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간추정

Search Result 1,2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odeling Clustered Interval-Censored Failure Time Data with Informative Cluster Size (군집의 크기가 생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군집 구간중도절단된 자료에 대한 준모수적 모형)

  • Kim, Jinheum;Kim, Youn Na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2
    • /
    • pp.331-343
    • /
    • 2014
  • We propose two estimating procedures to analyze clustered interval-censored data with an informative cluster size based on a marginal model and investigate their asymptotic properties. One is an extension of Cong et al. (2007) to interval-censored data and the other uses the within-cluster resampling method proposed by Hoffman et al. (2001). Simulation results imply that the proposed estimators have a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bias and coverage rate of true value than an estimator with no adjustment of informative cluster size when the cluster size is related with survival time. Finally, they are applied to lymphatic filariasis data adopted from Williamson et al. (2008).

Comparative Study of Confidence Interval Estimators for Coverage Analysis (Coverage 분석을 위한 신뢰구간 추정량에 관한 비교 연구)

  • Lee, Jong-Suk;Jeong, Hae-Duck J.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219-228
    • /
    • 2004
  • Confidence interval estimators for proportions using normal approximation have been commonly used for coverage analysis of simulation output even though alternative approximate estimators of confidence intervals for proportions were proposed. This is -because the normal approximation was easier to use in practice than the other approximate estimators. Computing technology has no problem with dealing these alternative estimators. Recently, one of the approximation methods for coverage analysis which is based on arcsin transformation has been used for estimating proportion and for controlling the required precision in [12]. In this paper, we compare three approximate interval estimators, based on a normal distribution approximation, an arcsin transformation and an F-distribution approximation, of a single proportion. Three estimators were applied to sequential coverage analysis of steady-state means, in simulations of the M/M/1/$\infty$ and W/D/l/$\infty$ queueing systems on a single processor and multiple processors.

Robust confidence interval for random coefficient autoregressive model with bootstrap method (붓스트랩 방법을 적용한 확률계수 자기회귀 모형에 대한 로버스트 구간추정)

  • Jo, Na Rae;Lim, Do Sang;Lee, Sung Duc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1
    • /
    • pp.99-109
    • /
    • 2019
  • We compared the confidence intervals of estimators using various bootstrap methods for a Random Coefficient Autoregressive(RCA) model. We consider a Quasi score estimator and M-Quasi score estimator using Huber, Tukey, Andrew and Hempel functions as bounded functions, that do not have required assumption of distribution. A standard bootstrap method, percentile bootstrap method, studentized bootstrap method and hybrid bootstrap method were proposed for the estimations, respectively. In a simulation study, we compared th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of the Quasi score and M-Quasi score estimator with the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using the four bootstrap methods when the underlying distribution of the error term of the RCA model follows the normal distribution, the contaminated normal distribution and the double exponential distribution, respectively.

Parameter estimation of Z-R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target rainfall (목표 강우량에 대한 강우추정 관계식의 매개변수 추정)

  • Kang, Minseok;Na, Wooyoung;Kim, Gild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0-180
    • /
    • 2019
  • 본 연구의 목표는 돌발홍수 예 경보시스템(Flash Flood Warning System, FFWS)의 효용성 극대화를 위한 레이더 자료의 품질향상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레이더 자료의 품질향상 기법들은 모두 자료의 평균값에 맞추어져 개발되었다. 그러나 돌발홍수 예 경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강우강도 임계값은 평균값과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큰 강우강도의 신뢰도는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 예 경보시스템에 사용되는 목표 강우량에 대한 강우추정 관계식의 매개변수 추정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슬산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비슬산 레이더 관측반경 내 위치한 AWS 지점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강수입자분포(Drop Size Distribution, DSD)를 지수분포로 가정하여 유도한 레이더 강우추정 관계식을 재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관측된 비슬산 레이더 반사도 자료를 10dBZ 단위로 구분하여 레이더 반사도 구간별로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강우자료 쌍에 대한 DSD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DSD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해 비슬산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AWS 지점의 강우자료를 지수분포로 가정하여 유도한 강우추정 관계식에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목표 강우량에 대한 강우추정 관계식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레이더 반사도 구간별로 DSD 매개변수의 대푯값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수분포로 가정하여 유도한 레이더 강우추정 관계식에 레이더 반사도 구간별 DSD 매개변수의 대푯값을 적용함으로써 목표 강우량에 대한 강우추정 관계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n Uplink MC-CDMA/TDD System with Pre-Equalization (사전등화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MC-CDMA/TDD 시스템의 성능분석)

  • 남기호;오성근;선우명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218-22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전등화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MC-CDMA(multicarrier-code division multiple access)/TDD(time division duplexing) 시스템에서 사전등화를 위한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법들에서는 하향링크 슬롯구간에서의 채널변화를 적절한 차수의 다항식으로 모델링하고, 이 다항식을 상향링크 슬롯구간으로 확장함으로써 상향링크 슬롯구간의 채널을 추정한다. 하향링크 슬롯구간에서의 채널변화는 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curve fitting 방법이나 Lagrange 보간법 등이 사용되며 1차, 2차, 3차 다항식으로 근사화 된다. 성능지표로 정확도보다 시스템 성능이 중요 하므로 BER (bit error rate)을 사용한다. 다양한 시스템 및 채널환경에서의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Lagrange 보간법은 하향링크 채널정보가 정확한 경우에는 MMSE 방법보다 성능이 다소 우수하지만 하향링크 채널추정 오류에 매우 민감하며, 2 차 다항식을 사용한 MMSE curve fitting 방법은 다양한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채널추정 오류에도 매우 강인함을 알 수 있다.

  • PDF

An Interval Travel Demand Estimation Method (구간추정법을 이용한 교통수요추정)

  • Lee, Seung-Jae;Kim, Yo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2
    • /
    • pp.81-88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travel demand estimation using interval estimation methods during the trip generation stage, and then followed the other three stages of the four stage trip estimation. We have used real data of Dae-jun City. To estimate travel demand using the interval estimation method, a reliability level was set to 95% by a upper bound value, a middle value and a lower bound value. The four stage traffic demand analysis procedure was equally applied and finally interval traffic was estimated. The result showed a difference between maximum values and middle values depending on the destination during the trip generation stage. It depends on an explanation ability of regression analysis. Most of interval estimation ratio resulted in the traffic assignment stage showed ${\pm}5{\sim}18%$ difference on the average and ${\pm}30{\sim}50%$ at the most.

A Short Consideration of Binomial Confidence Interval (이항신뢰구간에 대한 소고)

  • Ryu, Jea-Bo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5
    • /
    • pp.731-743
    • /
    • 2009
  • The interval estimation for binomial proportion has been treated practically as well as theoretically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properties of major confidence intervals and summarized current issues for coverage probability and interval length which are the criteria of evaluation for confidence interval.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three topics which were considered in using the binomial confidence interval in the field. And finally we discussed the future studies for a low binomial proportion.

Comparison of confidence intervals for testing probabilities of a system (시스템의 확률 값 시험을 위한 신뢰구간 비교 분석)

  • Hwang, Ik-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5
    • /
    • pp.435-443
    • /
    • 2010
  • When testing systems that incorporate probabilistic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pply test inputs a number of times in order to give a test verdict. Interval estimation can be used to assert the correctness of probabilities where the selection of confidence interval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quality of testing. The Wald interval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interval estimation.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Wald interval and the Agresti-Coull interval for various sizes of samples. The comparis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test pass probability of correct implementations and the test fail probability of incorrect implementations when these confidence intervals are used for probability testing. We consider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to check if the probability is close to a given value. Also one-sided confidence intervals are considered in the comparison in order to check if the probability is not less than a given value. When testing probabilities using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we recommend the Agresti-Coull interval. For one-sided confidence intervals, the Agresti-Coull interval is recommended when the size of samples is large while either one of two confidence intervals can be used for small size samp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to estimate a river discharge through numerical modeling (수치모델링을 통한 하천 유량 추정 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 Choi, Seo Hye;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6-236
    • /
    • 2022
  • 연속적인 하천의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관측된 수위값을 유량으로 변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사용하며 수위구간 별로 일대일 관계로 제시된다. 그러나 유량을 추정함에 있어서 수위 외에도 하상경사, 조도계수와 같은 지형인자,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와 같은 흐름요소를 모두 고려하여야 정확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적합한 수준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조석의 영향이 있는 구간이나 홍수와 같이 시간에 따른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는 경우에는 관측값과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한 추정값의 차이가 상당히 증가하여 유량 추정값의 활용이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적용이 어려운 조건에서 보다 정확한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 1차원 유동해석모델을 이용한 계산 값과 관측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검토하고, 지점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점은 강우, 식생 등의 영향으로 수위와 유량의 관계를 단일 관계로 표현하기 어려워 구간분리가 발생된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흐름해석은 기지의 기점수위 조건으로부터 시작하며, 모델링을 통해 유량과 조도계수를 동시에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 내에서도 수위와 유량 관계의 루프형 특성, 조도계수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하천에서 유량추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에 대해 추정할 수 있었다. 향후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유량 추정방식의 보완이 필요한 지점을 선별하는 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stimation of Congestion Cost on the Seoul-Pusan Express Highway (도로 혼잡비용 추정 이론과 사례 (1999년 설날 연휴 고속도로 경부구간의 경우))

  • 김상태;이기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27-38
    • /
    • 2002
  • This study estimates the social cost of the traffic congestion of the Express highway from Seoul to Pusan during the New Year holiday in 1999. Considering inelastic demand and the hyper congestion, we show the congestion cost can be estimated as externalities caused by traffics which exceed the road capacity. Due to the congestion, it is estimated that it took about 12.40 hours more from Seoul to Pusan. The congestion is also estimated to have caused fuel cost of 0.6 billion won. time cost of 43.6 billion won and environmental cost of 0.5 billion won. The total cost reached up to 44.8 billion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