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매만족도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8초

피부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kin Recognition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Propensity to buy Facial Cleanser)

  • 한유리;김민경;리순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65-477
    • /
    • 2018
  • 본 연구는 20-50대 여성 311명을 대상으로 피부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피부인식을 중요도, 관심도, 만족도로, 구매성향을 충동구매형, 브랜드의존형, 계획구매형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인식에서 관심도가 높은 그룹이 세안시간이 길었으며 피부지식도가 낮은 그룹은 구매정보를 주변으로부터, 높은 그룹은 인터넷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성향에서 피부관심도가 높은 여성들은 충동구매형과 계획구매형 성향이 강하고 피부중요도가 높은 여성은 충동구매형 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피부 관심도, 중요도 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객의 피부인식을 파악하여 세안제 마케팅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Awareness and Residental Satisfaction on Brand Apartment)

  • 이동찬;이찬호;황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88-4196
    • /
    • 2010
  • 본 연구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을 자연환경 요인,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 사회환경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에 대한 브랜드 아파트 인식요인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아파트 건설회사들이 브랜드 아파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인식요인들(내부시설수준 요인, 브랜드가치 요인, 경제성 요인)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구매 후 만족도가 높은 인식요인들을 고려하여 브랜드 아파트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의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가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vestment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 황인성;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43-153
    • /
    • 2015
  • 최근 주택 시장에서 소비자의 투자가치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투자가치와 구매 의사결정에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가치, 주거만족도, 투자가치, 그리고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가치의 요인이 주거 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매입의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585명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AMOS 18.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신뢰도, 구조 방정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 주거품질, 경제성, 브랜드, 접근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가치 요인 중 주거품질과 브랜드는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택시장에서 구매자의 긍정적인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주택 구매자의 긍정적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주택시장에서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국 주택 수요자의 투자가치의 긍정적 전망이 주택 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 PDF

기업 마케팅의 소셜미디어(SNS) 콘텐츠 유형이 사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SNS) Content Type of Corporate Marketing to User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 김가영;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75-86
    • /
    • 2017
  • 웹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는 인터넷을 활용한 소셜미디어 이용자 수를 폭발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소셜미디어를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인지하고 다양한 SNS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정된 자원으로 비즈니스를 실행하는 스타트업(Start-up)에게 소셜미디어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잠재고객들을 만날 수 있는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네 가지의 개인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고 소셜미디어 콘텐츠 유형과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있어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대표적인 숙박관련 스타트업 중 하나인 '민박다나와(이하, 민다)' 페이스북의 팬(fan)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45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 전체를 SPSS 18.0을 통한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홍보성, 정보성, 소통성의 세 가지 유형의 콘텐츠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홍보성 콘텐츠는 만족도가 구매의도에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용자 개인특성은 콘텐츠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만족도에 조절 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콘텐츠는 소비자의 만족과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타트업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콘텐츠 분석과 기획을 통해 지속적으로 고객과 소통하는 운영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스타트업에게 효율적인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구축 방안과 인터넷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자동차구매 후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자동차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Automobile Service Quality on Word-of-mouth intention)

  • 문창선;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51-160
    • /
    • 2014
  • 소비자들의 서비스품질 평가는 자신이 제공받은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서비스제품의 질이 좋다고 인식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정비 서비스산업에서 발생되는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 구매의도 그리고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서비스의 매개변수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자료를 통하여 연구 하였다. 설문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로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은 고객의 행동의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서비스의 매개변수 또한 서비스품질과 고객의 행동의도에 밀접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중국여성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한국산 의복 구매행동과 만족도 (Chinese Women's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Korean-Made Clothing Purchased Online)

  • 반홍우;최종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39-4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women’s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clothing made in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Chinese women who had made purchases of Koreanmanufactured clothing using the Chinese online shopping mall named ‘TaoBao’. In total, the responses of 439 questionnaires were tab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12.0. Results were as follows: 1) Shopping motivation was classified based on two factors: transformation motivation and information motivation. Most Chinese women who purchased clothing made in Korea did so because of information motiv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lace of manufacturing origin(i..e Korea) did not negatively impact Korean clothing products at this online shopping mall. 2) Purchas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ree factors: quality satisfaction, wearing/management satisfaction, and design satisfaction. Most Chinese women were satisfied with clothing made in Korea in terms of the design factor. 3)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Chinese women’s shopping motiv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clothing made in Korea.

최신 유행색 가방 구매행동 - 구매동기, 구매유형,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 (Purchasing Behavior of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 Focusing on Purchase Motives, Purchase Type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

  • 김은주;이민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9-729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for purchase motives in regards to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as well as ascertained the structural relations of purchasing behavior in regards to purchase motives, purchase typ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ther purposes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urchase motivations, purchase type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rovided strategic information on women's bag manufacturers and retailers. A random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based on a survey of Korean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59 who had purchased the latest trendy color ba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distributed to 450 women in 2013. We analyzed 433 questionnaires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The summarization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rchase motives for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awareness-symbolicity, practicality, aesthetic, harmony, and fashionability. Second, aesthetic and harmon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on planned purchases due to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purchase motives for the latest trendy color bags and type of purchase; in addition, awareness-symbolicity, aesthetic and fashion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unplanned purchase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for planned purchases on satisfaction; however, unplanned purchases showed a significant.

서울ㆍ인천 중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선호 스타일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Clothing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tyle of Adolescence in Seoul and Inchon)

  • 최수빈;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9-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cathexis, preference in style,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Based upon the effect of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on adolescence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classification of the future adolescence consumers for fashion marketing.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4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Inch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PSS. This study used body cathexis and preference in style as Independent variables,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 PDF

의류 구매대행 의류인터넷쇼핑몰의 소비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격지각과 배송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sumer Satisfaction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 for Apparel Products: Price Perception and Delivery Systems)

  • 이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73-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ice perception and the site's delivery system affected consumer satisfaction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for apparel produc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rom 233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apparel products from online venues within the preceding 6 month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rice perception and the delivery system was influenced by three factors. Both price perception and the delivery system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of consumers. Also,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both price perception and the delivery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 for apparel products.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방문판매 화장품의 구매행동과 만족도 (The Purchasing 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for Door to Boor Selling Cosmetics according to Lifestyles)

  • 황지선;권수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42-7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door to door selling consumers's according to their cosmetics lifestyles and to analyze the cosmetics a purchas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classified groups. subject were 424 women living in chung-cheong and kyung-gi. The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data were frequency, t-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LSD) using SPSSWIN package. Considering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havior of uses, purchase propensity according to cosmetics lifestyles for door to door selling, it is reasonable that the consumer market should be subdivided by their cosmetics lifestyles and the quality improvement and distinguished sales strategies should b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