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합상태

Search Result 31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 of the Height of Occlusal Appliance on Masticatory Muscles in Various Body Postures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

  • Park, Kye-Ra;Suh, Bong-Ji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1
    • /
    • pp.51-58
    • /
    • 2001
  •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고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8명을 대상으로,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와 4.3, 6.0, 8.1mm 두께를 가진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직립위, 식사위 그리고 앙와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 우측 교근 몇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를 채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는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근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교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직립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3. 식사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4. 앙와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4.3, 6.0,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 PDF

Occlusal Analysis in the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경찰 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T-scan 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 Lim, Hyun-Dae;Jung, Seung-Ah;Lee, You-M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4
    • /
    • pp.365-373
    • /
    • 2006
  • This study suggested correction of excessive mouth opening or maximum occlusal contact to analyse occlusal contact time, occlusal contact number and force through evaluation of occlusal pattern in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community of policemen influence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evelopment and progress due to other condition of mouth opening and maximal occlusal contact. Repeated training or changes of usual life style may cause imbalance of stomatognathic system including the masticatory muscle, then develop or aggravate pain of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associated structures. This study uses T-scan II system(Tekscan Co., USA) for evaluation on occlusal pattern may influenc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hen the subjects take a sensor at 20 mm opening for maximal occlusal contact force. The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alr disorders get more long time on maximum contact timing, more short on end contact timing, and more force on end contact force than general society's. So they get closure of mouth with more short time and more force, then transfer remaining load to temporomandibular join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s between affected side and occlusal pattern of occlusal contact time and force. There are Left -right dental arch imbalances seems on Rt. dental arch if affected side is right and Lt. dental arch if affected side is left. In above results, It's worth due consideration that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et more smooth mandibualr movement and less force on maximal occlusal contact position.

중심위(Centric relation)의 임상적 의의

  • Jang, Ik-Tae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1 no.9 s.172
    • /
    • pp.705-711
    • /
    • 1983
  • 교합의 기본이 되는 하악의 위치와 치아접촉상태는 중심교합위와 중심위의 두개의 기초적 개념으로 분류되는데 교합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기능적 상태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하악의 중심성(Centricity)에 관한 개념간의 차이에 관하여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느냐는 문제가 최근의 임상적 쟁점의 초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 PDF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Changes of Mandibular Position (하악위 변화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연구)

  • Lee, Eun-Hee;Suh, Bong-Jik;Oh, Hee-M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4 no.1
    • /
    • pp.49-58
    • /
    • 1999
  • 저자는 하악의 위치변화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는 정상성인 28명을 대상으로 중심위 교합장치(centric relation splint), 중심교합위 교합장치(centric occlusion splint), 전방 재위치 교합장치(anterior repositioning splint)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하악의 중심의, 중심교합위, 전방위률 유도한 후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를 채득, 분석,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최대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교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전측두근의 경우 중심교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3. 전측두근의 경우 전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01). 4. 교근과 전측두근의 좌우 비대칭지수(asymmetry index)는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Teeth Image Recognition for Biomerics (생체 인식을 위한 치아 영상 인식에 대한 연구)

  • Ki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0-242
    • /
    • 2008
  • 본 논문은 치아의 전치 교합과 후치 교합 상태에서 획득된 영상들에 대해 BMME와 LDA에 기반한 개인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두 치아 교합 상태의 영상들로부터 치아 영역 추출, BMME, 패턴인식 과정으로 구성된다. 두 상태의 치아 교합을 사용하면 영상에서 일정한 치아 모양이 유지되며, BMME는 패턴인식에서 정합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 준다. 강체인 치아는 영상 획득시 왜곡되지 않으므로 치아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생체 인식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은 20명에 대해 개인 인증을 위한 인식에 성공하여 다중 인증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Electromyographic Conmparative Study on Elevator Muscles before and after Occlusal Splint Therapy in Group Function Patients (Group function군에 대한 교합장치치료 전후에서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연구)

  • Soo-Guen Lee;Keum-Back Shin;Bok Choi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0 no.1
    • /
    • pp.205-215
    • /
    • 1995
  • 저자는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대한 교합장치 치료시 group function 교합이 있는 환자에서도 canine guidance교합으로 변화시켜 치료함이 정당한지를 근전도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Group function 교합을 가진 20명의 두개하악장애환자와 1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교합장치치료 전, 도중, 후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두개하악장애지수를 조사한 수 이들 자료를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인군에서 최대이악물기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는 교합장치치료 도중의 cannine guidance교합시가 교합장치치료전후의 group function 교합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1). 2. 두개하악장애군에서 최대이악물기 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는 교합장치치료 도중의 canine guidance교합시 교합장치치료전후의 group functin교합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P<0.01). 3. 두개하악장애지수는 교합장치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P<0.01)

  • PDF

A Study on the Side Effect of the Splint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Craniomandlbular Disorders (교합상을 이용한 치료가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미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5 no.1
    • /
    • pp.45-53
    • /
    • 1991
  • 저자는 두개하악 장애로 교합상치료를 받고있는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후 1개월, 3개월, 6개월째에 주관적 평가, 임상적 검사, 근전도 검사, 컴퓨터 교합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평가인 visual analogue scale과 Helkimo's anamnestic dysfun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적 검사시 MM(mandibular movement), TM(TMJ capsule palpation), EM(extraoral muscle palpation), Di(Helkimo's clinical dysfu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무통성 개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42명의 환자중 10명에서 교합변화가 관찰되었으며, 5명에서 치주질환, 2명에서 치아 과민감, 1명에서 구토경향이 관찰되었다. 3. 치주칠환을 보이는 10명의 환자중 3명은 교합상치료 이전부터 치주질환에 이환된 상태였으며 3명에서는 교합변화가 함께 관찰되었다. 4. 교합변화를 보인 10명의 환자중 교합상의 장착시간을 줄였을 때, 3명이 원래의 교합상태로 회복되었고 4명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으며 3명에서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악관절 내장 제 5기 환자에서 교합변화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 시 사이의 치아접촉점 수, maximal clenching 시의 치아 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사이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habitual clenching 시의 치아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Oral rehabilitation of excessive tooth wear patient using zirconia fixed prosthesis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 Jang, Ju-Ho;Choi, Yeon-Jo;Ryu, Jae-J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8 no.2
    • /
    • pp.121-129
    • /
    • 2020
  • From the point of view of oral rehabilitation, the treatment of extensive tooth wear requires a prosthetic approach. Physiological tooth wear is considered as a normal process and generally does not require treatment, but excessive tooth wear causes problems like inadequate occlusion and esthetics. Change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made through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Also, the patient's adaptation to the chang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assessed over time. This case was a 60-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a decrease in chewing function and esthetics due to severe tooth wear. Full-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with a tooth supported fixed prosthesis. An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and provisional restor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adaptation to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induce a stable centric relation position. After that,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was delivered. We report this as a satisfactory functional recovery and esthetics.

Factors that affect the bite force measurement (교합력 측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Im, Ji-Ho;Lee, Wonsup;Kim, Myung-Joo;Lim, Young-Jun;Kwon, Ho-Beom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1
    • /
    • pp.1-7
    • /
    • 2016
  • Mastication is the process to help digestion by chewing or grinding food. Masticatory system consists of maxilla, mandible, temporomandibular joints, ligaments, dentitions, and musculatures. Assessing the bite force can be one of the methods to estimate the masticatory system. Bite force is influenced by facial morphology, age, sex, periodontal status,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dental condition, and so forth. In general, higher maximum bite force is seen in those who have a square-shaped face and in male rather than female. In addition, bite force tends to be increased by age 20, maintained constantly until age 40 - 50, and then decreased. Periodontal disease is known as a causative factor for decreased bite force while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remains controversial as to whether it affects the force. The status of teet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maximum bite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