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순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7초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Locator® 유지장치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의 보철수복증례 (Removable implant-supported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s in a cleft lip & palate patient: A clinical report)

  • 양상현;김경아;김자영;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07-214
    • /
    • 2015
  • 본 증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순의 반흔, 상악 잔존치조제의 과도한 흡수, 협소한 구개 및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한 3급 악간관계로 인해 통상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에 한계를 보이기 때문에 상악 무치악 부위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 후,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를 이용한 상악 가철성 임플란트 피개 국소의치를 계획하였다. 통상의 주조방법은 주조 후 수축을 하게 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밀링한 titanium bar는 높은 정밀성과 경제성 그리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milled bar는 아주 균등하고 정확한 마찰결합을 얻기 힘들며 의치의 반복적인 착탈에 의해 마찰 유지력이 감소 할 수 있다. 이에 milled bar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 유지장치(e.g. friction pin, $ERA^{(R)}$, $CEKA^{(R)}$, magnetics, $Locator^{(R)}$ 등)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인 유지력, 경제성 및 교체의 용이성 등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milled titanium bar의 상부면에 drill and tapping 방법으로 $Locator^{(R)}$ 유지장치를 연결하였다. milled bar에 screw hole을 형성하고 3개의 $Locator^{(R)}$ 유지장치를 20 Ncm으로 체결하여 추가적인 유지력을 확보하였다. 보철수복 후, 환자가 원하는 심미적인 안모, 저작 기능 및 의치 유지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nlcture of metacercaria and adult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nophallidae))

  • 최민호;박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89-296
    • /
    • 1995
  • 참굴큰입흡충(GMmophoHo썼esseoi)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제1형 감각유두가 구흡반 구순을 따라 원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또, 제1형 감각유두가 유충의 복측 양쪽으로 일렬로 길게 배열되어 있었다. 복흡반의 전방에 위치한 ventral pit는 근육성으로 잘 발달하였고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해 있었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피극은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의 복측 중앙부를 제외한 전 표피에 분포하였으며 구흡반 주위에는 3-5분지된 피극이 덮혀 있었으나 후방으로 갈수록 피극의 크기와 밀도가 감소하였다. 감염 3일된 성충은 양 말 단이 뽀쪽한 마름모 모양이었으며 감각유두의 분포는 피낭유충에서 관찰되는 양상과 비슷하였으나 피낭유충에서 관찰런 일렬로 배일과 감각유두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극은 피낭유충의 경우보다 크기가 더 커지고 많이 분지되었다. Ventral pit는 성충이 되면서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감각유두의 수도 증가하였다. 참굴큰입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나경흡충과(나경흡충과)의 충체들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피낭유충과 성충의 미세구조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점은 광학현미경에서 관찰된 양상과 비슷하였다. 또 ventral pit의 모양과 감각유두의 분포로 보아 충체가 기생부위에 흡착할 때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만으로는 정확한 기능을 추측하기 어려웠다.

  • PDF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제3기 유충의 종 동정 (Identification of larval Gnathostomn obtained from imported Chinese loache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3호
    • /
    • pp.161-168
    • /
    • 1996
  •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종 동정하고자 하였다. Early third-stage larva($EL_3$)는 중국산 미꾸리의 내장에서 분리 수집하였고 advanced third-stage larva($AdL_3$)는 $EL_3$를 마우스에 실험감염시킨 후 4주에 회수하였다 미꾸리 및 마우 스로부터 획득한 충체들을 10% formalin으로 고정하였고 alcohol-glycerin 용액을 거쳐 glycerinfelly로 봉입한 후 관찰 및 계측하였다. 총 9 493마리의 중국산 미꾸리를 조사하였던 바 총 369마리의 $EL_3$가 검출되었다. $EL_3$는 평균 0.624{\;}{\times}{\;}0.101 mm 크기이었고 체표면에 약 190 줄의 가로주름(transverse striation)이 나 있었으며 각 주름에는 미세한 가시(cuticularspine)들 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전단에는 1쌍의 구순이 돌출되어 있었고 그 뒤로 근 육성의 인두(평균 0.229 mal)와 갈색의 장이 이어졌으며 후단 근처의 복측에 항문이 개구하였다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34{\;}{\times}{\;}0.071 mm)에는 소구(hooklets)가 평균 36 7개, 39.5개, 41.6개 및 44.3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고 head bulb 바로 뒤에는 2쌍의 cervical sac(평균 0.133 mm)이 인두를 따라 길이로 배열되어 있었다. AdLB는 평균 $2.660{\;}{\times}{\;}0.346{\;}mm$ 크기이었고 충체 전단의 구순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97{\;}{\times}{\;}0.193{\;}mm$), 근육성의 인두(평균 0.755 mm), 2쌍의 cewicalsac(평균 0.355 mm). 갈색의 장 등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충체 head bulb에는 소구가 평균 39.0개, 41 9개, 43.9개 및 45.6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으나 몇 몇 충체에서는 5번째 줄에 3~7개의 소구가 배열되어 있었다. 이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계측치를 토대로 하여 중국산 수입 미꾸리와 실험감염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악구충을 돼지악구충 (Gnathostoma hispidum)의 제3기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 PDF

치위생과 실습환경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출현 양상 (Isol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a Dental Hygiene Practice Laboratory)

  • 이혜진;김민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3-187
    • /
    • 2008
  • 본 연구는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S. aureus균의 분포를 일부 치위생과 임상실습실을 통해 알아보고 교차감염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은 사람과 환경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사람은 실습학생과 실습환자, 환경은 임상실습실과 실습강의실, 소독실에서 시행되었으며 시간은 진료 전과 진료 중, 진료 후를 조사 평가 하였다. 1. 전체 균주 중 S. aureus는 환자의 구강에서 55%, 비강에서 35%, 구순에서 10%가 체취 되었으며 술자인 학생에게서는 구강이 50%, 비강이 40%, 구순이 15%가 체취 되어 사람에게서는 구강에서 가장 많은 S. aureus가 나타났으며 환자와 술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임상 실습실의 시간과 장소에 따른 S. aureus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진료 도중에 가장 많이 발견 되었으며 특히 라이트 손잡이와 머리 받침대, 타구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p < 0.001), 유니트 체어의 버튼과 손잡이 부분과 3-way syringe, 트레이 테이블, 문 손잡이 부분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3. 실습 강의실은 수업 중 책상에서만 S. aureus의 분포가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마네킨과 의자, 창틀에서도 사람이 활동하는 시간에 S. aureus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소독실의 경우 소독실로 들어가는 손잡이에서만 진료 도중 S. aureus의 분포가 유의하게 나타났고(p < 0.001) 소독기와 기구 트레이, 약제 트레이에서는 진료 도중에 S. aureus가 출현하지 않았다.

  • PDF

구순 및 구개열을 가진 상악 후퇴증 환자의 교정-외과적 치험 1례 (A Case of Orthognathic Surgery in Congenital Alveolar-Palatal cleft patient)

  • 박재현;이명진;이창곤;김종섭;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89-196
    • /
    • 1992
  • 유아기에 구순성형술 및 구개성형술 등에 의한 중 안면부의 성장장애를 동반한 성인환자에서 만기 이차성 골이식술(Late secondary bone graft)을 동반한 Le Fort I osteotomy를 시행한 결과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개선 효과를 얻었다. 1. 증례에서는 골지지가 거의 없는 우측 상악 중절치 및 측절치 부위의 치아를 발거하고, 술전 교정치료로 변위된 치아의 배열과 소실된 공간을 회복한 후 장골이식을 동반한 상악골 전진술을 시행하였다. 2. 파열 변연부위에 골점막 절개를 시행한 후 순측 구개측 봉합 및 비점막을 거상하여 구비강 누공을 폐쇄한 후 장골능에서 얻은 골수-망상골을 이식하였다. 3. 수술후 구비강 폐쇄로 비음이 개선되었고, 술후 8개월된 방사선 사진상 파열부위의 골 재생을 확인한 후 보철치료를 시행하였다. 4. 표준 두부방사선 계측상 상악골의 전진에 의한 측모의 현저한 개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구개점막과 협점막의 절개에 사용되는 칼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for improving the surgical mess using palatal and buccal mucosal incisions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

  • 서병무;최진영;이종호;김명진;정필훈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2001
  • Disposable blade is widely used for palatal and oral mucosal incision in oral and maxillofadal surgery nowadays, But its design and durability need for improvement, Especially, there are so many hard tissues intraoral area, such as bone and tooth, therefor the sharpness of the surgical blade was easily destroy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design of surgical blade using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 including for the patients who have cleft lip and palate deformities, Some questionnaires about the usefulness of currently used surgical blades were sent to 150 dentists, the 54 of them made a reply, Secondly, The used-once blade and fresh new blade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the 4000-times magnification, Lastly, the tissue reaction following the surgical incision with a fresh-new and a used blade on rat buccal cheek mucosa and hard palate was evaluated with light microscope with hematoxilin-eosin staining, The time interval from the surgical trauma to taking a sample were 1 day, 3 days, 7 days, and 14 days, At each time schedule, 2 Sprague-Dawley rats were sacrificed, Many dentists were agreed to need for changing the design of the surgical blades and also dem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lades, They were also eager to adopt the new design of blade if it was available, The blade used in surgical extraction procedure was heavily damaged in its sharpe edge of number 15 blade, The histological differences were not prominent, but the delayed healing was detected in buccal mucosal defects especially in the surgical group with used blade, There are slight different changes in hard palatal defects between a used and a new blade group, In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there are imperative demanding on improvement of surgical blade design and durability for oral and maxillofadal area, The blade currently using in surgical extraction was easily damaged, The animal model of this study was not perfec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 PDF

계태아 발생시 TGF-$\beta$3가 구개판 내측돌기상피의 상피간엽변환 및 상피성장인자수용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GF-$\beta$3 on Epithelial-mesenchymal transformatio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xpression in palatogenesis of chicken embryo)

  • 양병은;이종호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6
    • /
    • 2001
  • Cleft lip and/or palate is the congenital orofacial malformation most commonly occurred in humans, The disease is multifactorial and is probably caused by genetic and/or environmental factors, So, there are many problems in research concerning etiology and in treatment of the disease, Even the most practiced and sophisticated methods of surgical repair are necessarily followed by scar contraction and fibrosis, which result in skeletal defects, dental abnormalities, cosmetic disfigurement, and speech impairment, As a result, Fetal surgery can be considered but practiced rarely when the deformity is not fatal to life, And treatment of cleft palate is performed in the form of medicine projection into uterus in animal experiments, Many studies show that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 emerge from the developing palate; and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have a important role in craniofacial development and in palatal fusion, The palatal morphogenesis of the avine is different from the mammal's; it takes the form of physiologic cleft palate, Recently, cleft palate fusion experiment was performed when the avine were in the period of palate formation through the exogenous TGF-β3 addition, and it showed that the exogenous TGF-β3 makes fusion of divided palate through certain process when cleft palate is occurred in palatal formation, In this study, I had the conformation of the fusion of cleft palate through the addition of TGF-β in case of chicken embryo, and observed the effect of TGF-β in EGF receptor distribution, And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In case of the TGF-βl and β3 addition group, there was the decrease of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mmunoreactivity in mesenchymal cells beneath the medial edge epithelium and also in epithelial mesenchymal interface which is between medial edge epithelium and nasal septum in 72 hours, 2, The immunore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resembles that of normal chicken embryo palate in development, 3. In the view through fluorescence confocal microscopy, there was confluence in TGF-β3 addition group, This shows that the confluence induced by exogenous TGF-β3 is related to EGFR expression in palate of chicken embryo, which is a physiologic cleft palate model.

  • PDF

치조 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성 골이식술 후의 치조정 높이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예비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alveolar crest height after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 in the cleft alveolus patients : Preliminary Study)

  • 최진영;김명진;김수곤;윤정주;정필훈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
    • /
    • 2000
  • 목적 : 치조파열 환자에 있어서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와 수술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 높이를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각각 측정함으로써 치조정의 높이가 과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지와 치조골 이식술의 성공률이 치조열의 너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환자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자가장골 채취 후 분쇄피질망사골 형태 또는 block 피질망상골 형태로 이식한 편측성 치조열을 가진 환자 중 최소한 6개월이 경과한 환자 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두 술자에 의해 시술되었다. 수술전 골결손부 인접치아의 치조정의 높이와 치조열의 너비 및 수술후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은 치과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치조열의 너비는 모델이나 환자의 골결손부 근심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리고 이식한 골의 높이와 절흔의 양을 1995년 Long이 제시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술전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치조열의 너비는 평균 6.9mm(1.9mm-12.1mm) 였다. 근심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중절치가 52개(92.9%), 측절치가 4개(7.1%)였고, 49명의 환자에서 완전맹출을, 6명의 환자에서 부분맹출(측절치 2개, 중절치 4개)을 보였다. 원심측에서의 치아는 골이식 당시 측절치가 25개(44.6%), 견치가 29개(51.8%), 소구치가 2개(3.6%)였고, 완전 맹출이 32.1%, 부분 맹출이 57.2%, 미맹출이 10.7%로서 완전히 맹출하기 전에 골이식한 경우가 67.9%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bony bridge가 나타났고, 절흔이 인접치 아래로 연장되지 않았으며, 치조골 이식술 후 oronasal fistula를 보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으므로 성공률은 100%였다. 술후 근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근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79%(평균), 원심측에서의 치조정의 높이는 원심측 치아 치근길이의 87%(평균)로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차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치조정의 높이는 골결손부 근심측과 원심측에서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근심측에서보다 원심측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치조열의 너비와 절흔의 양, 치조정의 높이 및 치조골이식 성공률과는 유의성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 PDF

한국인 성인남성 사체에서 시행한 인중 구륜근 섬유들의 효소-조직화학적 분석 (Enzyme-Histochemical Study of Philtral Orbicularis Oris Muscle Fiber Types in Korean Male Cadaver)

  • 유명숙;박정민;이희수;이석근;강지영;어미영;이종호;김성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56
    • /
    • 2009
  • The orbicularis oris muscle (OOM) is a very important muscle that originate from the second branchial arch and is innervated by the facial ner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distribution types of two muscle fibers that composing OOM by using enzyme-histochemical examinations and tried to make a basis for a clinical application. The fresh frozen tissues from the superior and inferior portions of the OOM were taken from post mortem 65-year-old Korean male adult. Total five different sagittal sections were used on the midline of the philtrum, the middle portion of lower lip, the mouth corner, and each midlateral side of upper and lower mouth. We used enzyme-histochemical staining such as Periodic Acid-Schiff (PAS), Succinic Dehydrogenase (SDHase),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Tetrazolium Reductase (NADH-TR), Adenosine Triphosphatase (ATPase) in pH 9.4, 4.6 and 4.3, and Modified Gomori Trichrome. There were about 30.24 % type 1 muscle fiber and 65.40 % type 2 muscle fiber in the midline of the philtrum (p < 0.05). Enzyme-histochemical staining is very useful and innovative method to elucidate characteristics of muscle fibers. We expect that chiloplasty and reconstruction of the lip portions for cleft lip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are better to recovery function and aesthetic. However, we have some problems as an intramuscular variability and the inter-individual variation etc. Therefore we have to make progress these studies continuously to overcome these problems.

  • PDF

미야타흡충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gonimus miyatai metacercariae and adults)

  • Jong-Yil CHAI;Younh-Je KANG;Sung-Yil CHOI;Sang-Mee GUK;Jae-Ran YU;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17-225
    • /
    • 1998
  • 미야타흡충 (Metagonimus miyata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자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피라미 (Zacco platypus)의 비늘에서 분리하였고, 성충은 흰쥐에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1-4주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의 전체적인 외형은 요코가와흡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복흡반은 충체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하였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형 감각유두 및 제II형 감각유두가 여러 개 관찰되었다. 복흡반 앞쪽에는 끝이 5-7분지된 피극들이 빽빽하게 덮혀 있었으며, 충체 후반부의 배설공 부근에는 2-3분지된 피극으로 덮혀 있었다. 감염 1주된 성충의 경우,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I형 감각유두 7개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구흡반 내벽에는 큰 제I형 감각유두가 1쌍씩, 작은 제I형 감각유두가 2쌍씩 좌우측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피극의 분포는 피낭유충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분화도는 증가하여 9-11분지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감염 2-4주된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감염 1주된 성충과 대동소이하였으나, 정자가 충체 배측 표면으로 개구된 Laurer's canal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미야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요코가와흡충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피극의 분포 및 분화도, 구흡반 주변의 감각유두 분포 등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분류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