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적 함의

Search Result 3,91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vision of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n UK and Debates about Knowledge (영국 국가지리교육과정 개정과 지식 논쟁)

  • Cho, Chul-K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3
    • /
    • pp.456-471
    • /
    • 2014
  • Recent educational policy by coalition government in UK is called knowledge turn. A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relative knowledge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and postmodernism has been strongly endorsed by the previous new labor government. The view of knowledge regards knowledge as constructed socially, and emphasizes personal everyday knowledge. But the knowledge-based curriculum based on absolutism is strongly endorsed by the current coalition government. It emphasizes objectivity of knowledge. Social realism criticizes both absolutism and relativism on knowledge. Social realism places disciplinary knowledge above everyday knowledge, and considers disciplinary knowledge as powerful knowledge. But it doesn't mean that social realism neglects everyday knowledge. Rather, social realism empathizes relating disciplinary knowledge to everyday knowledge. Recent Living Geography and YPG(Young People's Geographies) project by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is based on the social realism. The aims of the project is to connect academic geography related to young people's geographies with student's everyday geographies, and academic geographers as mentors, tutors and students together are to mak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through conversation.

  • PDF

Development Scheme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for Hydrological Survey Experts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교육체계의 발전 방안)

  • Han, Hak Young;Jang, Bok 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2-582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높아지는 물 수요 등으로 인하여 물관련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깨끗한 물을 국민에게 공급하고 물로 인한 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체계와 정책은 이제 당연한 중요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물 관련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합당한 대안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가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문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 충분한 예산, 높은 기술력 등과 함께 전문인력이 필수조건이다.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경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토해양부(현재 국토교통부)는 수문조사 전문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2008년 4월 하천법을 전부 개정하여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명시화하고 이를 시행토록 의무화하였다. 교육을 수행할 기관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교육원)를 선정 후 위탁하여 2009년부터 교육기관별로 매년 2회 이상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는 교육대상자로써 전문인력으로 발전되고 국가로부터 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수문조사 종사자는 수문조사 관련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2년 이내에 3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고, 3년마다 재교육을 받아야 함을 규정(하천법시행령 제13조) 하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처음 실시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1,311명이 수료하였다. 교육수료자수는 최대 277명(2009년)에서 최소 155명(2013년)으로 7년 평균 18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재교육수료자는 2015년까지 총 260명으로 집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의 성과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외 수문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관련 선진사례로서 프랑스의 물 전문가를 위한 국립교육센터(CNFME)를 선례로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수문관련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리나라 교육체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Implications of the 'Sontanda' Phenomenon of Scientists for Science Education: Focusing on Ian Hacking's Creation of Phenomena (과학자의 '손탄다' 현상이 과학교육에 주는 함의 -이언 해킹의 현상의 창조를 중심으로-)

  • Choi, Jinhyeon;Jeon, Sang-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253-26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 of scien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Ian Hacking's 'creation of phenomena'. Scientific phenomena, according to Hacking, are regular and do not exist in natur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scientists or experimental tools. This study tries to derive scientific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the thoughts and episodes of the 'Sontanda (inter-individual variability)' phenomenon experienced by four life scientists. The Sontanda phenomenon is a common term used by scientists to describe phenomena in which findings do not appear consistently even when studies are carried out using the same experimental procedure and materials. The following four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bodied knowledge, or non-verbal knowledge, which solves issues by making appropriate judgments and reactions at all times, rather than simply becoming accustomed to the experimental method. This argues that propositional knowledge and non-verbal knowledge should be handled equally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a practical scientific inquiry. Second, we tried to reconsider the picture of the experiment. The phenomenon revealed in the interviews of scientists is rar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stabilize the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school experiments is always positive and consistent, necessitating a shift in perspective. Third, the precise meaning of scientific practice could be confirmed. This study confirms that scientists use their knowledge effectively in line with the circumstances, and we examined strategies to apply scientific practice to school instruction based on this. Finally, by provoking uncertainty, the Sontanda phenomena may giv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ngage in meaningful scientific involvement. By breaking away from the cookbook experiment, this study expects school experimental education to help in efforts to experience scientific practice.

A Suggestion for Adaptation of U-Learning in Inclusive Education (U-러닝시스템의 통합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제언)

  • Kim, Y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3
    • /
    • pp.295-302
    • /
    • 2007
  •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has been undergoing dramatic developments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igital information transfer, storage and communication methods. Education and training technology is constantly evolving and growing. Because we continually meet the new and interesting advances in our world. The evolu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at a distance can be characterized as a move from traditional learning to u-learning.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application of u-based education method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argeting to empower them. Instead of the classic educational support such as extended time to take exams, a reader and/or scribe to assist with exams and note taking servic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efinition of inclusion and disabilities which does not been fully understood what they mean and then possible implementing materials which can empowe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accomplishments. W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we concentrate on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cience particularly related with inclusive classes.

  • PDF

입력수급전망(入力需給展望)과 고등교육(高等敎育) 개혁과제(改革課題)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4
    • /
    • pp.3-25
    • /
    • 1994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인력계획(人力計劃)을 위한 인력필요량(人力必要量) 예측(豫測)에 초점(焦點)을 맞추기보다는 인력공급전망(人力供給展望), 인력수요분석(人力需要分析),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등에 주목함으로써 고등교육제도(高等敎育制度)의 개혁과제(改革課題)를 도출(導出)하고자 하였다. 인력공급(人力供給) 측면에서는 2000년대 고졸자의 격감(激減)을 전망(展望)하고 이에 근거(根據)하여 대학교육(大學敎育)에 대한 초과수요(超過需要)를 전제로 하였던 규제위주(規制爲主)의 교육제도(敎育制度)의 근본적인 변화(變化)가 요구됨을 보인다. 인력수요(人力需要) 측면에서는 우리 경제(經濟)가 지식집약경제(知識集約經濟)로 이행(移行)함에 따라 고등교육(高等敎育)의 양적(量的) 팽창(膨脹)보다는 질적(質的) 향상(向上)이 보다 요구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또한 수급간(需給間) 상호관계(相互關係)에도 주목하여 직업기술(職業技術) 고등교육기관(高等敎育機關)과 기업(企業)을 연계(連繫)하는 네트워크가 구축(構築)되어야 함을 강조(强調)한다. 이러한 인력수급분석(人力需給分析)을 바탕으로 대학(大學)의 경쟁여건(競爭與件) 조성(造成)과 직업기술 고등교육의 산(産) 학(學)네트워크 구축(構築)을 위한 교육개혁(敎育改革)의 기본과제(基本課題)를 제시(提示)한다.

  • PDF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Choi, Eun Ah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2
    • /
    • pp.179-202
    • /
    • 2015
  • In this research, I explored how to apply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teacher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Chosun Sanhak (mathematics of Chosun Dynasty) as the program that enriched th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program included not only mathematical knowledge but also socio-cultural knowledge and connection knowledge.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various mathematical activities such as explaining,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this progra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Prospective teachers learned the subject matter knowledge(SMK) which was helpful in teaching basic concepts and skills of elementary mathematics. Next, this program produc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o prospective teachers by giving ideas how to teach.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 :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교직과정을 중심으로

  • Lee, A-Ram-Chan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66-77
    • /
    • 2011
  • 1895년 영화가 탄생하면서부터 영화가 예술로서 인정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듯이 영화가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기까지도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즉, 영화가 소비 지향적이라는 비판에서부터 영화는 집에서만 봐도 충분하다는 식의 편견까지 이러한 오해를 불식시키기까지 짧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영화 자체가 교육적 대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64년 영국영화연구소에서 나온 "영화교육(Film Teaching)"에서 영화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된 이후에 자연스럽게 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한편 2004년부터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의해 영화교육의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한 해 뒤인 2005년 만화애니메이션교육이 대중화시대를 열었다. 이렇듯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은 그 교육적 접근은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과 관련해서 전문적인 동시에 대중적인 측면도 함께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학교육에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중적인 영향력을 통해서 초 중등학교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육영역이다. 이렇게 다양한 층위에서 진행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을 문화예술교육이라는 범주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는 전문예술인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인 아닌 초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다. 특히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교육과 영화교육을 점검할 것이다. 그리고 영화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직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만화애니메이션교육도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 PDF

The STEAM Learning Model Design Based on Smart Learning for Re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Powerhouse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한 스마트교육기반 STEAM 교육 모형 설계)

  • Kim, Sun-Hoi;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69-372
    • /
    • 2012
  • 교육의 패러다임이 디지털 융 복합 환경의 지속적 발전과 정보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사회로의 가속화, 사회 경제적 변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변화와 함께 급변하게 변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네이티브들이다. 이러한 학습자의 변화에 맞추어 교육도 변화되어야한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여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했으며 또한 융합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STEAM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STEAM 교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장으로서의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꾀하게 할 수 있으며, 21세기 지식강국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의 교육경쟁력을 확보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policy change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with an analysis of America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 Kim, Jeongran;Kim, 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0 no.2
    • /
    • pp.163-1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olicy change of teachers education in Korea with an analysis of America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we found the difference of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between Korea and America with each nation's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 can get the need of new change for statistic teacher's education in Korea. We think of Mathematics teachers should know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statistics and mathematics at school mathematics. And they should know the new change thinking about teaching method and process assesment methods. Second, Teachers should focused on teaching of problem solving and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based on data analysis than the teaching of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theory.

  • PDF

Student Field Study by University-Industry Partnership (현장실습교육의 운영)

  • 허용정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93-195
    • /
    • 2001
  • 첨단이론과 현장실무능력을 겸비한 새로운 실천적 공학기술교육의 중심대학으로 특성화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의 학생 현장실습교육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한기대 재학생이 재학기간 중에 일정기간 동안 산업체에서 현장 실습교육을 필수 교과목으로 이수하도록 하여 산업발전에 부응하는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산업현장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산업체가 요구하는 창조적 직무수행능력을 갖춘 우수한 실천 공학자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에 한기대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학생 현장실습교육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