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속된 콘크리트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36초

신형식 강-콘크리트 합성교량: S.B 합성거더 (A new type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S.B girder)

  • 심준기;지광습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41-42
    • /
    • 2010
  • 최근 강구조 형식에 상단부가 강재로 구속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획기적인 교량형식인 S.B합성거더가 개발된 바 있다. S.B합성거더는 강재로 구속된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받아 강성이 높고 강재의 좌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압축부가 강재대신 콘크리트로 일부 대체되어 강재소요량이 적어 경제적인 강-콘크리트 합성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발된 S.B 합성거더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 PDF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시험체 치수에 따른 콘크리트 수축균열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ng Shrinkage Cracking Properties of Concrete by Size of Specimen of Plat-Ring Restrained Test Method)

  • 최형길;남정수;나철성;백용관;김규용;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581-5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그 특성을 국내.외에서 제안된 콘크리트 구속수축시험방법과 비교하여 간편하고 정량적인 수축균열 평가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적정 시험체 치수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체 내부링 직경 100, 150 및 200mm, 시험체 높이 30 및 50mm에 대하여 온도 20${\pm}$3$^{\circ}$C, 습도 60${\pm}$5%의 항온항습조건에서 양생 후 마이다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3D Solid 요소의 수치 해석, 건조수축변형, 구속수축응력, 균열면적 및 균열 포인트 측정 등 콘크리트의 구속수축균열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콘크리트 링 시험체 내부 링 직경 최소 150mm이상, 높이 50mm에서 변별력 있는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에 있어서 온도, 풍속 등의 환경조건 및 배합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구속수축균열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탄소 섬유관으로 구속된 콘크리트 부재의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Concrete Filled Carbon Composite Tube)

  • 김희철;이경훈;홍원기;이영학;엄철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관으로 구속된 무근 콘크리트 원형 및 각형 기둥에 대한 축하중 및 횡하중 재하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몬테카를로 해석을 이용한 신뢰성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탄소섬유관으로 구속된 무근 콘크리트 원형 및 각형 기둥과 탄소섬유관으로 구속된 철근 콘크리트 원형 및 각형 기둥의 두 가지 경우에 대한 강도저감계수를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 무근의 경우에는 강도저감계수가 0.7로 예측되었고, 철근이 삽입된 경우에는 강도저감계수가 0.85로 예측 되었다. 이러한 계수값은 원형과 각형인 경우 모두 같은 계수값을 보여주었다.

지진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소요연성도에 따른 심부구속철근량 (Confinement Steel Amount for Ductility Demand of RC Bridge Columns under Seismic Loading)

  • 손혁수;이재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715-725
    • /
    • 2003
  •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새로운 내진설계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지진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연성도와 심부구속철근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설계식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횡하중-변위 포락곡선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며, 특히 변형능력 및 연성도에 대하여는 실험결과에 비하여 안전측의 결과를 제공하는 비선형해석 프로그램 [NARCE]를 이용하였다. 해석의 대상 교각으로는, 단면지름, 형상비, 콘크리트 강도, 축방향철근 항복강도, 심부구속철근 항복강도, 축방향철근비, 축력비, 심부구속철근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총 7,200개의 철근콘크리트 나선철근 기둥 모델을 채택하였다. 해석결과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소요연성도에 따른 심부구속철근량의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식은 연성도에 기초한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새로운 내진설계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콘크리트 보강강판 및 GFRP 튜브의 구속효과 분석 및 평가 (Assessment of Confining Effect of Steel and GFRP Jackets for Concrete)

  • 최은수;안동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85-39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제안된 콘크리트의 강판 보강기법 및 GFRP 튜브의 구속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새로이 제안된 강판 보강기법은 기존의 강판 보강기법과 설치 및 거동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 기법의 구속효과를 평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GFRP 보강기법과 상호비교를 통해서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강판 보강기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안한 식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GFRP 보강기법은 보강두께 및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 구속효과가 없는 경우가 나타났기 때문에 기존의 구속효과 추정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이 추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구속효과가 발생하는 최소 보강두께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기법으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파단변형률 비교하여 연성거동 능력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의 초기수축균열 평가를 위한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lat-Ring Restrained Test Method for Evaluating Early Age Shrinkage Crack of Concrete)

  • 남정수;박윤미;김영선;김영덕;김규용;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21-8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그 특성을 국내 외에서 제안된 콘크리트 구속수축시험방법과 비교하여 간편하고 정량적인 수축균열 평가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시험체 내부 링 직경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구속수축균열특성 평가를 통하여 내부 링 직경 150mm의 적정 시험체 치수를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시험체 사이즈를 대상으로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의 검증실험의 일환으로 PVA섬유혼입 유 무에 따른 시험방법의 유효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은 초기재령 48시간이내에 발생하는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측정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판상-링형 구속시험방법에 있어서 온도, 풍속 등의 환경조건 및 배합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구속수축균열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횡 구속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of Confined Concrete with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s)

  • 김상우;이정미;이용준;정유진;김길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95-20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나선 철근으로 횡 구속된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한다. 전기로 산화 슬래그는 철강 산업의 부산물로서, 그동안 유리석회와 유리마그네슘의 팽창성질 때문에 저부가가치적인 용도로만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제강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안정화된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의 생산이 가능하여 졌다. 구조용 콘크리트에 대한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경이 150 mm이고 높이가 300 mm인 실린더형 실험체를 총 27개 제작하고 횡 구속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골재의 종류와 나선 철근의 항복 강도로 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실험체의 구조적 성능이 천연골재를 사용한 횡 구속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속효과를 고려한 콘크리트 충전 원형강관 기둥의 비틀림 거동 (Torsional Behaviour of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Tube Column Considering Confinement Effect)

  • 윤복희;이은택;박지영;장경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529-541
    • /
    • 2004
  • 콘크리트 충전 강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단일 압축상태, 휨모멘트 상태, 편심 압축력 상태의 연구만이 행해 졌을 뿐 압축력과 비틀림이 조합된 응력 상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축력과 비틀림을 받는 원형 CFT 부재의 거동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해석법을 연구하였다. 원형 CFT부재가 압축력과 비틀림을 받을 경우의 압축 강도와 비틀림 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 요소인 구속효과와 부착 응력에 의한 스파이럴 효과를 본 모델에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 압축응력을 받을 경우 원형 강관에 의해 구속된 콘크리트 코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었다. 또한 비틀림을 받을 경우는 비틀림에 의한 크랙이 콘크리트의 표면을 따라 발생하게 된다. 크랙 발생이후 비틀림을 계속 받게 되면 크랙은 나선형태로 진전되어 콘크리트가 솟아 나오려 하나 강관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 응력에 의해 억제 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코어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을 받게 되고 강관만 인장응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영향 효과를 실제적으로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이론은 압축력과 비틀림을 받는 원형 CFT부재의 실제 거동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내부 강관 보강 원형 R.C 기둥의 연성 거동 특성 (Ductility of Circular Hollow Reinforced Concrete Piers Internally Confined by a Steel Tube)

  • 한택희;한상윤;한금호;강영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7-137
    • /
    • 2003
  • 구조적으로 콘크리트의 자중이 문제 시 되는 곳이나, 콘크리트의 재료비가 높은 경우, 수직부재로 중공 콘크리트의 사용이 경제적일 수 있다.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발휘를 위해 외측 면을 띠철근으로 보강하고 내측 면에 강관을 삽입하여 보강한 원형 중공 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거동에 관해 연구하였고, 압축강도와 콘크리트의 극한변형율을 증가시키는 구속력의 효과를 나타낸 Mander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사용하여, 모멘트-곡률 관계 해석을 유도하였다. 극한변형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구속력을 발휘하는 철근의 철근비와 항복응력, 구속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등을 극한변형율과 횡철근비의 관계를 통하여, 강관 삽입된 원형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구속응력과 횡철근비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횡철근비 관계식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강재로 구속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개발을 위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eel-Confin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 김정호;박경훈;황윤국;최영민;조효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통권60호
    • /
    • pp.593-602
    • /
    • 2002
  • 콘크리트와 강판, PS강재의 구조적 장점을 극대화하여 낮은 형고로 경간을 장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교량 상부구조형식으로서 강재로 구속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Steel-Confin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CP Girder)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SCP 합성거더의 효과적인 설계 및 제작을 위하여 설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작절차를 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SCP 합성거더를 실물크기로 제작하여 시공성을 확인하였으며, 재하실험을 통해 설계의 타당성과 구조적 안전성 및 실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