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글어스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위성사진을 활용한 북한 지역 광산의 광해 현황 연구 (Investigating the Status of Mine Hazards in North Korea Using Satellite Pictures)

  • 윤성문;장항석;윤성택;김덕민
    • 한국자원공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64-575
    • /
    • 2018
  • 최근 남한과 북한의 긴장완화에 따라 남북 경제협력사업 추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의 광산 개발 사업은 남북 경협사업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 광산개발 혹은 광산분야 협력사업 추진 시 광해위험관리에 대한 고려를 해야한다. 그러나, 북한의 광해실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글 어스를 활용하여 북한의 12개의 대표 광산에 대하여 광해현황를 조사하였다. 구글 어스 영상 분석 결과, 북한 지역의 광물찌꺼기 적치장 붕괴, 적화현상, 지반침하 등의 광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적외선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손동작 검출 방법 (The Hand Posture Recognition Using IR-Sensor Array)

  • 송태훈;정순묵;정현욱;권기호;전재욱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32-435
    • /
    • 2009
  • 본 논문은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손동작 패턴 검출에 관한 연구이다. 사람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과,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사용자의 모션검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와 이를 운용하기 위한 고성능의 모션처리기가 필요하다. 또한 조명이나 피부색, 센서의 정밀도에 따른 모션검출의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써, 적외선센서를 가로.세로 형태로 배치한 기구부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검출한다. 또한 보다 정확한 손동작 검출을 위해 사용자 손동작을 패턴단위로 구분하고, 센서의 감지순서와 감지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한 손동작 패턴을 매칭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동로봇이나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어하는 것으로 그 효용성을 검증한다.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은 웹 기반의 지도 검색 프로그램인 구글어스를 사용한다.

  • PDF

황구지천 주변 지역 지하수 양수 영향 분석 (Analysis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near Hwangguji stream)

  • 이정우;김남원;정일문;홍성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5-385
    • /
    • 2017
  • 지하수 관정의 위치에 따라 대수층과 인근 하천의 수리특성이 다양하여 하천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발생하며, 그 영향을 지도(map)상에 표출한 것을 가칭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국토교통부, 2014)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구지천 하류유역에 대해 하천주변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Hunt(1999, 2009)의 해석해로 산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작성하였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직접 양수시험을 수행하여 대수층 수리상수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값을 함께 이용하여 수리상수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양수시험공에 인접한 하천의 바닥에 피조미터 및 시피지미터를 설치하여 하상수리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하천주변 및 하상의 수리상수값을 Hunt 해석해에 대입하여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율을 30m 크기의 셀 단위로 산정하고 이를 구글어스상에 공간적으로 표출하였다. 하천구역에서 300m 이내 지역에서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에는 양수기간 5년동안 평균적으로 양수량의 70%를 초과하는 하천수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활용하면 지하수 개발 이용자 및 허가 관련 행정기관이 지하수 관정의 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하천수 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PDF

RGB 항공영상을 이용한 합류부 전단층 특징 추출법 (Confluence shear layer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RGB aerial imagery)

  • 노효섭;박용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7-277
    • /
    • 2021
  • 합류부는 인공수로 또는 자연하천에서 흔히 존재하며 매우 복잡한 흐름 구조가 발생하는 곳이다. 특히 본류와 지류의 유속장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단층은 흐름과 물질이 혼합되는 경계면이 되며, 흐름 구조가 전단층을 따라 발달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수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원격탐사 기법의 발전에 따라 위성이나 드론과 같은 무인 이동체를 이용한 하천 계측법이 수질 및 지형변화 연구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중 RGB 항공영상은 해상도가 높고 취득 비용이 저렴하여 확장성 및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전단층이 촬영된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해 합류부 전단층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방법은 RGB 항공 영상에서 본류와 지류의 수체 영역을 각각 추출하기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형(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다. 추출된 수체 영역에는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을 적용하고 좌표 변환을 하여 정량적인 특징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듬의 적용 예로서 구글어스를 통해 확보된 낙동강-남강 합류부의 항공 영상을 분석한다. 본 추출법을 이용하면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는 기존의 전단층 계측 방법들에 비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합류부 흐름의 평면적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3차원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SEAMCAT 기반 전파 간섭 평가 도구 (SEAMCAT Based Interference Evaluation Tool with 3D Terrain Display)

  • 박상준;전준영;임창헌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3-20
    • /
    • 2013
  • SEAMCAT(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은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전 논문 [9]에 따르면 기존의 SEAMCAT에 ITU-R P.526 경로 손실 모델을 추가하여 지표 고도 정보를 반영한 간섭 분석 연구를 수행한 바가 있다. 이때 간섭 분석 대상 지역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글 맵에 기반한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도 함께 추가하였다. 하지만 구글 맵은 2차원 지도 형태로 실제 지형의 형태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지표 고도 변화 등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으로 지형을 보여주는 구글 어스(Google Earth)의 API 기능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지형을 보여주면서 부가적으로 분석 대상 통신 시스템의 위치 표시, 위치에 따른 전계 강도나 간섭 강도의 변화, 음영 지역 표시, 가시 분석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SEAMCAT에 추가하였으며, 이를 사용한 간섭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을 위한 GIS수업모형개발 (GIS study model develop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 조선형;홍명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81-286
    • /
    • 2007
  • 최근 디지털 맵이나 GIS와 같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사회과 지리영역은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육방법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워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시청각매체는 학생들의 흥미를 만족시켜주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의 자료가 반영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요즘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으며 구글 어스 등의 새로운 GIS를 활용하여 세계의 모습을 정확하고 손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육과정에서 GIS를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맵과 GIS를 조사하고, 이를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자전거 이용정보 서비스 (Service for Bicycle Use Information Based on Low Carbon Green Growth)

  • 김의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5-81
    • /
    • 2010
  • 기존의 자전거 도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자전거 도로의 신설을 통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점차 자전거 도로의 이용자가 증대됨에 따라 녹색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 되었다. 기존의 자전거 이용정보의 분석은 주로 운동량에 기반하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서 절감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유류비, 지구온난화 처리비용 등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GPX(GPS eXchange Format) 파일형태로 제공되는 자전거 이용정보를 구글어스 기반의 3차원 환경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응용프로그램은 기존의 상업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자전거 이용자 측면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범용지도를 이용한 RTD-2000 기반의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RTD-2000 Based Waterworks Pipe Network Monitoring System using Internet Map Service)

  • 박준태;홍인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450-1457
    • /
    • 2011
  • 현재, 일반적인 누수감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라이선스를 지불하는 전자 지도를 이용하기에, 시스템 구축비용과 관리 주체인 지자체의 재정 지출을 높이며 유지보수, 기능 확장, 타 시스템과의 호환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범용 지도를 이용해 저비용과 고효율을 지향하는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시스템은 호환성이 높은 무료 지도를 활용하기에 기존의 시스템보다 구축비용과 하드웨어 요구 사항은 낮아지며, 결과적으로 전체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은 향상되고, 구축 원가는 급격히 절감된다. 시공과 함께 구축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DB 구축 방식도 함께 제안하여 전반적인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도 높이는 결과를 도출한다.

사진영상의 피사체 위치확인 시스템 설계 (Subject poosition Systems Design of picture reflex)

  • 조동관;정중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551-55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진영상 속의 피사체위치를 확인 가능한 시스템으로써, GPS의 사진촬영 위치와 자이로캠퍼스의 방향각을 통해 사진영상 속의 피사체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사진영상의 피사체 위치확인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윈도우 운영체제의 환경과 임베디드 환경에서 각각 구축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환경으로는 S3C2440A & PXA270 프로세서를 사용하였으며, 개발보드에는 Camera와 GPS, 자이로캠퍼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발언어는 C언어로 구현하였고, 디버깅 환경은 Linux환경의 GCC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디버깅을 하였다. 검증을 위한 PC용 소프트웨어는 비쥬얼 C++ 를 사용하여 검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사진영상의 피사체 위치확인을 위해 알맵, 구글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사진영상 속에 위치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진파일을 다양한 분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검증결과 기존의 GPS의 오차범위인 반경 10m의 오차범위가 1m 이내로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북한 초고층 아파트의 공사속도와 구조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Speed and Structural Safety of a High-Rise Apartments in North Korea)

  • 김장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5-22
    • /
    • 2022
  • 평양 여명거리의 70층 초고층 아파트는 불과 75일 만에 지상 골조공사가 완료되어 구조적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본 연구는 이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여 향후 남북 건설협력에 일조하기 위해 진행됐다. 구글어스와 북한 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조건 아래에서 얕은기초의 적용, 콘크리트 강도와 양생기간을 포함한 공사속도, 그리고 적어도 2022년 5월 현재까지는 구조적 안전에 문제가 없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로써, 북한식 초고층 아파트 건축공사 방식이 남한 기준으로도 이해될 가능성을 확인했고, 이는 향후 북한에서 남북 건축사업 합작 시 북한식 건축공사의 적용과 남한 자원의 최소 이동을 가능케 하여 성공적인 합작 건설사업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