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전류

Search Result 1,18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Drive-Circuit Design of Constant Current for LED using a Boost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방식을 이용한 정전류 LED 구동회로 설계)

  • Jeong, Young-Gi;Yang, Jong-Kyung;Kim, Nam-Goon;Park,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66-166
    • /
    • 2010
  • 향후 LED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LED 조명제품의 효율이 향상될 것이 기대되므로 LED 조명 제품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LED를 조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동회로, 광학설계, 방열설계 등을 포함한 조명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 중 구동회로는 사용용도와 LED 구동특성 등에 따라 구동회로를 구성하여야 하며 이러한 구동회로 기술에는 벅, 부스트, 벅-부스트 컨버터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전류 구동회로를 사용함에 있어 부스트 방식을 사용한 컨버터를 통해 7EA의 LED를 구동하고자 설계하였다. 이때 구동전류는 500 [mA]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입력전압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7 [V]이상일 때부터 전류특성이 안정화 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ensation of low Frequency Resonance in Current Driven Loudspeakers using DSP (DSP를 이용한 전류구동 스피커의 저주파 공진 보상)

  • Park, Jong-phil;Eun,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584-588
    • /
    • 2021
  • The impedance of the speaker is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fixed value. However, speaker impedance continues to vary with frequency variation, especially larger in resonant frequency region. The sound pressure level of loudspeakers is determin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out the coil that consists loudspeakers. If loudspeakers are driven by voltag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loudspeaker is distorted by the variation of loudspeaker impedance. Current-drive of loudspeakers can solve this problem, but distortion of sound pressure level occurs in low frequencies due to resonance. The distortion can degrade the sound quality of the sound system. So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sonance compensation circuit using DSP. we simulates audio systems using an equivalent model of loudspeakers to verify distortion of sound pressure level due to impedance variation and propose a circuit to compensate it. The proposed circuit is configured using a state variable filter and it can adjust the center frequency and output, so it will be used various sound systems.

  • PDF

Novel PWM-driven methods of inverter for removing DC offset current (인버터 출력 전류의 DC offset 제거를 위한 PWM 구동방법)

  • Hong, Kinam;Choy, Ick;Choi, Juyeop;An, Jinung;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21-222
    • /
    • 2011
  • 본 논문은 인버터의 PWM구동 시 출력 전류에 발생하는 DC offset을 제거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버터의 PWM구동 시 소자 단락을 막기 위해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deadtime과 각 스위치 소자의 voltage drop으로 인해 출력에 왜곡이 발생한다. 이상적인 스위치인 경우에는 이 두 가지의 왜곡을 feedforward로 보상하면 된다. 하지만 스위치 소자가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각 스위치 소자의 voltage drop의 차이와 on & off time delay의 차이는 출력 전류에 DC offset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deadtime과 스위치 voltage drop에 대한 보상과 함께 출력 전류의 DC offset을 feedback으로 하여 보상되지 못한 왜곡을 추가적으로 보상하여 결론적으로 출력 전류의 DC offset을 제거할 수 있게 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new circuit design and control to reduce input harmonic current for a three-phase ac machine drive system having a very small DC-link capacitor (소용량 직류단 캐패시터를 가지는 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전류 주입 방식 기반의 새로운 입력 전류고조파 저감 회로의 설계 및 제어)

  • Yoo, Hyun-Jae;Sul,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923_92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소용량의 직류단 캐패시터를 가지는 교류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전류 주입 방식 기반의 새로운 입력 전류 고조파 저감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소용량 직류단 캐패시터를 가지는 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가격 및 부피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주어진 고조파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최소의 비용 추가로 입력 전류의 고조파를 저감하기 위한 새로운 회로를 제안하고, 제안된 회로를 이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된 회로 구성 및 제어 방법의 타당성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Design of 2.5 Gbps CMOS Optical Transceiver (2.5 Gbps CMOS광 트랜시버 설계)

  • Lee Kyung-Jik;Lee Sang-Bong;Choi Jin-Ho;Choi Young-Wa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177-17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0.35{\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2.5 Gbps로 동작하는 광 송수신기를 설계하였다. 광 송수신기의 구성을 보자면, 전기 신호를 빛 신호로 전환하여 주는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포토 다이오드(PD) 구동 부분으로 구성된다. LD 구동부는 LD의 문턱전류 이상을 공급하는 바이어스 부분과 신호레벨의 모듈레이션 전류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디자인된 송신기는 바이어스 전류를 10 mA 정도 공급하여주며, 모듈레이션 전류를 15 mA 정도 공급한다. 수신기는 current decision 부분과 output buffer 부분으로 구성되어 PD로부터 나오는 전류를 다시 디지털 레벨의 전압신호로 바꾸어 주며 디자인된 수신기는 넓은 동작 영역을 가진다.

  • PDF

The Study on Switch Temperature of IPMSM Driving System using Predictive Current Control (예측전류제어를 적용한 IPMSM 구동 시스템의 스위치 온도에 대한 연구)

  • Jang, Young-Hee;Won, Il-Kwon;Kim, Do-Yun;Hwang, Jun-Ha;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20-521
    • /
    • 2015
  • 본 논문은 벡터제어 기반의 IPMSM 구동 시스템에서 순시 토크 제어 시 전류제어기법에 따른 스위치의 온도특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전류제어 기법으로는 예측전류제어기법과 기존의 PI(Proportional Integral) 제어기 기반의 SVPWM을 각각 적용하였고, 순시 토크 제어에 따른 스위치 발열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Floating Voltage Stacked LED Driver for Low Voltage Stress and Multi-channel Current Balancing (저 전압스트레스 및 다채널 전류평형을 위한 Floating 전압 스택형 단일스위치 LED 구동회로)

  • Hwang, Won-sun;Ryu, Dong-kyun;Choi, Heung-kyun;Kim, Hugh;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95-2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저 전압 스트레스 및 다채널 전류평형을 위한 Floating 전압 스택형 단일스위치 LED(Light Emitting Diode)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다채널 LED 구동회로는 LED 채널 수 만큼 boost converter가 필요하지만, 제안된 LED 구동회로는 단 하나의 buck converter와 n-1개의 balancing capacitor만을 필요로 한다. 기존 boost converter의 경우 모든 구성 요소는 LED 전압만큼의 높은 전압 스트레스를 갖지만 제안 회로의 경우 모든 구성 요소들은 기존 대비 절반 정도의 전압 스트레스를 갖는다. 또한 제안 LED 구동회로는 다채널의 LED 전류의 평형을 위하여 balancing capacitor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과 비용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구동회로의 우수성과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46" 2채널 LED 구동회로를 위한 시작품을 제작하여 고찰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Relation between Resonance Frequency and Power factor on Linear Actuator with Resonance State (공진구동 선형액추에이터의 공진주파수와 Power factor특성)

  • Woo, B.C.;Hong, D.K.;Kim, J.M.;Chang, J.H.;Jeong, Y.H.;Koo, D.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987-988
    • /
    • 2007
  • 리니어 모터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같이 여러 형상의 극간에서 발생되는 힘의 균형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하나의 극간에서 미소 구동하는 리니어 모터는 구동력과 실제 이동하는 위치 사이에서 댐핑이나 무게와 함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속력의 차이에 의해서 주어진 힘의 파형과 움직이는 위치의 괴적이 만들어가는 이동자의 위치 사이에는 다소 시간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구동력과 실제 이동하는 위치 사이의 시간 처짐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여러 요소중 주파수와 입력전류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른 선형전동기의 power factor의 변화와 공진주파수의 관계 등 선형전동기의 구동력 변화를 알아보았다. IT 기기 냉각용으로 제작한 횡자속 선형전동기에서 공진구동용 스프링을 장착하고 공진주파수 부근과 power factor가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부근의 주파수를 선정하고 입력전류에 따른 전류, 전압, 위치, 역율을 알아보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an 1.25 Gbps 850 nm Oxide VCSEL Transmitter Operating at Fixed Current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넓은 온도 범위에서 고정 구동전류로 동작하는 1.25 Gbps 850 nm 산화형 VCSEL 송신기의 특성)

  • Kim, Tae-Ki;Kim, Tae-Yong;Kim, Sang-Bae;Kim, Sung-H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4 no.12
    • /
    • pp.43-53
    • /
    • 2007
  • We have analyzed low current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VCSEL transmitter operating at fixed Current over wide temperature range. Used 850 nm oxide VCSEL has low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threshold current and $d^2I_{th}/dT^2$ is approximately $1.346\times10^{-4}mA/^{\circ}C^2$. We fixed on-current so that output power from the chip is 1 mW at $20^{\circ}C$ and investigated the turn-on, turn-off characteristics and eye-diagram of the 850 nm oxide VCSEL transmitter with varying ambient temperature and off-current. We measured rise time, fall time, extinction ratio and timing jitter by changing tile ambient temperature and off-current. With the fixed off-current of around $0.1\sim0.2mA$ lower than the lowest threshold current the transmitter successfully operated at 1.25 Gbps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from $-20^{\circ}C$ to $80^{\circ}C$.

A Human Body Sensing POWER LED Drive Circuit Using Constant-Current IC and PIR Sensor (PIR 센서와 정전류 IC를 이용한 인체 감지형 POWER LED 구동 회로)

  • Park, Chong-Yeun;Yoo, Jin-Wan;Choi, Wang-Su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95-229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POWER LED 구동회로를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센서를 이용하여 ON/OFF 제어를 하였다. POWER LED의 전류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설명된 전류 특성을 개선하고자 정전류 유지 회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체 감지 센서에서 발생되는 ON/OFF 신호를 증폭시키는 구동 회로를 설계하여 정전류 유지 회로에 직접 결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한 결과는 POWER LED의 ON 상태시 4Watt, OFF 상태시 0.5Watt를 소비하였으며, 정전류 유지 회로에 의해 POWER LED 구동 전류의 리플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동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