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직원

Search Result 2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사학연금 실업급여를 대비한 재해보상급여 활용방안 연구

  • Jeong, In-Yeong;Gwon, Hyeok-Chang;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4
    • /
    • pp.175-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교로 인해 퇴직한 사립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사학연금의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실업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폐교 퇴직 교직원 현황 및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 지급규정, 재해보상 관련 쟁점, 고용보험 임의가입방안 관련 쟁점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폐교로 인한 퇴직 교직원에 대한 정책방안들로 현행안,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한 구직급여 제공방안, 고용보험 임의가입안에 대한 재정추계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과 5년 뒤인 2024학년도부터는 대입가능자원이 대학입학정원을 크게 밑돌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해 대학의 통·폐합과 구조조정 등이 발생하여 현재보다 훨씬 더 많은 대학이 폐교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현행 사학연금법 상연금지급개시연령은 65세이나, 공무원연금법을 준용하고 있는 사학연금에서 폐교로 인해 퇴직하는 경우 퇴직 때부터 5년이 경과한 때 연금을 지급하는 규정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폐교로 인한 비자발적 퇴직 교직원의 소득활동 중단에 따른 소득 대체 및 생활안정을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산재보험과 공무원연금·군인연금 등 공적 재해보상제도들은 모두 업무상 또는 공무상 사고나 질병으로 부상·질병·장해·사망이 발생하면 재해로 정의하고 있어 사학연금에서 폐교를 재해로 포함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실업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제도인 고용보험에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사립학교 교직원에 대한 고용보험적용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대학교수의 법적 지위와 근로기준법의 적용가능성이 중요한데, 향후 대법원이 대학교수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판단한다면 사학 교직원의 고용보험 가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사학연금가입자들을 위한 고용보험 도입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단기간 내에 실행되기 어렵다면 고려 가능한 대안으로 공무원연금과는 다른 사학 교직원 직무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학재해보상제도에서 폐교로 인한 퇴직을 재해보상에 포함시키고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또한 재정추계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제공되는 연금 대신에 재해보상기금으로 구직급여를 제공할 경우 사학연금기금에 재정적으로 상당히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폐교로 인한 2018년 현재 연금수급자(285명)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50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폐교로 인한 퇴직 시 연금을 지급하는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123억 원 정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수급자와 미래 수급자의 예상 연금급여액 추계에 의하면 2028년까지 누적해서 볼 경우, 재해보상기금을 활용하여 구직급여를 제공하는 방안이 현행안보다 2018년 현재가치로 747억 원 정도 재정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Faculty Number Guidance Chat-Bot System Based on Data Preprocess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데이터 전처리와 자연어처리를 기반으로 한 교직원 번호안내 챗봇 시스템)

  • Hur, Tai-Sung;Baek,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43-244
    • /
    • 2021
  • 대학교에 민원, 문의 등 업무용 전화가 많이 오가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서, 교직원의 전화번호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검색하는 과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학 교직원들의 전화번호와 부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SV 파일을 챗봇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모양과 특성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고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질의 문장을 해체 분석하여 필요 정보에 대하여 답변을 해주는 대학 교직원 번호 안내 챗봇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업계탐방 - 사학연금관리공단

  • O, Jeong-Gyu
    • 방재와보험
    • /
    • s.111
    • /
    • pp.66-67
    • /
    • 2006
  • 이번 탐방은 부산지부의 추천으로,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과 그 가족의 경제적 생활 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해 마련된 연금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해 설립된 사립학교교직원 연금관리공단(이하 사학연금관리공단)을 찾았다. 이 곳은 연금 등 각종 급여의 지급과 이에 소요되는 비용의 징수, 조성된 연금자산의 운용 및 교직원을 위한 복지후생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사학연금관리공단의 영남회관을 방문하여 회사 현황, 방화시설 현황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Annual Analysis on Quality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연차별 학교급식 품질 속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분석)

  • Yi, Bo-Sook;Yang, Il-Sun;Park, Moon-Ky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2 no.8
    • /
    • pp.770-783
    • /
    • 2009
  • The school foodservice was quantitatively extended by policy of government all the while. There was carried out the survey of customer satisfaction about school foodservic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2006 yea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an improvement of the scores of school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s compared with the preceding year by respondents and school typ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 annual survey was practiced to respondents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on september 2007 years and 2008 years in 16 cities and provinces. The statistics was analyzed to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for SPSS 12.0. The scores of school food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were almost increased to students, parents, and faculty and especially, big elevation in middle school. There was big increased the quality attributes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on foodservice', 'pleasant foodservice environment', 'kindness offered by employee'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o total respondents. An overall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 was improved from 69.2 score to 71.9 score. On students, scores of overall satisfaction was increased from 72.9 to 74.0 as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from 61.5 to 65.8 as students of middle school (p < .001). Therefore,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chool foodservice, there should be a necessary for an operator of school foodservice and an office of education to make an effort.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University Faculty and Staff (대학 교직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eong, Mi Kyoung;Ha, Myung Hee;Kong, Jeong Hyeon;Park, Yeon Mi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259-266
    • /
    • 2020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health behaviors,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of university employees, and also for examining the influenc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Targeting total 158 university employe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20.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showed the percentages like the rate of drinking(68.6%), rate of smokers(9.6%), rate of exercising three times or more a week(15.4%), and the rate of regular eating habit(64.7%).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63.7. The musculoskeletal disease symptom group falling under the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 standard of NIOSH was 18.6%, and the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 of shoulders showed the highest rate. Also, the 29.5% of research subjects responded that the cause for their musculoskeletal pain was work. As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the sex, age, career experience, and job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jective symptom of shoulder part(p<.01) while the regular exerci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jective symptom of waist(p<.05).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gular mea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jective symptom of legs and knees(p<.05). Thus, in order t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niversity employee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apply the programs for the relief of job stress, regular exercise, and regular meals.

사학연금 가입자의 퇴직 후 경제적 안정을 위한 제도 보완에 대한 연구

  • Lee, Sang-Rim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1
    • /
    • pp.91-127
    • /
    • 2016
  • 노후의 경제적 안정이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2015년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사학연금법)이 연금지급개시 연령의 연장과 함께 부담률 인상 및 지급률의 인하를 주된 내용으로 개정되어 사립학교교직원연금(사학연금) 가입자의 소득공백기 발생과 전반적인 소득대체율 하락이 두드러진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학연금 가입자가 재직 시 소득, 퇴직 시 자산 및 퇴직수당, 그리고 연금급부 등의 활용 가능한 재원을 통해 퇴직 후 소득의 안정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한 사적연금과의 연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사학연금공단)의 업무범위가 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새롭거나 필요한 업무를 자유의사에 따라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사학연금법에 제시되어 있는 사학연금공단 업무에 대한 전향적인 해석을 통해 사학연금 가입자에 대한 생애자산관리서비스의 제공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생애자산관리서비스는 사학연금법의 개정으로 인해 가입자가 겪게 되는 소득공백기 및 소득 대체율 하락 문제를 보다 포괄적으로,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는 퇴직 후 경제적 안정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사학연금 지급개시연령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은재의원 입법 발의안을 중심으로

  • Jeong, In-Yeong;Kim, Su-S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3
    • /
    • pp.207-252
    • /
    • 2018
  • 현행 사학연금법은 공무원연금법 제46조 제1항 제4호 "정원 감소로 퇴직한 때부터 연금 지급" 조항을 준용함에 따라 정원감축 및 폐교에 따른 퇴직을 할 경우 법에 명시된 연금지급 개시연령이 아닌 퇴직 후 5년 이후에 조기연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지급개시연령 규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학연금 지급개시연령 현황 및 사립학교 폐교 현황과 사학연금이 공무원연금법을 준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 및 현행 규정에 따른 연금지급 시 사학연금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법 개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65세 정년이 되어 은퇴하지 않고 중도에 퇴직하거나 고용이 취소되어 지급개시연령 보다 훨씬 일찍 조기연금을 지급하게 될 경우에는 퇴직연금 자체가 노후소득보장제도이기 보다는 실업급여의 성격으로 전락하게 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폐교에 재직 중인 교직원은 근로가 가능한 연령과 건강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즉시 연금을 수급하게 됨으로써 재취업을 하지 않을 경우 연금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고 근로유인을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잦은 폐교로 인한 연금수급자 과다 발생 및 재정적 지속가능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사학연금 가입자와 공무원연금 가입자의 특성을 비교하면 중요한 차이점이 발견된다. 국공립학교의 경우에는 해당 학교가 폐교 또는 정원이 감소될 경우 다른 지역 학교로 해당 재직 교직원을 이동 배치하는 등의 대처 방안을 시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퇴직하는 사례가 거의 없는 반면, 사학연금 가입자의 경우 공무원연금 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불안에 노출되어 있고,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사립학교 폐교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이들에 대한 생활안정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공무원 조직의 개폐 및 정원 감소는 법령으로 정하고 있지만, 사립학교 교직원의 개폐 및 정원의 감소는 사학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리고 공무원의 경우 공무원연금의 대상이면서도 고용형태의 상대적 취약점을 감안하여 임기제 공무원의 경우 고용보험의 가입이 일부 허용되나, 사학연금 가입자의 경우에는 전면적으로 가입이 제한되어 직역연금 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국민연금법의 경우 사업장가입자로 적용받고 있다 하더라도 준용법과 같은 사립학교 폐교 시 조기연금 수급 규정이 없으며, 고용보험법의 적용으로 실직 시 실업급여 등의 대응책이 있긴 하나 연금 수급을 통한 소득보장 수준에는 못 미치는 제도적 보완책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 가입자는 고용보험에 적용되나, 사학연금 가입자는 실업상태에 놓였을 경우 고용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폐교 시 사학연금 가입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고용보험 가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재정안정화를 위해 연금을 전액지급하기 보다는 퇴직일부터 지급개시연령까지의 잔여기간에 따라 차등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으며, 고용보험법상의 실업급여 제도를 원용하고 소정의 연금지급기간을 설정하여 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사학연금제도 내에서 별도의 고용보험기금을 마련하는 방안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업계탐방 - 한국교직원공제회 "광주회관"

  • Lee, Mi-Suk
    • 방재와보험
    • /
    • s.118
    • /
    • pp.70-71
    • /
    • 2007
  • 이번 탐방은 '전국에서 가장 쾌적하고 안전한 업무공간을 만든다.' 는 굳은 각오로, 개관한 이래 단 한건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소방 및 안전업무를 철저히 실행하고 있는 한국교직원공제회 광주회관을 방문하여 손금용 방화관리소장을 만나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