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기

Search Result 2,97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sign of a bilinear robust controller for a hydrostatic driver (Hydrostatic 구동기에 관한 Bilinear 강인 제어기 설계)

  • Park, R.W.;Cho, S.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5 no.4
    • /
    • pp.65-74
    • /
    • 2011
  • 이 논문은 비선형 시스템에 대해 bilinear 강인제어기를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 설계방법은 골칫거리인 비선형 영향을 나타내는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진동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고 진전된 방법이다. 이 설계 과정에, hydrostatic 구동기로 구동되는 킬(용골)이 주어진다. 첫 단계로 킬은 물리적으로 여러 한정된 질량으로 모델화된다. 물리적 모델에 근거한 수학적인 모델을 유도하는 방법은 해밀턴 원리를 적용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였다. 즉, 수학적 모델은 여러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주어진 물리적인 시스템에 대해 기준이 되는 시스템이다. 회전하는 구동기에 대한 물리적 모델에 근거하여, 과도 거동은 구동기의 베어링에서 측정되는 운동 현상으로부터 유도된다. 물리적인 시스템은 bilinear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에 근거하여, 요트 킬의 거동을 제어하도록 bilinear 관측기를 설계한다. 구동기의 속도, 토크, 밸브에서의 유량 등이 관측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비선형성에 대한 추정과 보상을 통하여 무거운 질량을 갖는 회전축에 대한 위치와 힘을 제어하는 설계에 유용한 접근법임이 증명되었다.

능동형 진동 절연을 위한 압전 구동기의 보상기 설계

  • 문준희;박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98-198
    • /
    • 2004
  • 압전 구동기는 여러 가지 적용에 있어서 높은 응답 속도와 큰 힘, 작은 크기 둥의 장점을 가지고 미세 구동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히스테리시스, 크? 등의 압전 소자 자체의 비선형성과 이의 구동을 위한 증폭기 등의 한계로 압전 소자의 동적인 특성은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구동 속도가 빨라질 수록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모양이 달라게 되어 구동 궤적의 정확한 예측이 어려우며, 증폭기의 최대 발생 전류가 충분치 않을 경우 압전 구동기가 지령치를 따르지 못하게 된다.(중략)

  • PDF

Comparison of Optimal Placement for Actuator and Shaker (구동기와 가진기의 최적 위치 결정법)

  • 노현석;박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64-269
    • /
    • 1995
  • 유연계의 제어기 설계를 위한 구동기의 최적 위치 선정법이 제시되었다. 위치 후보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초기 외란의 조정에 필요한 최소 입력 에너지와 관련된 모드 가제어도가 정의 되었는데 이는 구동기를 모든 후보 위치에 설치한 이상적 제어기의 성능에 대한 특정 후보 위치의 상대적 성능을 나타낸다. 모드 가제어도로 구성된 목적 함수를 이용해 구동기를 위한 최적 위치의 선정이 가능하였으며, 목적 함수의 절대적 크기를 통해 사용된 구동기의 수의 적절성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 규명을 위한 가진기의 위치 선정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모드 가제어도에 상대되는 모드 가진도가 정의 되었다. 모드 가진도는 정상 상태에서의 특정 모드로의 입력 에너지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낸다. 수학적 유도 과정을 통해 제어 시간이 충분히 큰 경우 모드 가제어도가 모드 가진도로 수렴해 감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제어시간이 충분한 경우, 최적의 구동기 위치는 최적의 가진기 위치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Modeling and Compensator Design for Piezoelectric Acuators (압전소자 구동기의 모델링과 정밀제어를 위한 보상기 설계)

  • 김용출;임준홍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819-282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압전소자 구동기를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지금까지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이 압전소자 구동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대한 대략적인 모델링을 구하고 이의 역함수를 적용한 방법이었으나 오차가 많고 다른 시스템에 대한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어기 설계의 정확성을 기하였다. 압전소자 구동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Signal Preshaping 과 PI-제어기를 사용한 피드백 제어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에서의 모사와 이를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얻어낸 실험치와 그 결과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Robust Design of a Dynamic System Using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확률적 설계 방법을 이용한 동적 시스템의 강건 설계)

  • Ryu, Jang-Hee;Choi, In-Sang;Kim, Joo-Sung;Son, Young-Ka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10
    • /
    • pp.1171-1178
    • /
    • 2011
  • This paper shows the robust design results of an actuator, a kind of dynamic system. Variations in the components comprising the actuator cause uncertainties in the system's dynamic performance. Therefore,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is applied to ensure robust actuator performance to component variation. A Simulink model for the actuator was built using transfer functions for the components. The dynamic responses of the actuator were evaluated using the Simulink model. Performance indexes were approximated as quadratic functions of the design paramet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ith the Simulink model. Then,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the approximated performance indexes to obtain optimal design parameters that would provide robust actuator performance. The optimal design was compared to the present design in terms of the performance indexes and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ver time.

Preisach 모델을 이용한 자기변형 구동기 제어

  • 박영우;이석호;임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1-151
    • /
    • 2004
  • 현재 세계 기술은 고집적화, 소형화, 고속화, 정밀화 된 시스템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계적인 요소와 전기적인 요소를 통합한 장비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예로 일렉트로닉스, 옵토일렉드로닉스, 옵틱스, MEMS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초정밀 위치 결정을 위해 미크론 단위 또는 나노 단위의 분해능을 가진 구동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동기에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재료에는 자기변형 재료와 압전 재료가 있다. 압전 재료는 현재 구동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이지만 피로현상, 드리프트 및 출력 힘이 작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

TTY Device Driver Model of User-Level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 모델)

  • Lee, Hyeong-Ju;Im, Seong-Ra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6
    • /
    • pp.815-822
    • /
    • 1995
  • In the conventional UNIX system, the all device driver realized in the kern el. Hence, whenever we want to add a new device driver or change the existin g device driver, the modification of kernel is unavoidable. Generally, it is very difficult to modify the kernel codes.As a method of overcoming this difficulty, a TTY device driver model of user-level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basic concept of this model is providing a dynamic reconfiguration of TTY device driver by realizing a user-level server process for TTY device driver. In order to verify the proper y of this model, a prototype of TTY device driver has been realized in the SunOS and Linux environment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 PDF

Robust Control of Hysteresis for Piezo Actuator (압전 구동기의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한 견실제어)

  • Yang, Chang-Kwan;Kwak, Jae-Hyuk;Lim, Joon-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658-2661
    • /
    • 2004
  • 압전 구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직접 동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세라믹 구동기이다. 특히 압전 구동기의 개방 회로 시스템은 분자 구조 특성에 의해 비선형적인 히스테리시스 특성과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스템을 작은 분해능으로 제어하는 경우 이에 따른 외란, 모델링의 불확실성 둥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비선형적 오차를 기존의 PID 및 최적제어를 사용하여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전 구동기 위치 결정 시스템 전체에 대해 LQG 제어 및 $H_{\infty}$ 제어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압전 구동기 위치 결정 시스템에 $H_{\infty}$ 제어를 적용하여 제안된 $H_{\infty}$ 제어기가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외란, 모델링의 불확실성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보여준다.

  • PDF

Design of a Lead-Lag Compensator for Precise Position Control of Piezoelectric Actuators (압전 구동기의 정밀 위치 제어를 위한 진상-지상 보상기의 설계)

  • Park, Seung-Man;Ahn, Hyun-Sik;Kim, Do-Hyun;Song, Joong-Ho;Choy, Ic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c
    • /
    • pp.527-52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압전 구동기의 모델링과 진상-지상 보상기를 이용한 정밀 위치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압전 구동기는 고속,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으나 압전 소자의 히스테리시스 현상으로 인하여 폐루프 제어가 어렵다. 압전 구동기는 개루프 제어 특성이 우수하지만 최근의 X-Y 스테이지나 반도체 공정과 같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에서 필요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폐루프 제어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위치 피드백을 이용한 폐루프 제어를 위해 선형 압전 이론으로부터 압전 구동기의 모델링을 정립하고 이 모델로부터 진상-지상 보상기를 설계하며 제어기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의 실험 결과를 보인다.

  • PDF

Patent Review on Drive Mechanism of Multi-Axis Pintle Thrusters (다축 핀틀 추력기 구동 메카니즘의 특허 분석)

  • Kim, Seong-Su;Huh, Hwan-Il;Lee, H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2-267
    • /
    • 2012
  • For DACS system which controls pintle position to change nozzle throat area, one actuator has been used for each modulatable pintle thruster. This ten actuator system drove to complex system structure and complicated control mechanism. In order to overcome this shortcomings, international patents were reviewed, analysed and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