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보건교육학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19초

재가장기요양기관의 방문구강보건교육 전·후 의치의 일부 병원성 미생물의 집락수 변화 (Home visiting oral health program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and the change of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 counts in denture)

  • 한지혜;배성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3-9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of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carried out a home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through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before and after the home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and measured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 counts in the denture.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self oral care ability of the elderly at home after home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including the behavior of self management of dentures, and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 counts in the dentures. Conclusion: The home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of home care service centers can improve oral health care for the elderly at home.

사회치위생학의 학습목표 제안: 구강보건행정 영역 (Sugges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Social Dental Hygiene: Oral Health Administration Area)

  • 박수경;이가영;장영은;유상희;김연주;이수향;김한나;조혜원;김명희;김희경;류다영;김민지;신선정;김남희;윤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96
    • /
    • 2018
  • 본 연구는 공중구강보건학 구강보건행정 영역의 국가시험 A항목 학습목표 48개의 '치위생 직무관련성', '치위생역량관련성', '교육목표 설정의 가치판별성', '시의성'을 검토하여, 최종으로 제안한 사회치위생학 구강보건행정 영역의 국가시험 A항목 학습목표는 총 75개였다. 전체 학습목표 중 18개를 삭제하였고, 15개를 수정보완하였으며, 기존 학습목표 15개를 유지하였고, 새로운 학습목표 45개를 추가하였다. 학습목표 주제는 I.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II. 구강보건진료제도, III. 구강보건행정, IV. 구강보건정책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최근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확대 등 의료보장제도는 국가정책의 변화 등을 반영한 의료보장과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옹호자'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분야의 학습목표를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강보건진료제도와 구강보건행정 분야의 기존 학습목표는 치과위생사로서 현장의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개념과 내용으로 수정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구강보건정책 분야는 치과위생사로서 정책에 참여하고 치위생 정책의제를 발굴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여 변화주도자, 옹호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내 보건의료정책, 치위생 관련 정책 이슈의 변화, 정책과정, 정책참여, 정책평가 등의 내용을 중점으로 학습목표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여 사회치위생학 분야의 학습목표를 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개편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어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모아졌다. 첫째, 사회치위생학 학습목표를 개정하고, 실제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역량을 개발해야 할것이다. 둘째, 사회치위생학 학습내용은 지식, 태도,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를 적극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개정된 학습목표와 역량을 기준으로 사회치위생학 교재와 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개정된 사회치위생학 학습목표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변화를 통하여 치위생(학)계는 학습내용이 지식중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통해 다양한 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치위생학 학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출 한 후 임상과 지역사회 현장에서 치과위생사로서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내실 있는 교육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의 구강보건 지식도에 관한 조사 (A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Home 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Daegu area)

  • 최성숙;류혜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5-118
    • /
    • 2008
  • 대구지역 초등학교 학급교사들의 사회인 구학적, 구강보건지식습득경로, 구강위생관리목적, 불소효과에 대한견해, 치아우식증 예방효과, 불소 및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8개교(수성구-2개교, 남구 2개교, 북구-2개교, 동구-2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학교별 각 학급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자 스스로 설문내용을 기입하도록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급교사의 구강보건지식 습득경로는 치과의원과 신문, 잡지, 홍보책자를 통한 경우가 각각 45.8%와 40.0%로 가장 많았으며, 다수의 응답자에서 구강위생관리 목적이 치주질환예방이 우선순위였다. 2. 불소효과에 대한 견해는 불소치약사용이 가장 우선순위로 꼽혔으며, 불소복용이 가장 낮은 순위였다. 3.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는 정기적인 치과내원이 5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군 치아우식증 예방효과(p<0.01), 및 근무경력별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에서(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불소에 대한 지식도는 배와 치아형성에 기본영양소이다와 미세한 충치를 회복시킨다에서 불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치주질환의 원인은 치태이다에서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가 부족하였다. 5. 연령군, 근무경력별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도 (A Cognitive Degree on the Operative Dentistry, Prosdontis)

  • 김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7
    • /
    • 1996
  • 본 연구는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으로서 치과병원을 내원한 진료환자중 215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지식정도와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 정책과 국민구강보건 교육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해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과 보철물의 관리에 대한 지식에서는 유의성이 차는 없었지만 치료지시도에서는 치주병을 예방할 수 있다가 71.6%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므로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 고 있었다. 2. 치아교정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미적인 이유로 교정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7.9%) 통계상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교정의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P<0.01) 3. 치과보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필요하다가 72.2%로 유의성은 없었다. 치과보철 재료의 선호는 도재(45.6%)와 금(43.7%)으로 비슷한 차이를 보여 예전의 금에 대한 인식이 현대에 와서는 자연치아의 색조와 유사한 도재치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일반인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이 구강건강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치아관리 지식과 보존, 보철에 대한 구강보건 교육은 계속적인 등기여부를 시키는 것이 치과계의 중요한 당면과제라고 생각된다.

  • PDF

당뇨병 환자의 구강 상태 및 구강건강증진방안 (Oral condition and Oral Health Promotion Method in Diabetes Mellitus)

  • 이희경;박은영;이성국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49-159
    • /
    • 200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by understanding their oral health condition and defining the influence of diabetes on oral heal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intraoral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s done on one hundred and twenty two diabetic outpatients who visited endocrine department at Yeungnam University in Daegu and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at Chungmu hospital in Cheonahn for 4 months from November, 2005 to February, 2006. DMF index according to the gend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only in Filling index (p <0.05). Missing index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p <0.001). Papillary bleeding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p <0.05). Several indices which show oral statu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duration of diabetes increased and as the blood sugar level before meal was higher (p <0.01, p <0.05). In a group that received oral hygiene education, several indices which show periodon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a group that didn't have it (p <0.001). According to the results, not only diabetic control but also general oral care should be included in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diabetic patients and this should be accomplished by appropriat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staffs.

구강보건교육에 있어서 교육재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 Dental Health Education.)

  • 정영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3-121
    • /
    • 1984
  • How can the educator help learners to learn? The old way was to tell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passing on the educator's knowledge. Now the educator acts as a helper. She will organise experiences which allow the learners to do health behaviors, she may utilize instructional materials, she may write downsome questions for a group of learners to discuss. In all these ways the teachers is helping learning. Some educators feel that they must do all the talking themselves. They feel that they are not really teaching the learners some new information, but this is quite wrong. In fact if a educatorgives a lecture and learners do not learn, then the educator is talking not teaching. So the dev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is much needed to be a learner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may be very important for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learners in interest, complexity of ideas, opportunity for self-identification, speed of learners' ability to observe and length of concentration. Author studied the several instructional material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dental health education and also studied their values,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when they are used. The learning activities are poster, puppet, model, mock-up, specimen, flannel board, chalk board, bulletin board, psychodrama, role play, field trip, exhibition, laboratory method.

  • PDF

장애인 구강건강관리인력에 따른 구강환경관리능력 지수 비교 (The comparison of Patient Hygiene Performance(PHP) Index according to the number of Oral Health Care worker with Disabled)

  • 김소연;김수지;김연선;김지홍;김효진;정승민;홍지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6-126
    • /
    • 2019
  • Objectives: 현재 장애인의 구강건강은 구강건강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가 아닌 사회복지사가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상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Methods: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전에 사회복지사 4명에게 잇솔질(회전법)을 교육하였으며, 잇솔질 방법과 검사 측정 도구를 통일하였다.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구강보건지식점수 및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점수의 평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Microsoft Office Excel ver.2016 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산출하였다(N%). Results: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의 구강보건지식 조사에서 모든 문항에서 치과위생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연령별, 성별 모든 분류에서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2차에 걸쳐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1차, 2차 모두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Conclusions: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애인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 치과위생사가 사회복지사보다 구강건강관리능력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입소시설에 치과위생사가 구강건강관리전문 인력으로 배치되어 장애인 및 사회복지사의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하며,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도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전문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일부 특수학교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조사 (Survey on the Oral Health Car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 유자혜;이민영;김정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1-9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status of the oral health car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tilization and the oral health guid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status of oral health edu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33 teachers at special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buk and Jeonbuk regions. Results: 32.8% of the male and 67.2% of the female teachers have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Barriers for the dental treatment to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show in the order as 'disabled children's noncooperation' 49.2%, 'economic reasons' 37.7% and 'medical institution's rejection' 6.6% and, to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disabled children's noncooperation' 45.8%, 'economic reasons' 19.4% and 'not emergency situation' 13.9%(p<0.01). Regarding the necessity of arranged institution to manage the oral health, 91.8% of teachers with the oral health education answer as 'necessary'(p<0.05). Regarding the barriers on the performance of oral health program 27.9%, the majority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answer as 'insufficient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and 36.1%, the majority of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answer as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expertise on the oral health education'. 86.9% of the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and 62.5% of the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are found to 'guide students on the oral health'(p<0.01). Conclusions: It was considered that variou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positively influential to th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teachers.

  • PDF

현행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개선에 관한 조사 (A study on improvement for national examination of dental hygienists in Korea)

  • 남용옥;장선희;김선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25-440
    • /
    • 2010
  • 목적 : 현재 우리 사회는 건강증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보건의료에서 질적 서비스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구강진료를 분담하는 치과위생사들도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의 수준향상이 필요하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 국가시험제도이며 국가시험에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필요한 과목과 내용을 직무를 중심으로 조정한다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되어 현행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제도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캐나다 국가시험 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책을 알아보았다. 방법 : 전국 치과위생사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수와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 중에서 최근 국가시험 응시경험자를 대상으로 2008년 6월 9일부터 6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E-mail 과 Fax를 이용하였다. 캐나다 국가시험제도는 National Dental Examinations American Dental Association. 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 Candidate Guide자료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통계프로그램(Version 11.0)을 이용, Chi-square 검정을 하였으며, Fisher's Exact Test에 의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국가시험과목구성은 현행 국가시험과목구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과목조정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대학근무자가, 나이가 많을수록, 재직기간이 길수록 더 높았다. 2. 국가시험 문제의 유형은 암기해석 문제가 대부분이었고 난이도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전문성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과목조정 필요성은 구강생물학개론, 치과임상학 순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캐나다 국가시험과 비교해 보면 치과임상학과 구강위생학개론 분야의 조정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한국과 캐나다의 국가시험제도는 형식은 비슷하나 내용과 과목의 구성에서는 큰 차이가 있었다. 5. 캐나다의 국가시험과 비교 시 한국은 치과위생사의 포괄적인 치과위생관리능력을 평가하기 어려웠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면 현행 국가시험은 과목 구성이 부적절하므로 조정의 필요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캐나다 국가시험과는 과목구성에서 큰 차이가 있었고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포괄적 치과위생관리능력을 평가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현행 국가시험 개선이 요구되었다.

Water jet 사용시의 구강청결 효과에 관한 임상적 조사연구 (A Clinical Study on Effect of Mouth Cleaning by Use of Water jet)

  • 김용성;김경민;신승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5-9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 for selection of oral hygiene devices for nations and establishing valid indication of recently popularized water jet. The author has divided 36 persons into general, orthodontic, periodontal patients according to their oral hygiene state, and then evaluated the degree or decrease in plaque indices and gingival bleeding indic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both manual toothbrush and water jet were used together by three kind of patients, significant decreases in plaque index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after 4 weeks compared with ordinary toothbrushing only(p<0.05). 2. When both oral hygiene devices were used together by three kind of patients, significant decreases in gingival bleeding index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after 4 weeks compared with ordinary toothbrushing only(p<0.05). 3. Singificant differences of the average gingival bleeding index & plaque index among three kind of patients were observed(p<0.05). 4.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for effective oral hygiene care. water jet can be recommendable to general patients, especially to orthodontic or periodontal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