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건강관리 행태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사회 구강보건프로그램이 아동의 구강건강관리 행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ty oral hygiene promotion program on oral hygiene practice behavior in children)

  • 김영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83-109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mmunity oral hygiene program on oral hygiene practice behavior in children. Methods: Oral hygiene promotion program was performed in 23 community child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mmunity oral hygiene promotion programs on the oral hygiene practice behavior in childre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4. The trained dental hygienists in 23 public health center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oral hygiene promotion program for oral health examination and education for the childre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as standardized and instructed to the team members. The individual improvement in children oral hygiene practice was assessed using PHP(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sco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Results: After the program, children who stopped eating confectioneries and those eating once a day increased to 32.12% and 14.24%, respectively. Those eating more than four times a day were still high(32.44%), but it was a lower rate than before the program (p<0.001). The rate of toothbrushing of more than 2 to 3 times a day was 82.75% and it was higher than before the education (p<0.001). The knowledge level of children increased from 18.83% to 66.30%. The oral hygiene practice performance in children was highly improved. Conclusions: The four months duration of oral hygiene program remarkably improved the oral hygiene practice in the children. So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welfare centers must cooperate and improve the children oral health promotion by develop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18-24개월 시기에 경험하는 우식치와 탈회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Experience of Decayed and Decalcified Teeth of Infants Aged 18-24 Months)

  • 임순연;우희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5-211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도 C치과의원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18-24개월에 해당되는 293명의 영유아 구강검진 결과표와 부모가 작성한 문진표를 토대로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 및 우식성 식품섭취가 우식치와 탈회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20개월 영유아는 탈회치의 비율이 36.4%로 높고, 23-24개월 영유아는 우식치의 비율이 37.0%로 높게 나타났다. 2. 우유병을 뗀 여부는 탈회치와 우식치의 발생에 관련이 있다(p<.001). 3. 구강상태에서 썩은치아와 뿌연치아에 대해 부모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식품군 중에서 2군(탄산음료/청량음료/가당 과일 쥬스)이 탈회치와 우식치와 관련이 있다(p<.001), 4군(케이크/과자/도우넛/말린과일/바나나), 5군(캐러멜/사탕류/초코렛바)은 탈회치와 관련이 있다(p<.001). 5. 구강검진 결과, 치아치료는 21-22개월(89.3%)에서, 예방치료와 치면세균막 제거는 18-20개월(94.5%)에서 가장 높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면, 생후 18-24개월은 구강건강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시기이므로 영유아 검진시에 부모의 체계화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원 아동의 구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Health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 문정순;송병선;박선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8-627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dental health status of kindergarten children according to their oral health behavior. Method: The subjects were 172 kindergarten children aged 5.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ent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by dentist and bacteria in salivary. Result: 1. Mean score of oral health behavior of children was 4.69 points (SD1.65)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1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except using tooth paste. A total 71.5% of subjects brushed their tooth twice a day, 9.9% of them once a day, 18.6% of them three times a day, 19.2% of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after breakfast and lunch, 89.5% of then after dinner, 5.8% of them before going to bed, 18.6% of children brushed correctly, 79.7% of them used tooth paste with fluorine, 3.5% of them regularly examined oral cavity, 84.4% of them took cariogenic food without any restrain, 67.1% of them were observed with oral cavity by their mother. 2.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i in the saliva was $3.66({\times}106CFU/m{\ell})\;and\;1.05({\times}103CFU/m{\ell})$,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while lactobacilli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children who had regular dental examinations. 3. The index of plaque was 1.56 and the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irls. The mean dft was 4.99.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sex, while the children whose oral cavity was observed regula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ho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As a whole the practice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as poor, and regular dental examinations and oral cavity observations affect their dental health stat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nsive dental health education was needed not only for the pre-school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and teachers.

  • PDF

우리나라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바탕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Regular Oral Check-Ups: Based on the Data of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동휘;서영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3-332
    • /
    • 2017
  • 본 연구는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로 분석하였다. 구강검진 여부에 응답한 2,84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건강검진 수진율은 66.5%, 구강검진 수진율은 30.1%로 건강검진 수진율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소인성 요인에 따른 구강검진 수진 여부를 비교한 결과 연령에서 40대(34.3%)와 50대(34.3%)가 가장 높고, 30대(30.1%), 20대(27.5%), 전기노인(24.9%), 후기노인(12.0%) 순이었다. 셋째, 가능성 요인에서는 개인소득이 상위집단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개인소득이 하위그룹에 비해 상위그룹이 구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1.50배 높았고, 대졸 이상인 사람에 비해 초졸 이하인 사람은 0.37배, 중졸인 사람은 0.49배 구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낮았다. 건강보험종류에 따라 직장보험(33.5%) 가입자가 지역보험(24.2%) 가입자에 비해, 민간의료보험 가입자(31.7%)가 비가입자(22.7%)에 비해 구강검진 수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필요성 요인에서는 치통을 경험한 사람(36.9%)이 치통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25.9%)에 비해, 구강검진 수진 확률이 0.55배 낮았다. 영구치우식 유병자(23.2%)가 영구치우식 비유병자(33.0%)보다 구강검진 수진 확률이 0.62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20세 이상 경제활동자의 구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료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외적요인인 가능성 요인(개인소득, 교육수준, 건강보험종류, 민간의료보험가입 여부), 상병의 수준을 의미하는 필요성 요인(치통 경험 유무, 영구치우식유병 여부), 질병 이전부터 존재해 온 개인의 특성을 의미하는 소인성 요인(연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구강검진 및 치료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구강관리라는 행태적 요인뿐만 아니라 의료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능성, 소인성, 필요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해 주고 있다.

임신 중 구강진료 및 구강건강관리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가임여성과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A Study on Awareness of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Focusing on Women of Childbearing Ages and Women of Childbirth Experience))

  • 박명숙;김정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1-239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3월 26일부터 4월 16일까지 서울, 경기, 충북지역의 18세 이상의 미혼 또는 기혼의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총 2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으며, 자료처리에 부적합한 2부를 제외한 208부를 자료 분석 이용하였다. 임신 중 구강진료와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건강관리 인지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임신기간 중 입덧 후 잇솔질을 하는가에 대해 연령에 따라서는 18~29세(67.3%), 30~39세(47.3%)는 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40~49세(51.0%), 50세이상(52.0%)은 잇솔질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 < 0.001), 임신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임신 중인 조사자 72.2%, 출산경험이 있는 조사자 43.0%가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05). 2. 구강진료 중 걱정되는 것에 내에 연령별에 따라서는 50세 이상(56.0%)에서는 비용이라고 응답하였으며, 18~29에(39.2%), 30~39세(44.6%), 40~49세(41.5%)는 통증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p < 0.05). 임신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임신 중인 조사에서는 통증(38.9%), 유산(27.8%), 비용(22.2%)순이었으며, 출산경험이 있는 조사자들은 통증(45.0%), 비용(22.8%), 유산(14.8%) 순으로 응답하였고, 임신경험이 없는 조사자는 비용(52.2%), 통증(13.0%)순으로 응답하였다(p < 0.05). 3. 임신 중 구강진료를 받아야 하는가에 대해 연령별에 따라 18~29세, 50세 이상에서는 받으면 안된다가 각각 41.9%, 52.0%로 가장 높았으며, 30~39세와 40~49세는 각각 53.6%, 54.7%가 받아도 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신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임신 중인 조사자는 63.9%, 출산경험이 있는 조사자는 46.3%가 받아도 된다고 응답하였으며, 임신경험이 없는 조사자는 받아도 된다, 받으면 안된다가 각각 34.8%로 조사되었다(p < 0.05). 4. 보조구강위생용품이 필요한가에 대해 18~29세(47.3%), 30~39세(46.4%)에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40~49세(41.5%), 50세 이상(48.0%)은 모르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p < 0.05).

  • PDF

의치사용노인의 구강건강위험요인과 의치관리행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Risk Factors and Denture Management Behavio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Denture-Wearing Elderly)

  • 박소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7-11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risk factors, and dentur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elderly and improve their or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86 individuals from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do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The female participa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family relationship than the male participants. Among the risk factors for oral health,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participants who had no psychological inconvenience and bad breath symptoms. Among the factors for denture management behavior,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receive dental checkups regularly expressed great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had not received denture care education. Conclusions: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lderly welfare programs and or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for denture-wearing elderly were discussed.

일부 보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관리수준에 관한 비교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Oral-Health Care of Som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 이민영;유자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1-1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an attempt to stress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boost the efficiency of oral health 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3 college students. Out of the selected students, 174 were health-related majors, and 189 weren't.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Concerning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the largest number of the male students who accounted for 55.2 percent brushed their teeth once a day on average, and the greatest number of the female students who represented 52.9 percent did that twice a day. As for the influence of their major, the largest group of the health-related majors who numbered 89(51.1%) brushed their teeth twice a day,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health-unrelated majors who numbered 93(49.2%) did that once a day. The gaps between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As to the length of toothbrushing time by gender, it took more than two or three minutes for the larg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96(76.8%) and 184(77.3%) to do toothbrushing(p<0.01). The great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2(57.6%) and 183(76.9%) brushed their teeth after meals. 3. In regard to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groups of th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8(44.8%) and 115(60.8%) had chewing gum and candy with them. As to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99 health-related majors(56.9%) and 133 health-unrelated majors(70.4%) didn't put oral hygiene supplies to use. Thus,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was statistically less common among the health-unrelated major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1). 4. As for health-related concern by gender, the largest group of the male students that numbered 56(44.8%) showed the most interest in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female students that numbered 103(43.3%) were most concerned about tooth whitening. The ga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the track of their majo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5.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caling,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never got their teeth scaled regardless of gender and major, and the greatest group didn't care about scaling irrespective of gender and major, either, though they considered it advisable to do.

  • PDF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T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Chron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Middle and Older Adults According to Gender)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03-410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 장년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35~65세의 중 장년 남성 3,071명, 여성 4,273명 총 7,344명을 최종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나쁨'이 남성은 1.69배(p<0.001), 여성은 1.50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저작불편 '있음'은 남성은 2.01배(p<0.001), 여성은 1.40배((p=0.001)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자는 남성에서는 1.68배(p<0.001), 여성은 2.07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고혈압유병은 정상에 비해 고혈압전단계 군이 남성은 1.44배(p<0.001), 여성은 1.30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비만은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남성은 1.199배(p<0.05), 여성은 1.202배(p<0.05)의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당뇨는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유병군에서 남성은 1.28배(p<0.05), 여성은 1.53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남성은 저작불편, 여성은 흡연이 치주질환에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과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성의 구강건강관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구강질병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 노인의 말하기 불편감과 정신건강 및 구강건강관리 행태의 관련성: 제8기 2차(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discomfort and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in Korean elderly people: based on the 8th 2nd (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황지민;최정희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iscomfort while speaking in the elderly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oral health care policies for a healthy old age. Using the raw data from the 8th wave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0), we conducted a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discomfort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oral health care behavior, among 1,278 elderly individuals in Korea. Differences in speaking discomfort were analyzed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using complex sample cross-analysis. Additionally, factors associated with speaking discomfort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ndividuals with depression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speaking discomfort (p<0.05), and individual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stress also reported higher levels of speaking discomfort (p<0.05). As a factor affecting speaking discomfort, it was found that speaking discomfort was 2.56 times higher (p<0.001) when dental care was not met, and speaking discomfort was 3.05 times higher (p<0.05) when teeth brushing was less frequent.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t is believed that a customized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is necessary to expand dental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the elderly and improve oral healthcare.

강릉시 일부 초등학교 양치교실 운영 사례 보고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School-Based Tooth Brushing Program in Gangneung City, Korea)

  • 신선정;신보미;배수명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18-5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 추후 효과적인 사업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1년에 양치교실을 설치하여 운영 중인 강릉시 P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양치교실 설치 후 구강건강행태 및 구강증상경험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1. 모든 군에서 칫솔질 및 식습관에 대한 구강건강지식 문항의 정답률과 구강건강에 대한 바른 인식률은 낮은 수준이었고, 실험군 저학년의 자신의 구강건강수준을 매우 건강 또는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양치교실 설치 직후 35.7%에서 6개월 후 48.9%로 증가하였다(p=0.031). 2.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매일 칫솔질 실천율은 실험군 저학년에서는 1차 조사 시 53.5%에서 6개월 후 2차 조사 시 35.5%로 18.0% 감소하였고, 6개월 후 3차 조사 시에는 비슷한 수준(35.4%)으로 유지되었으며(p<0.001), 고학년에서는 2차 조사(42.1%)에 비해 3차 조사(35.1%) 시 소폭 감소하였다(p<0.001). 대조군의 매일 칫솔질 실천율은 실험군 3차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저학년 28.6%, 고학년 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7, p<0.001). 3.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점심식사 후 매일 칫솔질하지 않는 이유로 이 닦는 것을 깜빡 잊어버렸기 때문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구강증상경험률은 실험군 고학년의 치통경험을 제외한 모든 증상에서 1차 조사에 비해 6개월 후 2차 조사 시 경험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고학년의 입냄새 경험률은 2차 조사 시 실험군 14.7%에 비해 대조군 2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6). 5. 실험군에서 양치교실을 이용할 때 대부분 보건 선생님이 지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치교실 이용 시 불편한 점으로 양치교실의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것과 양치교실이 좁아서 복잡하거나 혼잡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양치교실 설치사업을 통한 환경 개선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선생님의 관리감독 강화,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하며, 구강보건교육 및 양치교실 설치사업이 다양한 건강증진전략과 통합하여 운영될 때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건강증진을 위한 통합건강증진사업으로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