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비용

Search Result 1,0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Accident Costs for Each Accident Severity (교통사고 등급별 사고비용 추정)

  • 이수범;심재익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59-78
    • /
    • 1998
  •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자동차수가 급증하여 '97년에는 1.000만대를 돌파 하였다. 자동차수의 증가와 함께 교통사고도 나날이 늘어 '96년에는 사망자가 12,600여명에 이르렀다. 교 통사고는 막대한 인명피해와 함께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을 소모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추정은 교통안전사업의 효과분석 및 기타 교통관련사업에서 꼭 필요한 자료이다. 이제까지 국내에서 수 행된 교통사고비용은 1년간의 전체 사고비용만을 추정하고 사고등급별 사고건당 사고비용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연구는 교통관련사업에서 꼭필요한 자료이다. 이제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교통사고 비 용은 1년간의 전체 사고비용만을 추정하고 사고등급별 사고건당 사고비용은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통관련사업에 필수적인 사고심각도에 따른 교통사고비용을 도출하려한다. 교통사고비용을 산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총생산손실법과 개인선호성법이 있으나 본연구에서는 총생산손실법을 이용 하였다. 교통사고비용 항목은 사고로 인한 생산손실비용, 의료비용, 차량수리비용, 행정비용 및 PGS(Pain, Grief & Suffering) 비용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PGS비용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고려된 항 목으로 교통사고 피해자 및 가족의 물질적·정신적 피해비용을 의미한다. 본연구에서는 각 항목의 비용 추계를 가능한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구체적으로 산출하였으며 그결과 사고등급별 건당 교통사고비 용을 도출하였다. PGS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사망사고 1건당 2억4천만원이고 중상사고 1건당 2천3백만 원 경상사고 1건당 7백 9십만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사망자와 부상자 1인당 평균사고비용은 각각 2억 1천만원과 1천1백만원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ransport Accounts in Korea (한국의 교통계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도로교통과 철도교통을 중심으로 -)

  • Kim, Han-Young;Lee, W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6
    • /
    • pp.996-1010
    • /
    • 2009
  • This paper proposed the framework for the Korean transport accounts which is suitable to Korean situation and can be used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the costs, the revenues and the estimation methodology. This framework is applied to both the Korean road and rail transport,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tal cost compared to GDP for the road was higher than the Europe's by 3.23% and that for the rail was lower than the Europe's by 0.67%. Also, the result showed that, in terms of the unit cost, the passenger cost per person-kilometer of road transport was 4.8 times higher than that of rail transport and the freight cost per ton-kilometer of road transport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rail transport.

Improving the Estimation Method of Traffic Congestion Costs (교통혼잡비용 추정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 Jo, Jin-Hwan;Hwang, Gi-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1
    • /
    • pp.63-74
    • /
    • 2010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from academic society in Korea for the improvement of current traffic congestion cost estim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etter way to estimate congestion cost followed by in-depth review regarding traffic congestion. The key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 1) adding social externality to congestion cost, 2) integrating the green hou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mpacts with congestion costs, 3) taking non-recurrent traffic congestion costs into account for the assessment, 4) revising the criteria to determining the level of traffic congestion speed, and 5) deciding how to limit congestion measurement period. It is found meaningful that the improvements, notwithstanding difficulties in their real case application, provide invaluable insights in our efforts to change the meaning of congestion cost in an era of sustainable growth.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Access Management to Traffic Accidents - Case of Large Urban Arterial Streets in Texas -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와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 - Texas지역 대도시 간선도로를 사례로 -)

  • 권영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25-37
    • /
    • 1997
  • 접든성통제는 고속도로에 있어서 교통사고 감소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들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져왔다. 이러한 접근통제의 새로운 적용으로서 접근성관리는 과도한 투자 없이 일반도로상에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데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간선도로상에 있어서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교통사고비용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미국 텍사스주 대도시 지역내 중앙분리간선도로의 교통사고자료를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자료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접근성관리는 도시간선도로의 교통사고비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비용과의 관계는 도로의 교통상황과 도로변 토지이용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접근성관리와 관련된 요인이 교통상황 및 토지이용상태에 관련된 요인보다 더 교통사고비용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통사고비용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중용한 접근성 관리 요인은 외부접근로의 간격으로 나타났다.

  • PDF

An Opportunity Cost Based Headway Algorithm in Bus Operation (기회손실비용을 고려한 버스 운행시격과 링크 통행시간 예측 알고리즘)

  • 이영호;조현성;김영진;안계형;배상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43-54
    • /
    • 2000
  • 이 연구는 버스정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운행시격 결정과 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다룬다. 운행시격 결정 문제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기존 연구는 버스 운행비용과 승객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운행시 격을 찾는데 초점을 두고 이다. 이때 승객비용이란 승객 대기비용과 승객 교통비용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같이 버스회사 수입이 전액 운행수입에만 의존하는 경우엔 이러한 접근 방식이 타당하지 않다.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승객비용으로 승객 이탈비용을 사용하여 버스의 최적 운행시 격을 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먼저 정류장이 하나인 경우에 대해 해석적 방법으로 풀고, 정류장이 여러 개인 경우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이 연구는 신뢰성이 높고 정확한 통행시간 예측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2 단계 예측 기법과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료융합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려면 교통정보 수집원을 통해 얻는 자료가 정확해야 하고, 또한 교통상황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와 과거 데이터를 융합하여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AVL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버스의 운행관리와 정확한 도착예정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AVL시스템을 통해 얻은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고 유고상황을 감지한다.

  • PDF

Optimal Road Congestion Pricing under Inter-dependent Market Conditions (Theoretical Review) (상호의존적 교통시장하의 최적 도로혼잡통행료 연구(이론적 고찰))

  • Yun, Jang-Ho;Yeo, Hong-G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7 s.93
    • /
    • pp.139-148
    • /
    • 2006
  • In order to incorporate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different transport modes in optimal road Pricing, relating economic theories and models have been reviewed. It includes un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 of maximizing separable and non-separable social net benefit functions of different substitutable urban transport modes. In doing that, the problem and limitations such as path-independent conditions with the asymmetric Jacobian of the objective function have been reviewed. Consequently, a plausible way of deriving optimal road price under interdependent market conditions has been suggested so that the idea can help identifying desirable and acceptable urban transport policy alternatives in a more comprehensive way.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Subsidizing Commuting Cost for Public Transit User (대중교통 이용자 통근비용 보조제도의 효과분석)

  • Han, Sang-Yong;Lee, Seo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1 s.87
    • /
    • pp.59-72
    • /
    • 2006
  • In spite of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DM), the profuse use of car at the peak-time has caused chronic traffic congestion in the Seoul downtown area.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ting cost subsidy system for public transit user with other policy instruments such as an increment in fuel tax and park cost. This study not only follows standard guidelines of stated preference methodology to guarantee objectivity, but also uses sample enumeration method and non-Parametric bootstrapping method to secure reliability of empirical results.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ies, the conversion effect of car to public transit is superior to other two Policy instruments. Also. an increment in fuel tax and park cost is income-regressive from the equity aspect in a wage bracket, but commuting cost subsidy system for Public transit user is Income-progressive As a fundamental research on commuting cost subsidy system for public transit user, this study is likely to Provide Policy-makers with quantitative information useful in establishing Public transport Policy to Promote the use of the public transit.

An Estimation of Congestion Cost on the Seoul-Pusan Express Highway (도로 혼잡비용 추정 이론과 사례 (1999년 설날 연휴 고속도로 경부구간의 경우))

  • 김상태;이기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27-38
    • /
    • 2002
  • This study estimates the social cost of the traffic congestion of the Express highway from Seoul to Pusan during the New Year holiday in 1999. Considering inelastic demand and the hyper congestion, we show the congestion cost can be estimated as externalities caused by traffics which exceed the road capacity. Due to the congestion, it is estimated that it took about 12.40 hours more from Seoul to Pusan. The congestion is also estimated to have caused fuel cost of 0.6 billion won. time cost of 43.6 billion won and environmental cost of 0.5 billion won. The total cost reached up to 44.8 billion won.

A Simple Dynamic Model of Maintenance Expenditures :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내구재 관리비용의 동적인 행태 연구 - 이론 및 경험적 분석 -)

  • 현진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8 no.1
    • /
    • pp.119-128
    • /
    • 1990
  • 교통자산과 같은 내구재는 일정 기간 동안의 수명을 가지게 된다. 이 기간 동안에 내구재는 어떠한 형태로 소비되어 지고 이에 따라 내구재는 효율성을 잃어 간다. 내구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내구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비용의 동적형태를 이론적으로 고찰한 다음, 미국에서의 업무용 비행기의 관리비용자료를 사용하여 경험적인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리비용은 시간이 감에 따라 줄어든다. 그러나 관리비용의 잠재가격(Shadow Price)에 대한 비율은 여러 가지 외적변수들에 결정된다. (2) 미국에서의 업무용 비행기의 시장가격에 대한 관리비용의 비율은 시간이 감에 따라 늘어난다.

  • PDF

A Study on the Additional Cost of the Elderly Accidents (고령자 사고 추가발생비용 분석에 대한 연구)

  • Yoon, Byoung-Jo;Ko, Eun-Hyeok;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7-248
    • /
    • 2017
  • 교통사고는 인적피해, 물적피해, 사회적피해와 거시적으로는 심리적 피해까지 일으키며 많은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피해요소를 비용으로 환산하여 추정하는 것은 교통안전사업의 절감편익을 산정하거나 기타 교통관련사업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사고비용 산출에 대한 연구론은 1당사자와 2당사자 구분없이 사고 전체를 아우르는 피해비용을 산출하는 방식의 접근 방법과, 사상자 1인 기준으로 발생되는 피해비용을 산출하는 방식의 접근 방법으로 나뉘며, 두 접근방법 모두 비용분석의 대상을 단일 객체로 간주하고 분석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연령 구간을 확인한 뒤 고연령 구간과 전체 연령 구간 사이에서 발생된 사고를 비교분석하여 1당사자와 2당사자가 모두 고연령 구간일 때 추가로 발생되는 사고비용을 산출 및 검정함으로서 고령자 사고감소효과 및 절감편익에 활용될 수 있는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추가 절감편익을 산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