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홍보

Search Result 1,03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structor Fostering Program for Farmers' Water Saving Education (농민 물절약 교육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 Lee, Seul Gi;Choi, Kyung Sook;Do, Jong Won;Lee, Gwang 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56
    • /
    • 2019
  • 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농업가뭄 현상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 이후부터 무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해 농민 물이용 손실을 저감하고, 물부족에 대비한 선제적인 가뭄대응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농민 물절약의 중요성 인식으로 2015년에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에 농민 절수교육 및 홍보를 통한 물절약 추진 과제가 포함되었다. 농민 물절약 교육을 통한 농민의 가뭄에 대한 경각심과 물절약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자발적인 물절약 실천을 통한 효율적 수자원 이용을 도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농민 물절약교육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2017년에는 물절약 교육 모델의 현장적용을 위한 시범교육이 실시되었다. 또한 "2018년 정부 가뭄종합대책" 중 가뭄대책 실천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실시 확대 추진을 위해 2018년도에는 2016년과 2017년에 실시한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을 바탕으로 물절약 교육 모델의 실용화를 위한 농민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농업용수의 물공급 및 관리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지사단위 유지관리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경기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상 제주권의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상 하반기 교육을 실시하여 총 322명의 교육인력을 양성하였다. 전문인력양성 교육은 물절약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장적용을 위해 농민 물절약 교육 이수단계별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각 단계별 교육을 직접 실습해 보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이수 후에는 교육생의 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고 기타 교육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생의 대부분이 농민 대상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매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절약 교육의 지속적인 실천 및 전국적인 확대를 위해 별도의 예산 및 인력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육과정을 완료 후에는 수료증을 수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절약 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물절약 교육 강사용 교재를 배포함으로 본 교육을 이수한 전문인력의 농민 물절약 교육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KFRA NEWS

  • Korea Foam-Styrene Recycling Association
    • 환경사랑
    • /
    • s.42
    • /
    • pp.12-13
    • /
    • 2005
  • 공로패 수여/ 협회 홍보활동/ 국립환경과학원 교육생 현지견학/ 환경특강 교육/ 2005년 상반기 EPR 지원금 지급/ 재활용 사업자 지정 및 주소변경/ 포장단체협의회 금강산연찬회 참가

  • PDF

외국인 학생 유치 및 지도사례-동남아권 중심

  • O, Gyeong-Sik
    • 대학교육
    • /
    • s.132
    • /
    • pp.23-29
    • /
    • 2004
  • 대학이 외국인 학생 유치에 대한 의지를 갖고 해외 유학박람회 참가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대학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동시에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기숙사 등 거주 여건을 확보하여 수학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관한 효과적 교육 및 홍보 방안 연구)

  • Hong, Jin-Im;Jeong, Hee-Su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8 no.5
    • /
    • pp.176-189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on the basis of the survey conducted on parents. First of all, its result showed that most parents are well aware of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They answered that, when choosing safe favorite food for children, the most important part is the article "Regulations on the standards for children's favorite food should be reinforced." As for the index of safety management for children's dietary life, most respondents think safety the most important; housewives and nuclear family members choose safety (p<.01), while large family members do nutrition. For the question asking how they get the information on safety management for children's dietary life,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y generally use mass media, family and friends as a reference. Those with high income usually get the information from special books, those between 30s and 50 from mass media, and those with college graduates from civil social groups (p<.05). In case of taking th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s dietary life, they told that the most necessary information is concerned with hygienic dietary life and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 housewives are interested in the latter, while working people in the former (p<.05). As a method of informing parents of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mass media such as TV and radio, and school education are suggested in this surve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mass media be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promoting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and getting information concerning the law.

  • PDF

Strategies for College Entran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Case Study of college in Central Region-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대학 입시홍보 -중부권 전문대학교 사례-)

  • Bae, Jungho;Burm, Eunae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2
    • /
    • pp.25-3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unique admissions promotion strategy for each university and to innovate the paradigm of university admissions promotion through the examples of central universities in the practice of PR promotion based on big data analysis. To this end, prior literature related to university publicity (marketing), and recognition of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and database data were defined and analyzed as big data. As a result, first, the preliminary studies 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 promotion (marketing)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2000s and 2010s as part of preparing for countermeasures against population decline in school age. Responding to the need for an admissions promotion strategy to accelerate visits to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the database data analysis result suggested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entrance exam strategies based on the university's regional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for Honam Sea Grant College Program (호남지역 Sea Grant 사업단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Nam, Taek-Kun;Lee, Don-Chool;Yim, Jeo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3
    • /
    • pp.183-189
    • /
    • 2007
  • In this paper, the strategic plan for Honam Sea Grant College Program will be discussed. The main activity area of Hanam SGCP is research and development,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outreach. Honam SG theme areas and priorities of its activity area will be determined to enhance the sustainable use and conservation of marine and fishery resources for Honam region. In the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marine education program executed by MOMAF and relative institutions is introduced and suitable program direction will be suggested. The network composition between HSGCP and other institution in domestic or abroad is also tackled. An interchange of beneficial inform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the effective network with other organizations. Finally the result of survey to develop the pending problems of Honam area will be discussed.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dvertising Strategy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 Materials for National Immunization (예방접종 홍보광고 전략개발 조사연구)

  • Oh, Kuk-Hwan;Lee, Moo-Sik;Kim, Byung-Hee;Na, Baeg-Ju;Kim, Keon-Yup;Hong, Jee-Young;Kim, Young-Taek;Go, Jae-Young;Kim, Young-Suk;Lee, Seok-Gu;Cho, Hyung W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0 no.2
    • /
    • pp.183-204
    • /
    • 2005
  • Objectives: Immunization program is essential public health service under the national responsibility. One of the immunization service of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is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 service, but research for that was rarely conducted. Therefore we conducted the survey for developing advertising strategy of immunization program in 21th century. Methods: Our study subjects were 242 health workers in immunization service department of 169 health centers and 1,193 carers who visited community health center for receiving immunization service of their children. The major question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rceived importance of immunization program, experience of advertising, knowledge and perception about immunization, and items about advertising strategy. Results: Frequently exposed materials in both health workers and carers were TV, community newspapers, and pamphlets. Health workers had high professional knowledges of immunization and carers had high perceptions for need and importance of immunization. Health workers preferred pamphlets and posters as advertising materials and carerers preferred TV and community newspapers. Both health workers and carers preferred green and yellow as advertising posters' color, active and healthy style of immunization advertising, and positive messages of campaign's slogans. Conclusion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for precising long-term immunization advertising strategy in 21th century, and for this we need to develop advertising materials based on public needs and strategy, and evaluate the materials.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should be activated throughout more investment of the budgets and human powers.

  • PDF

산업체 위탁교육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 서광수
    • 월간 기계설비
    • /
    • s.92
    • /
    • pp.52-72
    • /
    • 1998
  • 본 대학 건축설비과는 1995년 12월 대한설비공사협회 서울특별시회와 위탁교육에 관한 계약을 맺고 1996학년도에 협회 산하업체 직원 40명에 대한 별도학급을 편성하여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1997학년도에도 39명에 대한 별도학급을 편성하여 위탁교육을 실시하였다. 위탁교육제도는 산업체 종사자들에 대해 전문지식의 습득기회를 확대하여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년째로 접어든 건축설비과 위탁교육과정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고 교육생들의 학습의욕을 능동적으로 고취시켜 산업계의 기술변화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1,2학년 위탁교육생들의 설문으로 교육생 성향을 분석하고 교육지도 방안, 산업체 지도방안 그리고 홍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논단 - 농업발전 위한 정부 노력 국민에 적극 알려야

  • Lee, Gyu-Seung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8
    • /
    • pp.18-21
    • /
    • 2010
  • 정부가 일반 국민과 작물보호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식품안전성에 대한 위험정보교환 기회를 많이 마련, 안전과 관련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을 하고 식품안전정 내용을 초 중등교육의 교과내용에 포함시켜 체계적인 조기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QA활동의 작은 경험

  • Gwak, Gyeong-Deok
    •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
    • v.2 no.2
    • /
    • pp.14-18
    • /
    • 1996
  • 1. QA담당자로서 전문적인 지식습득 노력이 필요하다. 2. 직원홍보가 필요하다. QA활동이 자신의 진료내용 및 관련업무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3. 의료인 특히 의사의 의식 및 행동에 변화가 필요하다. 4. 직원교육이 필요하다. QA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복잡한 통계처리 방법보다는 쉽게 할 수 있는 단순비교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 또 어떤 기준치와 역치를 설정하여 시행하기 보다는 지난번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개선되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방법도 더 쉽고 접근하기도 쉽다. 5. 긍정적인 면의 평가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과잉치료억제보다 의학발전을 위해서는 최신 치료방법 장점을 파악하는 데에도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6. 직원교육과 심도있는 QA활동을 위해서는 전담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7. 경영진의 확고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 8. 병원 QA활동이 서비스 측면보다는 의학적 측면에 더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9. 일반병원에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평가대상과 항목, 기준을 QA학회와 임상학회차원에서 마련하여 주면 일선에서 QA활동하기가 훨씬 수월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