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개융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 가능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 (Recurrent Herpetic Stomatitis Mimicking Post-Root Resection Complication)

  • 홍성옥;이재관;장훈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18-425
    • /
    • 2013
  • 본 증례에서는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할 수 있는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49세 남환이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의 수직파절로 근관치료 후 근심협측 치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19개월 후 환자는 뜨거운 고기를 씹은 후에 좌측 구개부가 헐고 불편하다는 주소로 재내원하였다. 구강 내 검사 시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구개측 치은에 농루로 의심되는 융기부위가 관찰되었다. 임상 검사에서 치아는 치주탐침 시 출혈을 보였고 5 mm 이하의 치주낭이 관찰되었으나 치아동요도는 없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구개측 치근에 치주인대강 비후의 소견을 보였다. 농루로 의심되는 부위에 gutta percha cone을 이용한 농루 추적을 시도하였으나 삽입되지 않았다. 시야를 넓혀 구개 전방부를 관찰하였을 때 작은 원형의 궤양이 다수 관찰되었고 환자는 동통을 호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비치성 동통으로 판단하여 구강내과에 의뢰하였고 구강내과에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로 진단하여 항바이러스제 처방 후 환자의 통증 및 구개측 치은의 궤양이 소실되었다.

구개의 섬유종 : 증례보고 (FIBROMA ON THE PALATE : A CASE REPORT)

  • 김영재;장기택;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6-290
    • /
    • 2003
  • 섬유종은 구강 내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양성 연조직 종양이다. 대개 외상과 관련된 병력이 있으며 10대와 20대에서 호발하며 외과적 절제 후 재발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었다. 14세 여아가 구개에 생긴 연조직 병소의 진단과 처치를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로 의뢰되었다. 병소는 지난 6개월간 점차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외상병력과 구강 내 악습관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상 검사 결과 직경 3cm의 무증상인 점막의 경상 융기가 관찰되었고, 생검(biopsy) 결과 섬유종으로 진단하였다. 외과적 제거 후 4년간 재발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섬유종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과 감별진단, 증례의 진단과 처치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구개 융기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Symptomatic Torus Palatinus)

  • 권준성;최환준;양형은;탁민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473-476
    • /
    • 2010
  • Purpose: Torus palatinus is a bony prominence at the middle of the hard palate. The size varies from barely discernible to very large, from flat to lobular. This oral exostosis is not a disease or a sign of disease, but if large, may be a problem. So, we present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applied therapy and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are case of the symptomatic exostoses. Methods: A 37-year-old woman had slowly growing exophytic nodular mass of the bone that arises the midline suture of the hard palate. The patient was concerned about discomfort associated with movement of her tongue and about frequent irritation of the palatal mucosa during mastification of the hard food. The patient had a large, unilobulated torus palatinus. It extended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canine to a point beyond the junction with the soft palate. The mass was oblong in shape, measuring about 3 cm long, 2 cm wide, and 0.8 cm in height. Result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 a CT was obtained for the sake of estimating the thickness of the bone between the exostoses and the maxillary antrum and floor of the nose. The surgical procedure was performed with the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Removal of the exostosis was performed after midline mucoperiosteal incision with osteotome and diamond burr. Histologic finding revealed decalcified dense bony tissue, the presence of lacunae, and normal osteocytes. Conclusion: Surgical removal is recommended whe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 exist: interference with the construction of prosthesis, interference with oral function, irritation or pathology of the overlying tissue, inability of the patient to maintain proper oral hygiene, and fear of malignancy or other psychologic trauma. We report a rare case of the torus arising in hard palate with symptoms.

공기중과 수중에서 보관한 총의치 의치상의 체적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volumetric change in water-stored and dry-stored complete denture base)

  • 김진선;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8-26
    • /
    • 2021
  • 목적: 일반적으로 총의치는 환자의 구내에서 제거 시 물에 담가 보관하도록 설명하는데, 수중에서의 총의치의 보관이 상온의 공기중에서 총의치를 보관하는 것과 비교해 체적 안정성에 장점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의치의 올바른 보관 방법을 규정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수중에서 보관하는 경우와 공기중에 보관하는 경우에 의치상의체적 변화량과 양상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료 및 방법: 초경석고로 제작한 주모형을 디지털 스캔하여, computer-aided design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총의치 의치상을 디자인하고, 3D printing 기법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 각 6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매몰한 후 열중합 방식으로 온성하여 제작한 레진의치상을 상악과 하악 각 3개씩 그룹 A와 그룹 B로 나누었다. 그룹 A는 상온의 공기중에서 보관되었고, 그룹 B는 상온의 물에 담가 보관하며 24시간 간격으로 28일 동안 스캔하여 stereolithogrphy (SLA) 파일로 저장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한달 간의 체적변화를 측정하였고, best-fi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중첩시켜 3차원 비교 컬러맵을 이용하여 의치상 인상면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측정한 값은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보관방법에 상관없이 총 체적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공기 중에서 보관한 의치상의 경우 상악 구개부와 하악 구치부 설측 변연에서 조직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악 결절부와 하악 후구치 삼각 융기 부위에서는 조직을 압박하는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수중에서의 의치 보관은 공기중에서의 의치 보관에 비해 의치상 인상면의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