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성아미노산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3초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 임지순;이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1-6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촌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유용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월하시 생감과 곶감의 수분함량은 85.52, 47.36%, 조지방은 0.1, 0.13%, 조단백질은 0.30, 1.89%, 조섬유는 0.56, 2.0%를 각각 나타내었고, 수분활성도는 0.994, 0.838, pH는 5.68, 5.73, 당도는 12.6, $56.4^{\circ}Brix$를 각각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감과 곶감의 명도 L값은 외부가 47.58, 37.80, 내부는 66.55, 24.96을 각각 나타내었고, 황색도 b값은 외부가 73.40, 20.17, 내부는 26.55, 29.66을 각각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 glucose와 fructose 만이 확인 되었다. 곶감에서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glucose는 생감보다 3.24배, fructose는 3.67배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곶감에서 모두 17종이 확인되었다. 구성아미노산 중 전반적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argi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valine, threon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들이 골고루 검출되었다. 생감과 곶감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3,130.76 ppm과 12,849.33 ppm으로 곶감이 생감보다 4.1배나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nic acid(C18:3) 등 14-1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linolenic acid(C18:3)가 생감에 32.70%로, palmitic acid(C16:0)가 곶감에는 48.62%로 각각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을 AAS로 분석한 결과는 생감과 곶감의 나트륨은 0.60, 2.77 mg, 칼륨 190.49, 859.63 mg, 칼슘 11.73, 16.20 mg, 철 1.17, 3.17 mg, 그리고 인이 52.52, 84.90 mg/100 g 각각 검출되었다. 특히 무기물 중 칼륨과 인이 상당히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곶감에서 그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칼륨은 생감보다 4.5배, 인은 1.6배로 확인되었다.

시금장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Sigumjang with Fermentation)

  • 최응규;권오준;손동화;차원섭;조영제;이석일;양성호;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2
    • /
    • 2001
  •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균은 발효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는 발효 3일째까지는 그 수가 점점 증가하다가 4일째 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젖산균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5종류가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407.9{\sim}3,053.9\;mg%$였으며, glutamic acid>phenylalanine)arginine>valine순으로 많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4.4{\sim}37.0\;mg%$였다. 총 무기질 함량은 $12,966.7{\sim}13,864.5\;mg%$였으며, 첨가된 Na를 제외하면 K>P>Mg>Ca>Fe>Zn>Mn>Cu의 순으로 많았다. Ca과 P의 비는 0.1이었다. 시금장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2, 16:0, 18:1이 전체의 약 9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 불포화 지방산은 $76.3{\pm}1.1%$였다. 관능검사결과 $20^{\circ}C$에서 3일째부터 5일째 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

사람 장내세균군집 유래 Bacteorides stericoris HJ-15의 Chondroitinase ABC의 클로닝 (Cloning of Chondroitinase ABC from Bacteroides stercoris HJ-15, a Human Intestinal Anaerobic Bacterium)

  • 방서현;심주원;현양진;김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0-144
    • /
    • 2016
  • 사람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Bacteroides stericoris HJ-15로부터 chondroitinase ABC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한 chondroitinase ABC 유전자는 3,090 bp, 1,029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B. stercoris chondroitinase ABC 유전자는 이미 보고된 chondroitinase ABC 유전자들과 호몰로지가 없었으나, 아미노산서열에서는 82% 호몰로지를 보였다. T7 promoter를 가진 pET-26b+ expression vector에 클로닝한 chondroitinase ABC 유전자를 Escherichia coli BL21 (DE3)에서 발현하여 정제한 재조합 chondroitinase ABC는 chondroitin sulfate A, B 및 C를 모두 분해하였다.

포플러의 Phytochrome B 유전자 분리 및 특성구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chrome B gene in Poplar)

  • 강호덕;이금영;강상구;배한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36-242
    • /
    • 2005
  • 다양한 광조건에서 식물의 생장조절에 관여하는 광수용체인 phytochrome B(PhyB) 유전자를 교잡종 포플러 수항1호에서 분리하였다. 염기서열분석 결과, PhyB cDNA는 길이가 3,456bp 이었으며 1,15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B 단백질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Populus balsamfera PhyB1과 98%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Northern blot 분석 결과, PhyB 유전자는 광조건에서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지만, 암조건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PhyB는 빛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며 광수용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생물정보학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플라비바이러스 구별 진단 방법 (Distinct Diagnosis of Flavivirus Using Bioinformatics Database)

  • 최재원;김민정;조병관;허재린;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전 세계에 공포를 안겼던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와 최근 아열대성 기후의 확대로 인해 향후 대유행이 예상되는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의 구별 진단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두 바이러스는 모두 플라비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해당되며, 동일한 단백질 도메인(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도메인 중에서도 진단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비구조단백질 1(NS1, non-structural protein 1)을 선정하였으며, UniProt (Universal Protein Resour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카 바이러스와 뎅기 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상호 비교 분석 하였다. 더 나아가 IEDB (Immune Epitop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비구조단백질 1의 아미노산 중, 진단에 용이한 에피토프로 예상되는 5개의 후보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후보군으로부터 지카 바이러스와 뎅기 바이러스를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에피토프(펩타이드)를 제안하였다.

  • PDF

Streptomyces somaliensis가 생산하는 세포외 Phospholipase D의 유전자 서열 분석과 Transphosphatidylation 활성 특성 (Nucleotide Sequence of an Extracellular Phospholipase D Gene from Streptomyces somaliensis and Transphosphatidylation Activity of Its Enzyme)

  • 정수진;이선희;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1-216
    • /
    • 2004
  • 세포외 phospholipase D (PLD)를 과량 생산하는 균주 JE-11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16S rDNA에 의한 분석과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균은 Streptomyces somaliensis로 동정되었다. 선발한 S. somaliensis로 부터 PLD를 암호화하는 유전자(sspld) 분리하고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Open reading frame을 분석한 결과 3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비 signal peptide와 50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LD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sspld의 염기 서열로부터 유추된 단백질 서열은 기존에 보고된 다른 Streptomyces PLD들과 70-88%의 서열 유사성을 보였다. 이 PLD는 96-98%(㏖/㏖)의 수율로서, Phosphatidylcholine을 glycerol과 serine을 기질로 하여 각각 phosphatidylglycerol 과phosphatidylserine으로 전환을 하였으나, 알코올 공여체인 inositol과 ethanolamine과는 반응하지 않았다.

야생 흰 제비꽃(Viola patrinii DC.) 배양세포의 생성과정 중 단백질 및 아미노산의 함량변화 (Alterations in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s During Growth on Culture Cells of Wild Viola (Viola patrinii DC.))

  • 정용모;임현희;조영수;정정한;이재헌;서정해;권오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1-184
    • /
    • 2000
  • Friable callus와 compact callus를 배양 단계별로 단백질을 정량한 결과 friable callus가 가장 낮았고 배양 0주째부터 단백질 함량이 서서히 증가하여 배양 3주째 최대함량이 되었으며, 4주째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의 패턴을 조사한 결과 compact callus와 friable callus간에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 밴드가 관찰되었다. Friable callus는 약 28 KD, 31 KD과 35 KD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났으며. compact callus에서는 30 KD부근의 밴드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전체 단백질의 구성 아미노산은 배앙 2∼3주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friable callus에서 그 함량이 가장 낮았다.

  • PDF

기능성 소재로서 녹두(Phaseolus aureus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as Biohealth Functional Substance)

  • 이영근;박시우;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96-1107
    • /
    • 2019
  • 녹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은 57.20±0.29%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6.40±0.69%, 수분 9.90±0.16%, 조회분 3.54±0.43% 및 조지방 2.96±0.26%로 확인되었다. 녹두의 비타민 성분 중 vitamin B5가 0.62±0.013 m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carotene이 87.37±0.754 ㎍ RE/100 g으로 동정되었다. 칼륨(K) 함량은 12,428.55±147.55 mg kg-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은 2,053.32±14.13 mg kg-1, 칼슘(Ca) 1,966.40±14.53 mg kg-1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녹두의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29.23±0.03%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단불포화지방산은 20.30±0.04%, 다불포화지방산은 50.46±0.06%의 비율로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ω-6계 linoleic acid가 41.19±0.02%, ω-9계 oleic acid 19.98±0.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21.75±0.24 g%이며, glutamic acid 3.93±0.03 g%, aspartic acid 2.68±0.03 g% 등을 함유하고 있었고,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18.07%, 12.32%를 차지하였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두 중,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336.77±8.66 mg%로 확인되었고, arginine이 81.97±1.31 mg%로 유리 아미노산의 24.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mic acid, asparag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41.97±0.29, 28.47±0.15 및 26.97±0.12 mg%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의 열수추출 부산물을 이용한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Hydrolyzate Using Crab Byproduct after Water Extraction)

  • 김영명;이영철;구재근;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6
    • /
    • 1990
  • 5N HCl과 5N NaOH로 부산물의 일종인 꽃게의 열수수출 잔사를 12시간 가수분해하여 각각 산 가수분해물과 알칼리 가수분해물을 제조한 후 산가 수분해물의 경우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알칼리가수분해물등의 3가지 중화처리구, 알칼리가수분해물인 경우 HCl과 5N NCl로 분해한산가수분해물의 2가지 중화처리구 총 5가지 중화 처리구로 중화하여 시험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은 알칼리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알칼리 가수분해물은 산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함량을 서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 함량을 줄일 수 있었으며, 가수분해물의 맛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5N HCl로 가수분해하여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2,274mg\%,\;2,105.0mg\%$$2,683.5mg\%$였으며, 5N NaOH로 가수분해하여 5N HCl과 5N HCl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352.5mg\%$$2,498.8mg\%$였다. 가수분해물의 탈색 및 탈취시험은 분말활성탄외 4종의 탈색제로 탈색시험을 한 결과, 분말활성탄의 탈색율이 우수하였으며, 활성탄의 농도가 높을수록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 함량이 감소하였다. 탈색과 탈취의 목적으로 활성탄 사용시 적정농도는 $1\~2\%$였다. 탈염시험은 중화처리한 가수분해물을 고농도로 농축시켜 석출하는 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39^{\circ}$ Brix이상으로 농축하면 염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FSH 활성 특정부위 분석을 위한 eCG 돌연변이체의 기능 분석

  • 박종주;정윤희;김민수;이유연;;윤종택;민관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8-208
    • /
    • 2004
  • 임신초기 말의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eCG)은 황체형성(LH), 난포자극(FSH) 및 갑상선자극(TSH)호르몬과 같이 알파 및 베타 단체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은 모체의 자궁내막에 침입한 태아 유래의 융모조직(자궁내막배)에서 합성ㆍ분비되어진다. 알파단체의 아미노산 배열은 동물종내에서 동일하지만, 베타단체는 호르몬에 따라 작용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