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효과 측정

Search Result 93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Intention of Continuing Studies, and Word-of-Mouth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박주성;김종호;신용섭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4
    • /
    • pp.51-74
    • /
    • 2002
  • 본 연구는 교육시장 환경의 변화로 경쟁적 상황에 처한 대학의 운영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주로 일반 서비스산업에서 서비스 품질 측정에 적용되어 오던 SERVPERF를 기초로 교육 서비스 품질을 확장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모형 구축의 결정요인을 교육서비스 품질,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 등으로 보고 이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 검토함으로써 대학에게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 있는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 모형을 검증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SERVPERF에 기초한 기본모형에 결과 질이 추가된 26개 항목의 교육 서비스 품질 항목확장모형이 우수성이 입증되어 본 연구에서 제시된 SERVPERF의 확장 척도가 일반 서비스 산업 뿐만 아니라 교육 서비스 품질의 측정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더불어 결과의 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 및 재입학의도와 구전효과 간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 교육서비스 품질은 현대 마케팅의 지향점인 학생만족의 선행변수로서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학생만족은 재입학의도 및 긍정적인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입학의도 또한 구전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2개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Kim, Ga-Y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9-118
    • /
    • 2019
  •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혁신 및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가정신교육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Katz, 2003; Kurako, 2005). 한국 정부는 '창의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정책 목표로 기업가정신교육 예산이 증가시키고 있으며, 교육 대상자도 대학생 및 성인 대상을 중심에서 중 고등학생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가정신교육은 창업가적 스킬을 발전시키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Linan, 2004), 다수의 기관에서는 저마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및 운영방식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수준의 프로그램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로 측정하고 있지만, 사회에 진출하기에 이른 시기인 청소년에게 그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효과성 지표를 제시하고, 두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A Meta-Analytic Review of Effects of Brain-Based Education (뇌기반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Jang, Hwan Young;Jang, Bong Seo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1
    • /
    • pp.41-4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brain-based learning. 27 primary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rigorous search process and analyzed through meta-analytic method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was .67. Second, the effect of dependent variables was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n order. Third, with respect to types of cognitive domain, the effect was self-regulation, creativity, competence, communication, and research ability in order. Fourth, the effect of affective domains was sociality, learning interest, and subject attitude in order. Fifth, regarding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 the effect size was combined, brain train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right brain activities in order. Sixth, the effect of learning activities was memory improvement and attention enhancement in order.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 Teachers Using Kirkpatrick Education Model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활용한 사서교사 계속교육 효과 측정 연구)

  • Euikyung Oh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2
    • /
    • pp.295-31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ntinuous education of librarians using the Kirkpatrick education evaluation model. A three-stage educational evaluation was conducted on 136 librari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alification training for librarian teacher level 1』 in the summer of 2022. The first stage was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overall educa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stage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the actual effect of education was measured by pre-post difference analysis. The second stage is learning evaluation, and the third stage is job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high measurement scores were calculated at all stages, and the before and after effect of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econd stage of learning evaluation. In the third stage of the job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the score fell after educa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econd stage of evaluation, and future studie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model should be supplemented and that a balanc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produce valid results.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Kim, Seunghee;Hong, Se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7 no.1
    • /
    • pp.59-8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using meta-analysis. Results using random-effect model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edges'g) was 0.72, which could be interpreted based on Cohen's guidelines as moderate to large. Second, the two typ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emonstrating more than medium 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Ss. Third, the ES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measuring variables. Fourth, grade, study design and the form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moderator variables that explain the differences in ESs. In sum,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aving more than medium effect size, seem quite stable across instruction types and study designs.

An Analysis of the Impacts of School Library on Student's Learning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 Kwon, Eun-Ky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451-469
    • /
    • 2009
  • This paper analyzed four large scale studies on the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students' learning. It identifies how students benefit from their school libraries and how the libraries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schools. The four studies were the 'National Power' project study, the Scotland study, the Ohio study, and the Delaware study. These studies developed frameworks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learning, which give insights on how educational objectives and experience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and what indicators are available to measure their impact on learning. Basing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Kuhlthau's model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frameworks included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physical domain, plus interpersonal domain. The four studies used such research methods as case studies, observations,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log data analyses in order to identify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impacts.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Bae, Hye-G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를 탐색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미래인재로서 진로탐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일반적으로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을 포함한다.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이고,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혁신성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호하고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기회와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요인에 포함됨을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측정항목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으로 정하고, 기업가적 태도 하위항목으로 기회발견과 창의성 역량을, 창의성 역량의 세부지표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 선정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하위항목으로 진로설계, 개척정신을 정하였으며 진로설계의 세부지표로 자기탐색, 직업탐색, 직업가치관, 진로태도를,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 차별화태도, 도전정신을 선정하였다. 이의 측정을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역량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SW·AI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예비교사 대상 비대면 SW·AI 교육 효과 분석)

  • Park, SunJ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8a
    • /
    • pp.315-320
    • /
    • 2021
  •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social changes, SW·AI education is essential. In this paper, after conducting non-face-to-face SW·AI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measured using the measurement tool on the software educational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average and the average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SW literacy' domain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composition, pattern recognition, abstraction, and algorithm, which are sub domains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SW·AI education, students not on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SW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but also understand the process of decomposing information, recognizing and extracting patterns, and expressing problem-solving processes. It can be seen that non-face-to-face SW·AI educa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SW literacy beyo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W.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Youth Entrepreneurs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 검증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활용한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3
    • /
    • pp.129-140
    • /
    • 2019
  •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our new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In this study, I suggest design thinking as a new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which is consist of 9 dimensions: opportunity discovery, opportunity utilization, creativity capac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self-preservation, social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al program objectives. To verify this new program, I conduct a pilot test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sample target is randomly selected one class in each school. My main finding is two. First, our new program successfully improves Youth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the improvement of opportunity utiliz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re prominent. As reasons, studies about food industry entrepreneurship is an unfamiliar subject for adolescent. Considering that entrepreneurial intention rapidly changes after the experience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is variable. Second, I confirm the effects of gender, motivation, prior experience, interest oneself and other's recommendation about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As a result, gender and prior experience do no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voluntary interest and other's recommendation are influential.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influence of a teacher.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examine the more specific mechanism of each dimens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