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관계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3초

구강 내 사진을 이용한 유구치 관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rimary Molar Relationship using Digital Photograph)

  • 임소영;강정민;황동환;최형준;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6-43
    • /
    • 2020
  • 유치열기 어린이의 교합적 특성에 대해 국외에서는 관련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으나 최근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는 희소하며 서로 다른 인종 간에 교합양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의 목적은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는 한국 어린이의 유구치 교합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한 명의 소아치과 전문의가 치과의원에 내원한 만 2 - 5세 유치열기 어린이들의 구강 내 임상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 명의 평가자가 유구치 교합관계를 평가 및 분류하였으며 성별, 연령 등의 환자 정보를 기록하였다. 총 389명에서 좌우측의 교합관계가 동일하게 근심계단형인 경우가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양측 모두 수직형인 경우는 15.4%, 원심계단형인 경우는 4.9%로 나타났다. 좌우측의 교합관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근심계단형과 수직형의 조합이 14.7%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모집단 일부에서는 유견치 관계를 분류할 수 있었고 좌우측 동일하게 1급 유견치 관계인 경우가 4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구치 교합관계는 영구치열기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거나 교합유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의 유치열기 교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최근 경향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된 II급 악간관계 환자의 교합 재설정을 통한 완전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 with class II jaw relation and posterior bite collapse using reestablishment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김재현;조혜원;정지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62-272
    • /
    • 2015
  •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과 비정상적 악간 관계는 교합 부조화로 이어지며 다양한 병적 징후를 동반한다. 저작, 심미 및 발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교합고경과 교합평면 재설정에 따른 완전구강회복이 필요하게 된다. 본 증례는 75세의 여성으로 교합지지 상실과 불균일한 교합평면 및 II 급 부정교합을 가지고 있었다. 안모를 관찰하고 악간관계를 평가한 결과 상하악의 최대교두간접촉위가 상실되면서 수직교합고경이 감소된 것으로 진단되었다. 상악 국소의치와 하악 고정성보철물로 상실된 교합수직고경을 회복하고 조화로운 교합평면을 형성하였다. 수직고경 거상량은 7.5 mm로 하였고,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8 주간 경과 관찰 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며 저작효율과 심미성은 개선되었다.

설기능과 부정교합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NGUE FUNCTION AND MALOCCLUSION)

  • 이미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21
    • /
    • 1971
  • 부정교합과 구강영역의 악습관과의 관계를 구명해 보고자 본 저자는 구내 악습중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으며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는 tongue-thrusting에 대한 다음과 같은 일연의 조사를 시행하였다. 1. Tongue-thrusting의 빈도와 부정교합의 유형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2.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에 내원한 263명의 부정교합 환자로부터 tongue-thrusting의 유무, 수유방법, 구내악습 및 상기도병변상태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15세 내실 17세 남학생 1,356명중 tongue-thrusting을 보인 사람은 $12.7\%$였다. 2. Angle씨 3급 불정교합이 tongue-thrust swallowing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인공 수유가 tongue-thrust swallowing의 원인이 된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었다. 4. 상기도의 만성 병변은 tongue-thrust swallowing과 무관하였다.

  • PDF

광조사교합분석법을 이용한 머리 위치와 교합접촉면적의 관계 (Relation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contact area using photo occlusion analysis)

  • 김창환;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2호
    • /
    • pp.90-97
    • /
    • 2019
  • 목적: 교합접촉면적에 관련된 이전의 연구들은 교합두께 수준이나 교합측정방법 상 부정확성이 한계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머리 위치가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광조사교합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건전한 치열을 갖는 54명(남성 44명, 여성 10명, 23 - 33세)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머리 위치와 교합접촉면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대상은 치과용 유닛체어에 세 가지 자세(누운 자세($0^{\circ}$), 기울인 자세($45^{\circ}$), 직립 자세($90^{\circ}$))로 하여 최대 교두간 접촉위를 이용하여 악간관계기록을 채득하였다. 광조사교합분석기($BiteEye^{(R)}$)를 이용하여 교합접촉면적을 분석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95%에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머리 위치는 교합접촉면적과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결론: 머리 위치는 교합접촉면적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으므로 교합관계가 안정적이라면 최대 교두간접촉위의 악간관계 기록 채득 시 환자의 자세는 변수가 되지 않으며 광조사교합분석기를 이용한 교합접촉면적의 측정은 재료적, 용이성 측면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골격적 요소에 따른 교합평면 검사도의 보상적 변화 (Compensatory changes of occlusal plane angles in relation to skeletal factors)

  • 김현숙;김선영;이인성;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40
    • /
    • 2004
  • 본 연구는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의 교합평면경사도와 부정교합군의 치료 전후의 교합평면 경사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골격관계에 따른 교합평면의 치아 치조성 보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정치료 시 교합평면 설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61명의 정상교합자와 92명의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골격 관계에 따른 교합평면 경사도를 비교하였다. 정상교합군은 전후방적 골격양상에 따라 골격성 I급군, II급군 III급 군으로 나누었으며, 수직적 골격양상에 따라서는 수평군, 정상군, 수직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계측치를 일원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치료전후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교합군과 부정교합군간의 비교에 있어 일정한 값을 보인 계측치는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이었다. 2. 치료 후의 AB평면에 대한 교합평면 경사도는 II급 골격관계에서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III급 골격관계에서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정상교합군의 값에 근접하였다. 3. 정상교합군에서 AB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 경사도는 I급 골격 관계에서 $91.7^{\circ}$, II급 골격 관계에서 $88.8^{\circ}$, I격 관계에서는 $93.5^{\circ}$이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합과 저작근 활동

  • 김중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10호통권221호
    • /
    • pp.913-916
    • /
    • 1987
  • 저작운동을 중추신경계와 말초조직의 작용에의해 일생동안 학습과 적응의 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의 양상은 유치가 구강내에 맹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상하악 치아의 접촉, 점막과 혀 및 치아상호간에 일어나는 접촉과 치근막의 고유수용기와 악관절 수용기등에 의해 조정되어 최종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고 동통이나 불편함이 없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양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한 저작과 하악은동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저작근, 악관절, 상하악 치아의 교합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일 외상에 의해 악관절의 기능장애가 오면 저작근활동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교합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하거나 대합치아간의 조기접촉이 있으면 교합장애가 원인이 되어 근육활동이 변화와 악관절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친 근육의 활동(이갈이, 지속적 긴장성 수축)에 의해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인한 교합장애나 악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합의 형태학적 관계와 더불어 저작계의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 그 상호관계를 검토하여야 하며 본문에서는 교합에 관련된 저작근의 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합장애와 근육활동장애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코자 한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골격유형에 따른 치아치조특성 (Dentoalveo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cial types of Class III Malocclusion)

  • 박성수;김현덕;이대희;김정기;전영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33-42
    • /
    • 2002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통하여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치아치조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중 교정 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29명, 여자 31명, 합계 60명(평균나이 :남자 19.4세, 여자 20.2세)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III급 부정교합의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보다 작은 IMPA를 보였다(p<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를 나타내는 SNB 및 NtoPog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남자군에서는 SNB가 SNU1, FHU1, PalU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여자군에서는 SNU1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남자군에서 하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SNMP, FMA, PalMP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SNU1, FHU1, PalU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여자군에서는 FMA, PalMP와 IMPA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high angle군에서 low angle군과 비교하여 SNU1, IMPA가 작은값을 보였다(<0.05).

총의치를 위한 교합

  • 조인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4권12호통권211호
    • /
    • pp.1003-1011
    • /
    • 1986
  • 총의치 교합에는 관계되는 많은 개념, 기술, 철학이 있다. 이 교합의 기본 법칙들을 이해하고, 어떤 system의 교합이 사용되던 간에 이를 현명하게 잘 적용해야할 것이다. 어떤 교합이, 인공치를 어떻게 배열해야만이 환자에게 가장 안전하면서 효율적인가를 알아내 이를 환자에 적용토록 부단히 노력하는 것이 치과의사의 책임일 것이다.

  • PDF

전치부 개방교합자와 정상교합자의 이설근 및 구륜근 활성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IOGLOSSUS MUSCLE AND ORBICULARIS ORIS MUSCLE ACTIVITY IN THE ANTERIOR OPEN BITE AND NORMAL OCCLUSION)

  • 강용;송형근;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5
    • /
    • 1995
  • 이 연구는 정상 교합자와 개방교합자 사이에,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을 하고, 이설근과 구륜근의 활성도를 비교하여 근활성도와 골격의 형태간에 상호 상관 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신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 경험이 없으며, 악관절 장애가 없는 Angle I급 교합관계를 가진 20명의 정상교합자와 overbile가 -0.5에서 -6mm인 19명의 개방교합자를 선정하였으며 각 대상에서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촬영하여, 20가지 항목을 계측하고, 안정위, 연하시, 개구시, 등장성 혀 내밀기, 최대 혀 내밀기때의 이설근과 구륜근의 근활성도를 관찰하고. 근활성도와 골격의 형태간에 상관관계를 알고자 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정위를 제외하고, 이설근의 근활성도는 개방교합자에서 정상교합자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 2. 연하시를 제외하고, 구륜근의 근활성도는 개방교합자에서 정상교합자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 3. 최대 혀 내밀기에서 개방교합자의 이설근이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4. 골격형태와 이설근과 구륜근의 상관관계가 정상교합군에서는 적고, 개방교합군에서는 더 많은 항목에서 유의성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