews by researchers have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However, citizen interviews by citizens are insignificant. The "Digital Life-history Archiving" project, which has bee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2021, is a new and meaningful attempt. Citizens are educated on archiving and oral history to conduct interviews and produce archives. It is producing high-quality oral archives, securing citizens' archiving capabilities, and building loc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in 2021, I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and looked at the implications. I expect it to help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future. I also proposed a plan to actively produce and utilize citizen oral archives. To this end, specific cooperation between oral-history institutions and oral archives platforms were also proposed.

Oral History as a Record of Dance (무용 기록으로서의 구술사)

  • Lee, Eunjoo
    • Trans-
    • /
    • v.6
    • /
    • pp.43-78
    • /
    • 2019
  • Dance is an art that includes not only art historical facts, but also a series of processes for dancers' body, choreography, and the creation of entire process of dances and their lives. In other words, dance is the art of embodying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dancer as the subject, and embodying it through the physical body, and therefore, the existing empirical study which relies solely on th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dance study is difficult to deliver a complete history. Oral history is a new methodology historical writing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research methods based on literature centered documents. Oral history in the field of dance is that the dancer becomes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dance's narrative. The memory and testimony of a dancer can become a history, complement the missing parts of the documentary record, and amount to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attempt the history of da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history of dance through oral history analysis thus generates another view from the literature. The oral history is acted as a prism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discourse of the time and the history of dance. As a new academic challenge for the history of dance field, I expect to be able to review the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and roles of dance beyond the limit of existing literature-oriented history study and to be able to progress to various the history of dance.

  • PDF

A Study on Creation,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ocess of Digital Oral Records (디지털 구술기록의 생산 및 정리·보존 절차에 관한 연구)

  • Kim, Myoung-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0 no.1
    • /
    • pp.7-29
    • /
    • 2010
  • This article intends to establish a creation,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ocess of digital oral records. Because oral records is the work that will record memories of survivors, it is necessary of creating, managing and preserving reliable oral records; Oral records is the work that needs cooperations among interviewer, interviewee and cameraman, the formulation of systematic process can be called an essential issues. Moreover creating, managing and preserving digital oral records need the formulation of systematic process. Therefore this article establish creation process and management and preservation process of digital oral records based on examining a generic character of digital oral records.

A Study on Modeling Metadata and Developing Standard Elements to Establish Oral History Archives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ung-Yeo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1
    • /
    • pp.163-184
    • /
    • 2009
  •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standard metadata model and develop elements and present the importance of oral history archives that contrast with literature history. The study analyzed standard metadata description elements that can express contents and forms of oral history archives as information. Furthermore, it designed Project, Management, Record, and metadata modeling as a Related record domain for the sake of building digital oral archives. Finally, the study gave shape to real oral history archives based on basic elements, details, and design principles of division elements.

Collaborative Archiving Project with Citizens: A Case Study on the Paju Central Library (시민과 함께 하는 기록화 사업 :파주중앙도서관 사례)

  • (Myung Hee Y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3 no.3
    • /
    • pp.165-173
    • /
    • 2023
  • With the objective of recording the life stories of Paju's long-time residents, the Paju Central Library has been implementing the "Human in Paju" project by forming the Citizen Oral History team since 2017. Building upon the success of this initiative, Paju Central Library became the first library in the country to establish a Records Management team. Subsequently, regulations were enacted, and a committee comprising citizens and officials was formed to ensur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archival project. Moreover, they emphasized public discourse and collaboration at every stage by creating a system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rchiving throughout Paju and support citizens in becoming active participants in the project.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case study of this exemplary local government library.

An Oral History Study of Overseas Korean Astronomer: John D. R. Bahng's Case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원로 구술사연구 -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사례 -)

  • Choi, Youngsil;Seo, Yoon Kyung;Lee, Hyung M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4-74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7년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 이어 2020년 제2차 사업을 진행하면서 최초로 원외 원로에 대한 구술채록을 시도하였다. 국가 대표 천문연구의 산실로서 연구원 존재 의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내 원로에 국한되었던 구술자 대상을 확장한 것이다. 그 첫 외부 구술 대상자로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천문학과 교수를 선정하여 2020년 7월부터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방득룡 전(前)교수가 첫 번째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인사 구술자로 선정된 이유는, 그가 우리나라 천문대1호 망원경 구매 선정에 개입한 서신(1972년)이 자료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에 수행한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서 구술자로 참여한 오병렬 한국천문연구원 원로가 기증한 사료들은 대부분 연구원 태동기 국립천문대 구축과 망원경 구매 관련 자료였으며 이 가운데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김선길 진흥국장에게 Boller and Chivesns(사(社))의 반사경을 추천한 방득룡 전(前)교수의 서신은 한국 천문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료였다. 연구진은 이 자료를 시작으로, 방득룡 전(前)교수의 생존 여부와 문서고의 공기록물들에서 그의 흔적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실제 세계와 한국천문연구원 문서고 깊숙이 기록물들 모두에서 상존하고 있었다. 1927년생인 방득룡 전(前)교수, Dr. John D. R.은 미국 플로리다 한 실버타운에서 건강한 정신으로 생존하여 있었고 연구진의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2020년 9월 16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세종홀 2층 회의실에서 영상통신회의로 그와의 구술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 구술인터뷰는 원외 인사가 대상이란 점 외에도 방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대면 방식이 아닌 영상 인터뷰였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의 대안이 되는 실험적 시도였다.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사의 재조명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2년 정년퇴임까지 30년을 미국 유수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해 온 한국계 천문학자가 우리나라 최초 반사망원경 구매 선정에 적극 개입하였던 역사는, 공문서 자료들과 서신 사료들에 이어 그의 육성으로 나머지 의구심의 간극이 채워졌다. 또 구술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기억'이 중요한 아카이빙 콘텐츠 확장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술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점을 주었다. 애초 연구진이 방득룡 전(前)교수의 공식 기록에서 아카이빙의 큰 줄기로 잡았던 것은 1948년 도미, 1957년 위스콘신 대학교 천문학 박사학위 취득,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천문학 교수진, 1992년 은퇴로 이어진 생애였다. 그러나 그와의 구술 준비 서신 왕래와 구술을 통하여 알게 된 그가 인생에서 중요시 여겼던 지점은, 1948년 도미 무렵 한국의 전쟁 전 상황과 당시 비슷한 시기에 유학한 한국 천문학자들의 동태, 그리고 1957년부터 196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M. Schwarzschild 교수와 L. Spitzer 교수를 보조하며 Stratoscope Project를 연구하였던 경험이었다. 기록학적 의미에서도, 전자를 통해서 그와 함께 동시대 한국 천문학을 이끌었던 인재들의 맥락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세계 천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석학에 대한 아카이브 정보와의 연계 지점과 방득룡 전(前)교수의 연구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은 추후 방득룡 콘텐츠 서비스 시에 AIP, NASM, Lyman Spitzer 콘텐츠, 평양천문대, 화천조경천문대, 서울대와 연세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까지 연계되어 전 세계 폭넓은 이용자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방득룡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자 개인의 주관적인 소회가 공식 기록이 다가갈 수 없는 역사적 실체에 일정 부분 가까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역사는 공동체의 역사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방득룡 전(前)교수의 회상을 통하여 구술자 개인의 시각으로 한국과 미국 천문학계의 공동체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었고, 이것을 아카이브 콘텐츠 확장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아카이브로 연동될 수 있는 주제어와 검색도구를 구술자 개인의 회상으로부터 유효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한국천문 구술아카이브의 확장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활용과 연구 재활용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LOD(Linked Open Data)의 방향성과도 흡사하여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의 차세대 통합형 기록관리의 미래모형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