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 전극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sign and fabrication of Rotary Microactuator Using SEA(Skewed Electrode Actuator) (SEA(Skewed Electrode Actuator)를 이용한 회전형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설계 및 제작)

  • Choi, Seok-Moon;Hwang, Eun-Su;Cho, Dong-Woo;Kim, Young-Jun;Lee, Sang-J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a
    • /
    • pp.65-6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코움 드라이브에 비해 구동력은 크고 평행 판 구동 방식에 비해서는 선형 특성이 우수하며 안정된 구동거리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새로운 정전력(electrostatic force) 구동 방식을 제안한다. 운동 전극과 고정 전극을 기울어지게 배치하여 전극 면에 평행한 정전력 $F_x$와 전극 면에 수직인 정전력 $F_y$의 합력 $F_e$ 방향으로 전극을 운동시킴으로써 정전력의 방향과 전극의 운동 방향을 일치시킨다. 제안된 구동방식의 정전력 모델을 이용한 해석 결과 코움 드라이브에 비해서는 구동력이 50 % 이상 크며 평행 판 구동에 비해서는 안정된 구동 거리가 10 - 30 % 이상 증가하는 구동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HDD의 트랙 방향 저장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듀얼스테이지 서보(dual-stage servo)에 사용 될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microactuator)를 설계하고 SoG(Silicon on Glas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 PDF

Optimal shape Design of Curved Electrodes for a Rotary Microactuator (회전구동형 마이크로액츄에이터 전극의 최적형상)

  • Jung, Sung-Hwan;Jeon, Jong-Up;Pak, Y. Eu-Gene;Lee, Suk-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d
    • /
    • pp.1145-1147
    • /
    • 1999
  • 평판전극배열을 이용한 회전구동형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극의 형상을 최적화 하였다. 기존 평판구동형 마이크로 액츄에이터의 형상을 변형시켜 반경에 무관하게 전극의 수직간격을 최소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구동력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구동력의 증가는 결국 요구되는 변위를 만족시키면서 고유진동수를 증가시켜 마이크로액츄에이터의 구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Fabrication and driving experiment of 2.4mm size mirror for optical pick-up head (광기록 장치의 픽업헤드용 2.4mm 크기의 미러의 제작과 구동실험)

  • Park, Keun-Woo;Kim, Yong-Kw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c
    • /
    • pp.2266-22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스캐닝 미러의 일종으로, 광저장 장치의 픽업헤드용으로 미세회전을 하면서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미러를 제작하고 구동실험을 하였다. 제작된 미러의 크기는 $2400{\times}2400{\times}64{\mu}m^3$이고, 빔 스프링은 $500{\times}9.6{\times}64{\mu}m^3$이다. 니켈 전해 도금으로 29${\mu}m$ 높이의 구동 전극을 제작하였고(세가지 모델: 공기통로가 없는 전극, 공기통로와 간격이 각각 200${\mu}m$인 전극, 공기통로와 간격이 각각 100${\mu}m$인 전극), 미러판과 전극을 조립하여(미러판과 전극 사이의 간격은 각각 29${\mu}m$, 26${\mu}m$, 26${\mu}m$) 구동실험을 하였다. 공진 주파수의 계산간은 576Hz, 측정값은 3개의 미러에서 모두 568Hz이었다. 전극과 미러판의 간격이 최대 접근거리 18${\mu}m$가 되도록 미세 회전을 시켰을 때, 공기통로가 없는 전극에서는 공진 주파수가 524Hz, 공기통로가 200${\mu}m$인 전극에서는 544Hz로 각각 감쇠되었고, 공기통로가 100${\mu}m$인 전극에서는 그대로 568Hz이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Luminance and Efficiency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Driven by Square Pulses (구형파로 구동되는 외관전극 형광램프의 휘도 및 효율 특성)

  • 조태승;김영미;권남옥;김성중;강준길;최은하;조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1 no.1
    • /
    • pp.76-80
    • /
    • 2002
  •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fluorescent lamps operated by capacitively-coupled external electrodes have been investigate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EEFLs) are typically operated at low currents less than 10 mA, and high voltages of about 1.5 kV. Luminance of up to 20,000 cd/$\textrm m^2$ with efficiency of above 40 lm/W is achieved in EEFLs driven by square pulses of the frequency lower than 100 kHz. It is also found that the brightness and efficienc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depend on the electrode length whose optimum length is about 3 cm.

AC-PDP의 구동진동수에 따른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조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8-228
    • /
    • 1999
  • 3전극 면방전형 AC-PDP의 구동에 있어서 방전유지시 구동진동수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의 변화, 즉 셀 내의정전용량, 벽전하량, 벽전압, 응답시간, 메모리 상수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셀핏치 1,080$mu extrm{m}$의 test panel을 제작하였다. 방전 유지전극의 폭과 간격은 각각 260$\mu\textrm{m}$, 100$\mu\textrm{m}$ 유전층은 30$\mu\textrm{m}$, 격벽은 120$\mu\textrm{m}$로 제작하였다. 방전유지전극에 150ns의 상승시간을 갖는 duty 40%의 사각파를 10~200kHz의 다양한 진동수로 인가하고, 이때 얻어지는 전압, 전류 파형과 QV 해석을 통하여 셀 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전공간의 정전용량(Co)은 0.3pF/cell 으로 거의 일정하였으나, 유전층 내의 정전용량(Cg)는 진동수 증가에 따라 7.5pF/cell에서 0.8pF/cell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극간 정전용량(Cp)은 벽전하의 영향으로 nagative capacitance 특성을 보였다. 구동진동수가 10kHz에서 200kHz로 증가함에 따라 벽전하량은 34.5pC/ceoo에서 15.6pC/cell로 감소하며, 벽전압도 구동진동수 증가에 따라 104.4V에서 76.5V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 Study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C-PDP Having Auxiliary Electrodes (보조전극을 가진 AC-PDP cell구조의 방전특성 연구)

  • Kang, Kyung-Il;Jang, Jin-Ho;Choi, Jun-Young;Kim, Dong-Hyun;Lee, Ho-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3-17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can 전극과 common 전극 사이에 보조 전극을 가진 PDP에서 asymmetry, long gap mode 와 같은 새로운 구동방법을 제안한다. asymmetry mode에서 주전극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보조전극은 리셋, 어드레스, 서스테인의 모든 구간동안 scan 또는 common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long gap mode에서는 전기적으로 끊어져있거나 초기 몇 개의 서스테인 펄스를 제외하고 서스테인 구간동안 Vs/2의 전압으로 유지된다. 제안된 조와 구동 방법에서 전력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함으로써 더 높은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새로운 구동방법의 효용은 다양한 Xe분압상태에서도 연구되었다.

  • PDF

그라핀 전극을 이용한 유연 투명 구동기 제작 및 특성 평가

  • Park, Yun-Jae;Im, Yeong-Jin;Im, Gi-Hong;Choe, Hyeon-Gwang;Jeon, M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86.2-286.2
    • /
    • 2013
  • 기존의 이온성 고분자-금속 복합체(IPMC)는 백금(Pt)전극을 이온성 전기활성 고분자(Ionic electroactive polymer)인 나피온에 무전해 도금으로 만들어졌다. 본 연구는 백금전극을 그래핀으로 대체하여 투명 이온성 고분자-그래핀 복합체(IPGC)를 제작하였다. 그래핀은 근적외선 화학기상증착법(NIR-CVD)으로 전이금속 (Cu, Ni) 위에 탄화수소 가스(CH4)를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전이 금속위에 성장된 그래핀을 나피온 양쪽면에 van der Waals 결합력을 이용하는 습식 전이공정으로 전극을 형성하였다. IPGC는 면 저항(4-point probe), 투과도(UV/Vis spectrometer) 및 라만 분광법(Micro Raman spectroscopy)의 측정으로 그래핀 전극의 특성평가를 하였고,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사용하여 IPGC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IPGC의 성능은 백금전극을 이용한 IPMC의 변위(displacement), 힘(force), 작동 주파수(Operating frequency) 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micro structure of solid oxide fuel cell electrod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변수 조사 및 전극미세구조 최적화)

  • Jo, Dong Hyun;Chun, Jeong Hwan;Park, Ki Tae;Hwang, Ji Won;Kim, Sung 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71.2-71.2
    • /
    • 201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청정에너지원으로써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신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상 실험을 통하여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전기화학식을 이용한 전산모사를 통해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평가 및 전극의 미세구조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전극 내 전달현상을 무시하고 오직 전기화학반응만을 고려한 전산모사는 단전지의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에 따른 전지성능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얻은 전지 성능 데이터를 통해 전극미세구조를 최적화하였다. 개회로전압, 활성화분극, 저항분극, 물질수송손실을 표현하기 위하여 Nernst 식, Butler-Voler 식, 옴의 법칙, dusty-gas 모델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의 변화는 물질확산계수 및 교환전류밀도를 통하여 그 영향이 전지성능에 반영된다. 온도, 압력, 주입 연료의 조성에 대한 성능평가가 수행되었으며, 1023K, 1 bar의 조건하에서 최적의 단전지 성능을 위한 기공도와 기공크기를 조사하였다. 더 향상된 단전지 성능 확보를 위해서 실험에서 쓰이는 기능층(functional layer)과 유사하게 넓은 반응 면적과 원활한 반응물 및 생성물의 이동을 보장하도록 기공도 및 기공크기를 그레이딩한 전극구조(graded-electrode)를 디자인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전지구조 대신에 그레이딩된 전극을 사용할 경우 50%이상 향상된 전지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Plasma Jets between Two Electrode-Structures of Cylindrical Needle and Cup

  • Jeong, Jong-Yun;Han, Sang-Ho;Kim, Dong-Jun;Kim, Jeong-Hyeon;Kim, Yun-Jung;Kim, Jung-Gil;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8-228
    • /
    • 2011
  • 바늘형 전극과 컵형 전극을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플라즈마 분출 특성을 조사한다. 바늘형 전극은 원통형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였다. 컵형 전극은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전극을 사용하였다. 방전 가스는 Ar을 사용하고 가스의 유량은 3 lpm이다. 구동 전원은 DC-AC 인버터를 사용하고 구동 주파수는 40 kHz이다. 방전 전압-전류 특성과 전류별 플라즈마 방출 길이를 측정한 결과, 원통형 바늘보다 컵형 전극이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았으며 동일 전류에서 플라즈마 방출 길이가 더 길다.

  • PDF

Effect of Number of Shutdown on the Decrease of Performance in PEM Water Electrolysis (PEM 수전해에서 정지횟수가 성능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heunho Chu;Jongwon Yang;Ilchai Na;Yoonjin Par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1 no.2
    • /
    • pp.202-207
    • /
    • 2023
  • In the case of driving water electrolysis by receiving surplus electricity from solar and wind power generation, operation and stopping must be repeated according to weather fluctuations. When the PEMWE(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is driven and stopped, the PEM fuel cell is in the same state as the PEM fuel cell due to the residual hydrogen and oxygen, and the high potential of the water electrolysis formed during operation is highly likely to cause degradation of the electrode and membrane even during stopp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check how much degradation of the electrode and membrane progresses during the repeated driving/shutdown process of PEM water electrolysis, the performance decrease was measured by changing the number of driving/shutdown for 144 hours. Changes in electrode catalyst active area, hydrogen permeability and fluorine emision rate of membranes were analyzed to measur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electrodes and polymer membranes. Overall, the PEMWE performance decreased as the number of stops increased. When stopped 5 times in 144 hours, the IrOx catalyst activity decreased by more than 30%, and the hydrogen permeability increased by 80%, confirming that both the electrode and the membrane were deterio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