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신호제어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rridor Control Strategies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in Seoul (신신호 시스템의 신호제어 전략 및 교통축 운영성과 분석연구 (영동대로와 도곡동 축을 중심으로))

  • 이영인;장근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93-207
    • /
    • 2002
  •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검지기 체계로부터 교통소통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분석, 처리하여 신호시간을 신호주기별로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신호제어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신호제어기능 또는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전략의 효율성 여부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신호 시스템의 기본 제어알고리즘과 개선된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관하고, 신신호시스템의 운영성과를 현장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신신호 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제어기능과 알고리즘을 토대로 비 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하여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고, 이의 적용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운영성과는 시범지역의 남북 교통축(영동대로)과 동서 교통축(도곡동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동대로는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함에 따라 시스템 운영성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곡동길은 현재의 신호운영 전략과 검토대안이 비슷한 수준의 운영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 운영지역의 교통축은 1개의 중요 교차로와 5-6개의 비 중요 교차로로 구성된다. 영동대로의 운영성과 분석결과, 교통축의 운영효과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과 동시에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제어기능이 적절하게 연계 운영될 때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신호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의 개선과 동시에 비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의 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Calculating Traffic Congestion of each Intersection Direction (교차로상의 방향별 교통혼잡량 산출)

  • 진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206-215
    • /
    • 1998
  • 교차로 교통신호제어의 입려정보로 단순히 차량의 대수만으로는 정확한 신호제어를 할 수가 없다. 여기에는 대기차량수, 도로의 길이, 차량의 형태 등을 고려한 도로의 혼잡량이라는 상징적 정보량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징적인 정보량은 입력정보인 실제적인 물리량사이에 서로 관련성이 없거나 상충적일 경우, 각 정보간의 선형성과 관련식을 도출하여 상징적인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 신호처리에서 사용하는 상징적 정보량의 의미와 필요성을 고찰하여 본 후, 퍼지 이론을 통해 물리적인 교통 정보량을 이용 교통신호제어 상징적인 출력 정량인 교통 혼잡량을 산출하여 교통신호제어에 적용하여 기존의 교통신호제어와 비교하였다.

  • PDF

The optimal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 using the symbolic timing analysis (신호제어 변수들의 기호적 시간해석을 이용한 최적 교통 신호제어 방법)

  • 윤동영;이종근;지승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43-49
    • /
    • 2002
  • 본 연구는 첨단 신호 시스템 알고리즘의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를 기호적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최근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일환으로 최적화 된 교통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제어기법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신호제어기법은 복잡한 교통환경에서 신호제어 변수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모든 해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한편 기호적 시뮬레이션 기법은 발생 가능한 모든 사건과 시간관계를 자동 생성시킴으로써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교통환경에 대해서 신호제어 변수간의 모든 시간관계를 추론해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기호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모델링에 있어서 교통량과 같은 양적인 요소들의 기호적 표현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량과 같은 양적인 요소들을 시간에 따른 변화량으로 해석하여 첨단 신호 시스템 알고리즘의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에 접근한다. 이를 위해 국내 첨단 신호 시스템을 대상으로 신호제어 전략에 필요한 양적 요소를 검토하고, 이러한 양적 요소를 시간에 따른 변화량으로 해석하여 모델링 하고, 기호적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신호 제어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 PDF

Signal Control Policies in Saturated Network (혼잡시 신호제어전략 연구)

  • 임용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81-92
    • /
    • 1998
  • 교통신호제어는 교타로상에서 유입 차량들을 관제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예방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네트워크의 최적화 도구로도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1950년대 후반 신호제어에 대한 Webster의 제어전략이 발표된 이후 관련 학자들에 의해 몇 개의 신호제어 전략들이 발표되었지만, 이들 전략들은 대부분 비포화시를 반영하는 전략 들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도심 가로망들은 근포화나 과포화 등 극심한 교통혼잡을 겪고 있 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새로운 신호제어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차원 의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첫 번째 연구로서 혼잡시를 고려한 2가지의 새로운 교통 신호제어전략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신호전략은 과포화시 차량들의 대기행렬을 수용할 수 있는 접근로의 수용용량을 고려한 전략이며, 두 번째 전략은 overflow에 의한 차량들의 지 체시간을 최소화시키는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개 신호전략과 새로운 전략들을 예제 가로망을 대상으로 서로 비교, 평가하였으며, 신호제어전략이 통행배정모형(traffic assignment)과 결합하는 경우 유일해(unique solution)가 존재하는지(monotonicity condition)도 검토하였다.

  • PDF

가변교통상황 제어를 위한 분산교통신호 제어 에이전트의 설계

  • 박길철;구하성;임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777-784
    • /
    • 1998
  • 본 논문은 시간 혹은 주변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교통량을 스스로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에이젼트를 설게하고 가상 실험을 하여 기존의 고정식 신호등과 비교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교통 신호등은 교통량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에 따라 각 방향의 신호를 주고 있기 때문에 교통량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급작스런 교통상황의 변화에 대응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TCA(Distributed Traffic Control Agent)가 설계되었다. DTCA는 교차로의 교통정보를 수집하여 신호등을 제어한는 정보로 활용하고, 인접 교통제어 에이젼트와 교신한면서 최적의 신호시간과 신호주기를 결정한다. DCTA는 시간대별, 요일별 교통과 통계를 수집,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현재 교통량을 동적으로 수집 그리고 주변의 상호제어 에이젼트와 정보를 교환하여 비정상적인 교통흐름을 대처할 수있다.

Simulation of Traffic Signal Control with Adaptive Priority Order through Object Extraction in Images (영상에서 객체 추출을 통한 적응형 통행 우선순위 교통신호 제어 시뮬레이션)

  • Youn, Jae-Hong;Ji, Yoo-Ka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8
    • /
    • pp.1051-1058
    • /
    • 2008
  •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for image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makes it possible for current traffic signal controllers and vehicle detection technology to make both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and transit priority strategies as a part of integrated system. Present]y traffic signal control in crosswalk is controlled by fixed signals. The signal control keeps regular signals traffic even with no traffic, when there is traffic, should wait until the signal is given. Waiting time causes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congestion in accordance with signal violation. To help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and congestion, this paper explains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for the adaptive priority order so that signal may be preferentially given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site through the object detect images.

  • PDF

Adaptive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in VANET Environment (VANET 환경에서 적응적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 An, Do-Sik;Cho, G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343-345
    • /
    • 2012
  • 기존의 교통제어 시스템은 고정된 녹색 신호의 길이와 주기를 갖고 있다. 그에 따라 차선 간 차량 밀집도가 불균형한 경우 교통 처리량이 저하되고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지정체가 유발된다. 본 논문에서는 VANET을 이용하여 교통량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해 적응적으로 교통 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차량의 수, 평균 신호대기 시간, 차선 간 균형, 응급상황 등을 고려하여 교통 신호를 가변적으로 제어 한다. 차량이 교차로에 진입하기 전 통신모듈을 갖고 있는 신호등에게 위치, 방향, 속도 정보 등을 송신하고 traffic control system에서 교통량을 분석하여 녹색 신호를 가변적으로 할당 한다. 실험결과 제안 기법이 교통 처리량, 평균 신호대기시간에서 기존 교통신호 제어 기법보다 높은 성능을 확일 할 수 있었다.

LTE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시스템용 HW 기반 SSL VPN 성능 분석 연구

  • Lee, Jaehoon;Jang, Chankuk;Wi, Hansaem;Yi, Okyeon
    • Review of KIISC
    • /
    • v.27 no.2
    • /
    • pp.22-2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NPA-TSC-2010 R14)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 상용 LTE 이동통신망을 적용 가능한 검증필암호모듈 기반의 SSL VPN을 개발하여, 정보보안의 성능과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의 기기 변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SSL VPN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구현하여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의 보안 표준규격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기술 및 절차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Design of intelligent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Multiprocessor Architecture (멀티 프로세서 구조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설계)

  • 한경호;정길도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2
    • /
    • pp.62-68
    • /
    • 1998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esign of the intelligent traffic control system by using multiprocessor architecture. Th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of the architecture is implemented by sharing the serial communication channel. In comparing the conventional traffic control system using single processor architecture, the proposed system uses multiple processors controlling the sub systems such as the signal lights, traffic measurement unit, auxiliary signal lights and peripherals. The main processor controls the communication among the processors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link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at remote site. The proposed architecture reduces the load and simplifies the program of each processor and enables the real time processing of the add-on features of intelligent traffic control systems. The architecture is implemented and the common channel inter-processor communications and the real time operation is experimented .experimented .

  • PDF

유고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축의 동적통합제어모형 구축

  • 유병석;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6-296
    • /
    • 1998
  • 고속도로 교통축은 고속도로와 운전자가 대체도로로 이용할 수 있는 표면가로로 구성된 가로망을 말한다. 이러한 고속도로에서의 도로망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제어기법으로는 고속도로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과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합한 제어전략은 아직 고려되고 있지 못하다. 고속도로에서 사고나 극심한 혼잡으로 인해 지체가 되었을 경우 단순히 진입램프에서 램프미터링만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부체도로로의 경로전환을 통해 고속도로교통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지능형교통체계(ITS)에서 고려하고 있는 경로안내시스템과도 결부된다. 그러므로, 고속도로 교통축에서는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전략과 진출램프에서의 경로전환전략,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최적화전략을 통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에서의 진입램프미터링과 진출램프를 통한 경로전환,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을 통합한 제어모형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통합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통합제어모형은 적정 제어변수의 값을 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합제어알고리즘을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