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매 특성

Search Result 1,1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모바일 쇼핑에서 광고 유형과 앱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활용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Park, Ji-S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23-128
    • /
    • 2019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전 및 보급 확대에 따라 사용자의 범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광고 또한 인터넷 기반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기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편의성이 증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를 결정하고, 결제하는 행위 등 모바일에서 이루어지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앱을 구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사용량이 급증하게 된 모바일 쇼핑에서 SNS활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여 광고 유형과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결과를 제시하여 관련 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모바일 광고유형, 앱 특성에 관한 고찰과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광고 유형, 앱 특성으로 구분하고 이들 변수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로 SNS활용도를 도입하였다.

  • PDF

The Acceptance of Customer Reviews in Taobao (타오바오 쇼핑몰 이용자의 구매후기 수용에 관한 연구)

  • Hao, Qi-Ying;Lee, Sang-Joon;Lee, Kyeong-Ra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4
    • /
    • pp.205-212
    • /
    • 2015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key factors affecting customer adoption of the online review from the three perspectives such as customer review characteristics, reviewer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We collected data on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products in Taobao.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ustomer review amount and vividnes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customer adoption of the online review. Second, the trust of reviewer and perceived similarity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adoption of the online review. Third, the prior knowledge and product involvement increase customer adoption of the online review. Finally,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is greatly determined by customer adoption of the online review. This paper presents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customer reviews and management method for the stakeholders of shopping mall to advancing Chinese marke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Buying Which Have Influence on the Consumer′s Attitude (공동구매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재수용에 미치는 영향)

  • Choi, Hoon;Lee,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93-407
    • /
    • 2003
  • 공동구매는 ‘가격절감’, ‘위험감소’, ‘거래비용 절감’, ‘참여의식’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매형태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간지연’, ‘제품다양성 부족’, ‘결제수단’, ‘상품디스플레이’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 역시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매형태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한번 거래를 하게 되면 계속해서 거래를 한다는 의견과 앞으로도 거래를 할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주변의 다른 이들에게도 추천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장ㆍ단점과 관련하여 공동구매를 ‘재수용 하는가’와 ‘주변사람들에게 권유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구매 특성이 공동구매를 수용함에 있어서 지속적인 수용을 할 것인가와 더불어 주변의 사람들에게 권장을 하는가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방법은 D대학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00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총 92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확보하였다. SPSS_WIN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을 통하여 제품별(종류별) 선호도와 구매시(저가격, 안전성, 배송, 시간절감, 결제편리, 기타) 우선순위를 빈도분석 하였다. 또한 요인분석통한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하고, 연구변수로 선정한 각 요소들을 이용하여 공동구매의 특성(가격대비 성능, 편리성, 결제안전, 다양한 제품 제공)에 따라 공동구매 재수용도와 주변사람 들에게 권유할 것인가에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제품 선호도의 측면에서는 서적&음반, 의류&신발, 컴퓨터&주변기기 가장 선호하는 품목으로서 전자상거래와 거의 흡사하게 나타났으며, 구매시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소는 저렴한 가격과 안전&안정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구매 특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는 하나의 독립요인으로 존재하지만 결재안전, 다양한 제품제공의 요인들이 편리성 요인의 하부요인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구매 특성이 재수용과 주변사람 권유에 대한 결과로는 재수용적인 측면에서는 ‘가격대비 성능’과 ‘다양한 제품 제공’이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사람 권유적인 측면에서는 ‘가격대비 성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고 재수용성과 다르게 ‘다양한 제품 제공’측면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의류상품의 인터넷 쇼핑에 관한 연구

  • Go, Eun-Ju;Hwang, Seung-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203-234
    • /
    • 1998
  • 본 연구 목적은 인터넷 쇼핑의 현황(구매품목, 횟수, 동기, 결제 방식, 가격, 카달로그 이용여부)을 조사하고, 인터넷 쇼핑의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인터넷 사용 관련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며,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을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과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서 편의 추출된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 경험자가 가장 많이 구입한 품목이 남성상의 단품과 넥타이와 스카프의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 관련 상황으로 구매자는 인터넷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구매자 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매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남성이고, 학력이 높으며, 전문직종으로, 한달 구매 지출비가 11${\sim}$20만원이고 한달 총수입이 높은 사람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요인으로 주문처리 정확성, 인터넷 사용 용이성, 구매편의성/신뢰성, 상품의 다양성/합리성, 주문 방법의 편의성/경제성, 선호성, 상품의 혜택추구성의 7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 중에서 주문처리 정확성 요인과 상품의 혜택추구성 요인이 구매 의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web purchase suitability varied with consumer characteristics on online purchase intention (소비자 특성에 따른 웹 구매 적합성의 차이가 온라인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Kang Min-Cheol;Chung Hak-Hee;Lee Sang-G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4
    • /
    • pp.26-39
    • /
    • 2005
  • This study introduces e-purchase potential matrix and examines whether the Web purchase suitability mediates the effects of the internet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diversification, innovativeness, self-realization, and informativity on online purchase inten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nternet consumer characteristics affect the two dimensions differen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Web purchase suitability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the internet consumer characteristics on online purchase intention.

  • PD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Advertisement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Purchas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Youth Consumers- (모바일 광고특성, 개인특성, 구매태도와 구매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 Bae, Jong Se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303-317
    • /
    • 2020
  •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has spread and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a new advertising medium called mobile advertising has emerged. In addition, various mobile advertisements targeting teenagers, where most of their daily lives are conducted using smartphones, have been activated. Adolescents in the modern society called Generation Z have the longest time to use a smartphone among age groups. Even during the economic downturn, adolescent consumers are an important consumer group that can overcome the economic recession, so mobile advertisements targeting their purchasing power are being created like a floo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mobile advertisement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urchasing attitudes for adolescents using smartphones was identified, and how this was linked to purchasing behavior again. To conduct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324 high school students using smartphon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convenience in mobile advertising characteristics and brand preferences, the higher the brand preference. Characteristics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as the awareness of convenienc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increased. Thir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purchasing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s by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personality, and practical pursui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it was verified that brand preference and brand trust among purchase attitud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rasped the influence of mobile advertising on purchasing behavior among teenagers who are rapidly growing as mobile consumers.

라이브 커머스 스트리밍의 방송특성과 서비스특성이 구매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을 중심으로

  • Kim, Seong-Jong;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91-195
    • /
    • 2020
  • 네트워크 기술과 모바일 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생활 패턴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적 생산과 소비 행동이 세분화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유통채널들이 나오고 있고 하나의 유통 트렌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영향으로 비대면 분야의 유통채널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1인 방송 위주였던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에서 이제는 라이브 커머스 스트리밍 이라는 새로운 유통채널로 자리 잡았다. 기존에 홈쇼핑과 온라인 쇼핑몰들이 단방향의 제품정보를 고객들에게 줬다고 한다면 이제는 라이브 커머스 스트리밍에서는 양방향 서비스로 고객과 소통하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정보를 즉시 줄 수 있는 것과 마음에 드는 제품을 현장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 스트리밍의 방송 특성과 모바일의 서비스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 구매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한다. 방송 특성으로는 진행자의 능력과 고객과의 소통하는 상호작용성에 대해서 연구하고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특성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방송 특성과 모바일서비스 특성 중 어떠한 특성이 구매만족과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려한다.

  • PDF

A Study on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cial Media Use Clusters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온라인 농식품 구매시 소셜미디어 이용 군집에 따른 소비자특성에 대한 연구)

  • Lee, Myoung-Kwan;Park, Sang-Hyeok;Kim, Yeon-J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4
    • /
    • pp.195-209
    • /
    • 2021
  • According to the 2019-2020 social media usage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e-commerce center, 5 out of 10 consumers have experienced shopping through social media. The cost of traditional advertising media has been reduced and advertising spending on social media has risen by 74%, indicating that social media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marketing element. While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increased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have increased according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of marketing such as use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no subdivided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of consumers in actual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by cluste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by grouping them by typ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for consumers who purchase agri-food online.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online purchase channel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distribution, perceived risk, and eating and lifestyle in each cluster were checked for the three agrifood purchase situations including choice, and types for each cluster were presented.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on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and online agrifood purchase behavior were collected from 245 consumers,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secur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was divided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was a group that mainly used open social media, and the second cluster was a group that used both open and closed social media and online shopping malls; The third cluster was a group with low online media usage over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appear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n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purchase channel selection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through each of the three clusters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cluster 1 in the situation of purchasing agri-food online is a male in his 30s living in a rural area who has no reluctance to purchase agri-food on social media or online shopping mall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2 are mainly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health food,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In the case of cluster 3, when purchasing products online, they purchase after considering quality and price a lot,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as people who are more confident in purchasing offline than online.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can be helpful in strategic judgments in marketing practice on social media customer targeting and customer segmen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Items and its Impact on the Relational E-Procurement (구매품목의 특성이 관계형 전자조달에 미치는 영향)

  • Chun, Hong-Mal;Pyun, Ji-Surk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5 no.2
    • /
    • pp.53-69
    • /
    • 2003
  • This paper tried to fi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items would have influence on the relational e-procurement.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items include the importance and the complexity of purchasing items. In order to define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reviewed various literatures about purchasing strategies.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items has influence on relational e-procurement, while the complexity of purchasing process has little influence. And also, the relational e-procurement through EDI as a long term buying relationship is being converted toward the exchange through purchasing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