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점막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인의 임플란트 주위 질환에서 real time PCR법을 이용한 치주세균 평가: pilot study (Evaluation of periopathogenic bacteria of peri-implantitis using real-time PCR in Koreans: pilot study)

  • 이문영;권은영;김현주;이주연;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86-195
    • /
    • 2018
  • 목적: 한국인에서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심도에 따른 미생물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real-time PCR)법을 이용하여 5종의 치주세균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가 식립된 총 60명의 환자를 치근단 방사선 사진 및 임상지수 검사를 통해 3군(건강군,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군, 임플란트 주위염군)으로 나누었다. 멸균된 curette기구를 이용해 치은연하에서 미생물 샘플을 채취한 후 치주세균 5종에 관해 real time PCR을 시행하였고 comparative delta-CT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미생물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Eikenella corrodens, Treponema denticola의 상대적 발현량은 임플란트 주위염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17). 반면 Fusobacterium nucleatum,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상대적 발현량은 질환의 심도와는 관련 없이 건강한 임플란트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revotella intermedia의 상대적 발현량은 건강한 임플란트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017). 결론: 한국인의 임플란트 주위질환에서 대표적인 치주염 세균이 검출되었으나 치주염과 유사한 미생물학적 분포를 보이지는 않았다.

상악절제술로 인한 경구개 결손 환자에서의 closed hollow obturator 제작 증례 (Fabrication of closed hollow obturator for hard palate defect patient undergone maxillectomy)

  • 장우형;임현필;윤귀덕;박찬;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0-34
    • /
    • 2020
  • 경구개, 상악동, 또는 협측 점막이나 비강에 존재하는 종양이 생긴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악 절제술을 행한다. 종양의 크기나 범위에 따라서 그 절제 부위는 달라지며, 이로 인해 해부학적 경계가 없어지기도 하며 발음 장애나 연하 장애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부학적 구조가 결손되거나 개방된 경우, 이 때 발생한 공간을 닫고 결손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폐색장치(Obturator)를 착용한다. 폐색장치를 성공적으로 재건하는 것은 굉장히 까다로운 작업이다. 폐색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치아의 상태와 수, 남아있는 지지 영역 그리고 결손 부위의 범위나 정도 등이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요소들이 불리하다면 보철물 제작 시 그 예후는 불확실하다. 완성된 폐색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충분한 유지력을 지녀야 하며, 동시에 절제술을 시행한 주변 조직과 지지 영역에 자극을 주어선 안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환으로 광범위한 상악 절제술을 시행하여 소수의 잔존치아만이 남았고, 상악 보철물 제작 시 유지력이 불리할 것으로 보였다. 이에 무게를 감소시킨 hollow한 폐쇄형 폐색장치(Closed hollow obturator)를 제작하였고,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밀폐 효과와 적응도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의치 접착제가 총의치의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enture adhesives on the retention of complete denture)

  • 윤유미;최유성;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3
    • /
    • 2010
  • 연구목적: 의치 접착제는 구강 내 의치 장착 시 유지에 도움을 주는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써 의치상과 점막 사이에 계면력을 증가시켜 유지를 향상시킨다. 이에 본 실험은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생체 외 실험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으로 실리콘 무치악 모형과 레진 의치상 간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비교, 평가하고 탈락력이 가해진 방향에 따른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가지 의치 접착제로 POLIDENT$^{(R)}$와 COREGA$^{(R)}$를 사용하여 레진 의치상에 적용시키고, 실리콘 모형에 적합시킨 후 인스트론으로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인공타액으로 접착제의 농도를 점점 희석시켜 반복 측정하였고, 수직력, 측방력, 전후방력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인공타액만을 사용한 대조군과 비교시 의치 접착제를 사용한 군에서 유의성 있는 유지력 증가를 보였다 (P<.05). 2. 희석횟수에 따른 비교 시 두 접착제 군에서 모두 1회 희석 시에는 희석시키지 않은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회, 3회, 4회 희석시킨 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3. 탈락 방향에 따른 비교 시 수직 방향의 탈락력이 가장 컸으며 전후방력, 측방력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5). 4. 두 접착제 간의 접착력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접착제의 사용은 유지력 증가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절개 수술을 이용한 맞춤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즉시 장착 증례 (Immediate Connection of Customized Zirconia Abutment Using Flapless Guided Surgery: A Clinical Report)

  • 이경제;최병호;김희준;정승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201-212
    • /
    • 2012
  • 임플란트 주위조직과 치아 주위조직은 조직학,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다. 특히 functional ankylosis라 불리는 티타늄과 연조직의 직접적인 상피부착은 치아주위 조직의 접합상피처럼 염증세포의 치근단으로의 이행 및 그로 인한 골흡수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반복적인 지대주의 착탈은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mucosal barrier를 파괴하여 골흡수를 야기할 수 있다. 만일 지대주의 반복적인 착탈 없이 수술 시에 보철 지대주를 채결한다면 골흡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존의 수술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으나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한 guided surgery를 이용함으로써 임플란트 식립의 3차원적 정확성의 비약적인 향상으로 이런 술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정밀한 CBCT를 통한 분석 후 지르코니아 맞춤 지대주를 미리 제작하고 수술 시에 즉시 지대주와 임시보철물을 연결한 경우로 임상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행동패턴 연구 (Behavior patterns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 옥수민;김경희;전혜미;허준영;안용우;정성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2호
    • /
    • pp.744-752
    • /
    • 2014
  • There are many causes of oral mucosal diseases, so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treatments available. The most commonly used agents include adrenocortical hormones, antifungals, antivirals, antibacterials, and immunosuppressants.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improving oral hygiene and nutrition, and reducing stress are effective in symptom relief. Furthermore, patients with existing diseases of the oral mucosa should avoid behavior that may cause an increase in pain. Unfortunately, many patients are unaware of the activities that may lead to increased pain and therefore do not avoid these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behavior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with regard to activities that led to increase pa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selected from the Oral Medicine Clinic of the Pusan National Hospital during March to August 2013.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total of 479 patients, 116 patients with mucosal disease were selected and 73 fully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score of Question 13 (Not smoking) is $2.47{\pm}1.11$. Mean score of Question 11 (Not drinking alcohol or not using mouthwash containing alcohol) is $2.22{\pm}1.15$. The other questions resulted in scores lower than 1.5.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ssigned numerical values: not keeping = score of 0; little keeping = score of 1; often keeping = score of 2; always keeping = score of 3. In conclusio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unknowingly engage in activities that result in an increase in pain. Therefore, they need to be educated about how to behave to protect oral mucosal lesion.

Midazolam을 구강 점막 하로 병용 투여한 진정법의 안정성과 Houpt Scale을 이용한 진정효과에 대한 연구 (Safety and Efficacy of Submucosal Midazolam When Combined with Oral Chloral Hydrate,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 Sedation by using Houpt's Scale)

  • 박미경;김윤희;정상혁;백광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3-112
    • /
    • 200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safety and effect with and without additional submucosal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when used for pediatric conscious sedation in a clinical dental environment. Methods: Thirty one cases of pediatric conscious sedation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Selection criteria included good health (ASA I), under 6 years old, 20 kg of body weight, uncooperative behavior and the need for sedation to receive dental treatment including anesthesia and restorative or surgical procedure for at least two teeth. In each visit,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wo groups; CH group: chloral hydrate (60 mg/kg), hydroxyzine (1 mg/kg), CH-M group: chloral hydrate (60 mg/kg). hydroxyzine (1 mg/kg) and submucoal midazolam (0.1 mg/kg). 50% nitrous oxide-oxygen was maintained during the sedation period Sedations were monitored using a pulse oximeter for estimating pulse rate (PR) and percutaneous oxygen saturation ($SpO_2$). Behavior response rated using Houpt's scale and need of restraint was assessed every 2 minutes through 30 minutes of operative procedure reviewing the videotape recording. Evaluation of overall behavior success was performed using modified overall behavior rate of Houpt's scal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Results: PR and $SpO_2$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The mean scores for sleep and movement of CH-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H group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core for crying between two groups. The mean scores of overall behavior of CH-M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CH group (P < 0.01). Reinstraint of CH-M group was less required than that of CH group (P < 0.05). Conclusions: Oral chloral hydrate (60 mg/kg) and hydroxyzine (1 mg/kg) combined with submucosal injection of midazolam was safer and showed more improved sedation effect than oral chloral hydrate (60 mg/kg) and hydroxyzine (1 mg/kg) without midazolam for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 PDF

소아에서 EMLA cream을 이용한 도포마취 : 증례보고 (THE TOPICAL ANESTHESIA WITH EMLA CREAM IN CHILDREN : A CASE REPORT)

  • 김희진;고승백;홍성수;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5
    • /
    • 2002
  • 치과치료를 위하여 마취를 시행할 때 아동들의 주사기나 주사바늘에 대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다. 도포마취제의 사용이 한 가지 방법이다. 도포마취는 많은 임상과정, 즉 주사침 자입부위, 간단한 유치발치, 구토반응이 심한 환자에서 치과용 구내 방사선 촬영시, 인상채득 전 구토반응의 감소 목적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소아에서 치면열구전색술과 예방심미수복술시 치아격리를 위한 러버댐 clamp의 장착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는데, 도포마취는 이런 목적으로 러버댐 장착시 도움이 된다. 모든 구강내 도포마취제는 점막에 동등한 효과가 있다고 제안되었으나, 1980년대 개발되어 피부의 표면마취에 사용되는 EMLA(acronym for eutectic mixture of local anaesthetics)가 기존의 도포마취제보다 부착치은에 사용시 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침윤마취가 필요한 몇 증례에서 EMLA cream을 이용하여 국소마취를 하기 전단계, 유치 발거시, clamp 장착시, 기성관 수복 등에서 동통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아의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협측 치은에 발생한 모세혈관종 치험례 (TREATMENT OF CAPILLARY HEMANGIOMA ON MAXILLARY BUCCAL MUCOSA : A CASE REPORT)

  • 강근영;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0-684
    • /
    • 2004
  • 혈관종은 혈관의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유아와 어린이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진성종양으로 보다는 과오종(hamartoma)으로 보며 구강내 호발부위는 입술 혀, 협점막, 구개부 등이다. 임상소견은 편평하거나 융기된 적청색 병소로 보통 단발성이다.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모세혈관성(capillary), 해면상(cavernous), 혼합성(mixed), 경화성(sclerosing) 등으로 분류되며 확진된다. 본 증례는 6세 남자 환아가 치은에 뭐가 났다는 것을 주소로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 결과 #62, 63 부위의 부착치은에 딸기모양 종물(mass)이 관찰되었다. 조직검사 시행 결과 모세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외과적 절제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혈관종은 재발이 드물며 악성전환이 없지만 출혈 경향이 높으므로 임상적 시술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CAD/CAM 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NobelGuide$^{TM}$) 및 즉시하중 후 고정성 보철수복 증례 (Implant Supported Fixed Restoration for Maxillary Edentulism using CAD/CAM Guided Implant Surgery (NobelGuide$^{TM}$) and Immediate Loading)

  • 허윤혁;이양진;김대곤;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423-439
    • /
    • 2012
  • NobelGuide$^{TM}$ 임플란트 시스템은 골량과 골질을 수술 전에 판단하여 점막을 젖히지 않고 미리 계획된 스텐트와 보철물을 이용하여 즉시하중을 부여하는 CAD/CAM 기반의 임플란트 보철 치료방법이다.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여 미리 예측 가능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술 후 합병증 및 보철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56세 남성으로 상,하악 부분 무치악 상태였으며, 상악전치부 보철물 탈락과 하악 전치가 흔들린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에 상악 잔존치 모두와 하악 4전치 발거 및 치주치료를 실시한 뒤 임시 의치를 6개월간 사용하여 발치와 치유 및 의치 적응여부를 평가하였다. 골량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고 환자의 협조도와 경제적인 여건, 전신건강 등 여러 사항이 양호하여 CAD/CAM 기반의 수술템플렛을 이용한 무판막 수술을 통해, 미리 제작된 임시 고정성 보철물로 즉시하중을 부여하는 상악 NobelGuide$^{TM}$ 임플란트 시스템을 계획하였다. 사용중인 임시의치를 이용하여 제작한 방사선 스텐트로 CT를 촬영하고, computer based planning (Procera$^{(R)}$ software)을 통해 3차원적인 골형상과 각 부위별 단면상을 참고하여 상악에 8개의 임플란트 식립체를 생역학적 관점 및 골조건을 고려하여 분산 배치하였다. 미리 제작된 임시 고정성 보철물을 임플란트 수술 후 즉시 장착 및 하중을 부여하여 기능하도록 하였으며 6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한 뒤 금속구조물을 이용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하악의 경우 전치부 도재전장주조금속관과 우측 구치부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통해 상, 하악 치료를 마무리하였다.

한국 노인 여성의 치태에서 분리된 Actinomyces georgiae KHUD_A1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Genome sequence of Actinomyces georgiae KHUD_A1 isolated from dental plaque of Korean elderly woman)

  • 문지회;신승윤;홍원영;장은영;양석빈;류재인;이진용;이재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4-76
    • /
    • 2019
  • 그람 양성 혐기성 간균 Actinomyces는 구강 인두, 위장관 및 비뇨 생식 기관의 점막 표면에서 흔히 서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노인 여성의 치태에서 분리된 Actinomyces georgiae KHUD_A1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고한다. 이 균주의 유전체는 2,652,059 bp의 크기로 GC 함량은 68.06%이며, CPBP family intramembrane metalloprotease 유전자와 bile acid: sodium symporter family protein 유전자 등 157개의 KHUD_A1 균주 특이적인 유전자들을 포함한다. 이 유전체의 서열 정보는 A. georgiae종의 일반적인 특성과 Actinomyces속의 유전체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