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gnitive Degree on the Operative Dentistry, Prosdontis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도

  • Kim, Jung-Sook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Taegu Junior Health College)
  • 김정숙 (대구보건전문대학 치기공과)
  • Published : 1996.07.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ngnitive degree of dental subjects and general pubic who have an experience to be treated for their teeth on the dental knowledge, operative dentistry, and dental prothesis in the oral health care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knowledge on the care of dental prothetic stuff, there i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degree of therapeutic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 as showing 71.6% in I can prevent a gingivits;(P<0.01) Therefore, they have well known an importance of prevention. 2. In the knowledge on the orthodontics, it was appeared to cure their teeth due to an esthetic reason(47.9%). There is not any significance in the Statisics, but it appeared the relatively high knowledge in the time and period of orthodontics(P<0.01) 3. In the congnition on the necessity of dental prothesis, it appeared relatively high, but 'Be necessary' didn't show the significance as 77.2%. The proferance to dental prothesis material showed the similar difference of porcelain(45.6%) and gold(43.7%), and the moderns tend to ptefer porcelain teeth similar to the color of matural teeth in the modern, getting out of the existing cognition of preferring the gold.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o be preferentialy necessary the motivae the general public for the oral thealth education on the dental knowledge, operative dentistry, and dental prothesis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general public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oral health as the abovementioned results.

본 연구는 대구시내에 거주하는 일반인으로서 치과병원을 내원한 진료환자중 215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지식정도와 치과보존, 보철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구강보건 정책과 국민구강보건 교육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해서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과 보철물의 관리에 대한 지식에서는 유의성이 차는 없었지만 치료지시도에서는 치주병을 예방할 수 있다가 71.6%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므로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 고 있었다. 2. 치아교정에 대한 인식에서는 심미적인 이유로 교정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7.9%) 통계상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교정의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P<0.01) 3. 치과보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필요하다가 72.2%로 유의성은 없었다. 치과보철 재료의 선호는 도재(45.6%)와 금(43.7%)으로 비슷한 차이를 보여 예전의 금에 대한 인식이 현대에 와서는 자연치아의 색조와 유사한 도재치아를 선호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일반인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실천이 구강건강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치아관리 지식과 보존, 보철에 대한 구강보건 교육은 계속적인 등기여부를 시키는 것이 치과계의 중요한 당면과제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