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정보화

Search Result 1,00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eacher Education Informationization Strategies and Propulsion System in China (중국의 교사교육 정보화 전략 및 추진 체제)

  • Park, Seong-Il;Lee, Gun-In;Kim, Young-Tae;Kim, Hyoung-Jun;Cho, Tae-Kyung;Park, Byung-Soo;Cho, Jung-Won;Park, J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6
    • /
    • pp.1249-1256
    • /
    • 2006
  • Informationization level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the national power and modernization. Informationization propulsion is also important strategy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National informationization is depend on educational informationization and educational informationization is depend on teacher education informationization(TEI). So China steadily carry out the teacher education informationization. In this study, We are concerned about the significance, necessity, general rule and process of TEI. The propulsion systems of TEI are infrastructure, data developing, knowledg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atic study, standard and evaluation of TEI.

  • PDF

A Study on Plan to revitalize IT Education for the Disabled' QOLT(Quality of Life Technology) (장애인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방안)

  • Bae, Ki-Tae;Yun, Hyeok-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65-26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화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고 삶의 질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정보화교육 강사의 역량 중심으로 고찰해보고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이용을 보장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장애인 정보화 교육장 운영 합리화 방안에 대한 환경을 마련하였으나 실제 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화 교육 강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실효성이 높지 않은 측면이 있다. 장애인 정보화 교육 강사에게 장애인에 대한 인식 교육 및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정부지원을 통해 장애인정보화 보육 강사가 안정감 있게 교육 업무에 집중하고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게 한다면 장애인들의 정보화 및 고용 창출, 및 삶의 질 향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uropean Union's Policy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Less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유럽연합의 교육정보화 정책 및 시사점)

  • Kim, Hon-Rae;Lee, Sung-Jin;Kim, Ju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37-49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plans and outcomes o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in the European Union to provide implications for national policy in Korea. For this, we examined a political program of the European Union, called the eEurope initiative, as well as programs of the eLearning Initiative. Particularly, we analyzed European Union e-learning policy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for national convergence in Korea. In addition, we offer four suggestions for Korean policy 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after analyzing outcomes, issues, and directions related to the European Union's policy.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Index of Education for Revitalizing ICT (ICT활성화를 위한 교육 정보화지표 구성에 관한 연구)

  • Park Yoon-Jeong;Han Jeong-Hye;Bang Kee-Ch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3 no.1
    • /
    • pp.11-2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dicator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use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are useful tools for forecasting and deciding the policy of education in the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We analyzed prior studie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icators, and suggested a survey forms to collect data and an equation for each indicator in order to calculate an index from the data without additional survey-cost. They can be intended to be explored on definitions of ICT use in education, indicators for ITC use in elementary education, illustration of utilizing the indicators, and an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schools on the indicators.

  • PDF

A Study on the Methods in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in School - focussing on Human and Network Resources - (초.중등학교 교육정보자원의 내실화 운영 방안 연구 - 인적 및 네트워크 자원중심으로 -)

  • Park, Jung-Hee;Koo, Duk-Hoi;Park, Phan-Woo;Kho, Dae-Gh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14-321
    • /
    • 2005
  • 교육정보화 사업은 제 1, 2단계 교육정보화 종합발전 방안의 큰 틀 안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제 1단계 교육정보화 종합 계획에서 물적 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교육정보화 정책이 2001년부터 시행된 제 2단계 교육정보화 종합 발전 방안에서는 활용 중심의 교육정보화 방향으로 전환하여 수행되어 왔다. 제 2단계 교육정보화 종합 발전방안이 종료되는 2005년 현 시점에서 돌이켜 보면, 교육정보화 인프라 구축 및 물량 투입 중심의 정보화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 다른 여러 나라와 비교해서 손색이 없을 정도로 교육 현장에 정보화 환경이 조성되고 있고, 교육정보화를 통한 교육 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 보급된 교육정보자원은 학교마다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대부분 공급자 중심의 획일화 된 규격에 일부 자원의 경우 여러 가지 이유로 충분한 활용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또, 교육정보자원의 관리 측면에서는 관리 주체가 학교마다 다르고 제대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도 많아 업무의 효율성과 관리의 용이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 여 년 동안 일선 학교에 보급된 교육정보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현재 교육정보자원에 대한 활용, 관리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사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정보자원의 내실화 방안을 수립하여 제반 교육정보자원의 역할 및 기능을 재정립하고, 향후 신기술 수용 및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Aged in the Lifelong Learning : Centering on Gumi Senior Welfare Center (평생교육으로서 노인정보화 교육의 발전 방향 : 구미시 노인종합복지회관의 정보화교육을 중심으로)

  • Kim, Hwa Suk;Kim, Jin Wook;Chung, Kwang Si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4
    • /
    • pp.491-500
    • /
    • 2014
  • The Internet is being used in daily life,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aged is become necessary. For the aged, they can communicate with different age groups and can improve their lives as a component of the society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computer class of Gumi Senior Welfare Center of Gyeongsangbuk-Do and then present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needs for education and their changes after receiving information literacy. We also give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ag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ful to improve the lives of the local aged.

신발업체의 정보화 교육과정 개발

  • 차윤숙;황성원;황진호;신상훈;정문상;홍순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16
    • /
    • 2003
  • 글로벌 경쟁 환경 하에서 신발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활용도 증진과 e-비즈니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보화 교육이 필수적이다. 정보화 교육의 실행을 위해서는 먼저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신발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수요조사를 토대로 교수체제설계(ISD: Instructional System Design)기법을 적용하여 신발업체를 위한 정보화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이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각종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낙후되어 있는 신발산업의 정보화 교육을 지원하고, 업종별, 직능별, 수준별 맞춤식 교육의 기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n Informatization Education of the Blind and Hearing-impaired Persons for solutions of Digital Divide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시.청각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Gwon, Mi-Gyeong;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81-185
    • /
    • 2010
  • 본 연구는 시 청각 장애인의 정보격차 및 정보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장애인 정보화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 청각 장애인에게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은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정보화가 진행될수록 신체적 결함으로 인한 정보소외는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 청각 장애인에게 정보화 교육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화 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정보화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개발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정기적인 지도 점검이 요구된다. 넷째, 보조공학 기기 및 S/W에 대한 지원 및 개발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 청각 장애인 정보화 교육 과정의 표준화 작업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 PDF

Analysis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for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ies (교육정보화 정책에 대한 정부부처와 민간의 지원 내용 분석)

  • Kim, Ja-Mee;Lee, Sung-Jin;Lee, Won-G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85-9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upport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in a bid to give some suggestions on education informatization, as the three-stage education informatization plan was soon going to be completed. And it's found that the government agencies pushed ahead with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lan to boost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ir policies primarily focused on coping with the dysfunction of informatization and narrowing information divide. On the contrary, the private sector moved ahead with the plans that aimed at building necessary infrastructure in underdeveloped areas and providing various sorts of support involving education to the low-income classes.

  • PDF

Study on the Vis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and S&T Informatization Fundamental Plans - Focu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교육과학기술정보화기본계획의 비전과 전략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분야를 중심으로 -)

  • Kim, sang-kuk;Choi, byeong-seon;Lee, My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1-172
    • /
    • 2011
  • 교육과학기술부는 정보화 시대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한다는 비전을 담은 '교육과학기술 정보화 5개년(2010~2014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교육과학기술정보화 기본계획은 1996년 이후 교육과 연구개발 분야가 별개 추진되던 정보화 계획이 통합됨으로써 교육과 과학기술 정보화 융합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KISTI는 과학기술 정보화 대표기관으로서 교육과학기술정보화 기본계획 수립에 참여 하였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중심으로 기본계획을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