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Changes of Mandibular Position

하악위 변화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연구

  • Lee, Eun-He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honhuk National University) ;
  • Suh, Bong-Jik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honhuk National University) ;
  • Oh, Hee-Myung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Chonhuk National University)
  • 이은희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서봉직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오희명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3.30

Abstract

저자는 하악의 위치변화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는 정상성인 28명을 대상으로 중심위 교합장치(centric relation splint), 중심교합위 교합장치(centric occlusion splint), 전방 재위치 교합장치(anterior repositioning splint)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하악의 중심의, 중심교합위, 전방위률 유도한 후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를 채득, 분석,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최대 근활성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교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전측두근의 경우 중심교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3. 전측두근의 경우 전방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최대 근활성도는 교합 장치물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 및 중심위에서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01). 4. 교근과 전측두근의 좌우 비대칭지수(asymmetry index)는 하악의 위치변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