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연구

Search Result 41,777, Processing Time 0.05 seconds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 Hwang, Bo-Yun;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02-107
    • /
    • 2016
  • 정부는 최근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6년, 중학교 1학년생, 고등학교 1학년생들에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2020년 부터는 전학년에게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화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되고 있는 중소기업청의 비즈쿨 교육과정 등에서 실시되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대부분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을 주 과제로하고 교육과정중에서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제반 내용을 교육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에 필요한 내용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특별히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단순히 사업계획서 작성에 목적을 두고 있는 대부분의 현 교육 방법과 달리 창업학의 근본적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관련 각 교육 기관 및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ducation (공업교육계열 전기.전자.통신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Yoon, Ji-A;Lee, Bo-Ree;Kim, Tae-Ho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5 no.2
    • /
    • pp.43-69
    • /
    • 2010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 since 1973, which is the beginning year in research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s, up to the present year of 2010. We also try to provide explicit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 total of 98 studie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ere collected through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ISS(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DBPIA(special database for domestic research information). Three researchers reviewed them using analytic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the researches analyzed, 2 studies(2.04%) were in 1970's. The researches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s were not actively performed until 1996. Since then, 92.86% of total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and th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se subjects are shown to be continuously growing. 50 studies were related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 area. Design/Development of Instruction Material area was the most popular topic, and Education Assessment area the least. Research design was mainly descriptive, and studies in academic journals were more than the dissertation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as subjects. University was the main research agency where studies were carried out.

  • PDF

양성평등을 위한 수학교육의 과제와 전망

  • 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417-440
    • /
    • 2000
  • "여성은 수학을 못한다" 또는 "수학적 능력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월하다"는 우리 사회의 일반적 통념은 근거가 있는 것인가? 1970년대 이후 구미를 중심으로 외국에서는 교육에서의 성 평등(equity)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학에서의 성별차이(gender difference)에 대한 연구들이 상당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지원을 반아서 수행된 96년부터 98년까지의 3년 연구(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의 공동연구) 이외에는 거의 전무하다. 이 글에서는 수학적 능력에서의 성별차이라는 논제를 3년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양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의 양성평등의 과제와 전망을 논의한다.

  • PDF

『Superintendent's Direct Election System』 shown in Media News Big Data (언론사 뉴스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교육감 직선제』)

  • Kwon, Ch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51-354
    • /
    • 2022
  • 본 연구는 최근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감 선거를 계기로 진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10일까지 '교육감 직선제'를 다룬 언론사 기사들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10일까지 기간을 설정한 후, '교육감'과 '직선제' 2개의 용어가 모두 포함된 국내 54개 주요 언론사 뉴스 기사들(5,610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뉴스 트렌드 분석, 네트워크(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관련 학문 연구자와 교육 현장 종사자들에게 시사점을 줄 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지방교육자치와 교육감 선거의 발전적 모델 탐색을 위한 다양한 연구 과정으로 확대 전개하고자 한다.

  • PDF

Educational Strategy based on Learning Styl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in Programming Education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교육방안)

  • Cho, Eun-Ae;Kim, Soo-Hwan;Han, Seo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61-66
    • /
    • 2009
  •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증진, 문제해결 능력, 성취감과 자신감 획득 등 학습자의 고등 인지 능력을 발달시킨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학습에서도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에 있어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 교육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에게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초등 정보교육 연구동향 분석)

  • Shim, Jaekwo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2
    • /
    • pp.347-354
    • /
    • 2021
  • As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recently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xisting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research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n Korea. For the data of the study, all papers published until 2020 in 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were selected, and 11 research topics were derived by modeling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topic T1, the highest proportion, was analyzed to account for about 38%, and keyword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alysis, elementary school, and information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tribution to topic T1.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year of the topic,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trend is changing to computing thinking, softwar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ext data related to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s objectively clustered.

A Research on the Extended Defini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nd Guiding Directions through Categorizations of Serious Games (교육을 위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확장적 정의와 범주화를 통한 기능성 게임 연구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Kim, Sa-Hoon H.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2 no.1
    • /
    • pp.3-13
    • /
    • 2012
  •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ohering academical achievement of serious game studies as well as for attempting to give directions for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first, it provides a rationale for integrating game studies lied scattered into a game study field or game industry. Second, by providing exemplary studies according to categories and by analyzing how those studies have been studied, this study provides a milestone for futur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serious game studies. In the article, the author suggests the extended defini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The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y is "the study which investigates educational affordances of game including both explicitly intended designed for education and designed for fun but having implicit educational meanings, through the context of formal educational settings as well as informal environments." The author also researched how extended educational serious game studies have been research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game studies which researched educationally designed serious games, commercial games used for educational fields, educational serious games for informal learning, and those found meanings of games. This study has scholarly significance, especially on game study fields. for delineating game studies, a range of proposed and actual applications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re reviewed, guiding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Research Trends on Lifelong Education Workers: For thesis published in domenstic journals in 2001~2021 (평생교육 종사자에 관한 연구동향: 2001~2021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 Kim, Mi-Ye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67-7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workers, based on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ork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2021,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lifelong education worker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trends of 40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ork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analyzed by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and the detailed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orkers, i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1 out of a total of 40 articles by year. From 2001 to 2005, there were 2, 8 from 2006 to 2010, 10 from 2011 to 2015, and 20 from 2016 to 2021. By major publication, there were a total of 20 publications, including 8 Lifelong Education Studies, 5 Lifelong Learning Society, 4 Andragogy Today, and 3 HRD Studies, and 20 articles were published in non-mainstream journal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ach study subject, there were 20 lifelong education history, 16 lifelong education managers, and 4 other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us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In future research, many research topics such as analysis of various policie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workers and exploration of development plans should be carried out.

Exploring the Potential of Actor-Network Theory (ANT)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Studies Applying ANT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교육 분야 적용 연구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 기여 가능성 탐색)

  • Ha, Yoon-Hee;Lim, Sung-Eun;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3
    • /
    • pp.341-35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actor-network theory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applying the actor-network theory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research using actor-network the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approaches. First, ANT was used as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o construct an educational method or perspective, Second, ANT was used as an ontological perspective to recognize non-human agency, Third, ANT was used as a methodology for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science education research is discussed. As a new theoretical point of view, we hope that actor-network theory will be meaningful in science education practice and empirical research.

A Study on Science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Preparation (중등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과목의 실태 분석과 시험적 모형 연구)

  • Pak, S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 no.2
    • /
    • pp.74-81
    • /
    • 1984
  • 중등 과학교사 양상에 있어서 기초 교양 과목과 교육 일반론 및 과학 과목은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특유해야할 과목은 과학교육 관계 과목이다. 많은 경우 $2{\sim}3$학점의 한 과목을 필수로 제시되는 "물리교육", "화학교재", "생물교수법" 등의 분야별 과목이 안이하고 무의미하게 제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직관적 판단으로부터 우선 한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개발의 기본적 모형을 구안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한 단계로 전국 사범대학 과학교육 관계과나 전공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과 면담을 통해 학사 학위 및 중등 과학교사 자격을 위한 취소 이수학점 그리고 일반 및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별히 과학교육관계 과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필수 및 선택 과목 수와 학점, 대상 학생과 교수, 과목의 목표, 내용, 교육 자료와 평가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의 두 번째 범주인 과학교육 과목 담당 교수의 중등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과학 교육 과목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종합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 조사와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과목의 총 이수 학점에 대한 비율, 과목수와 명칭 그리고 교육 내용의 기본적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를 위한 모형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