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용 도구

Search Result 4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PB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ducational robot, pico-cricket (피코크리켓 교육용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PBL학습프로그램 개발)

  • Kim, Eun-Jung;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29-232
    • /
    • 2011
  • 초등학생들의 학습에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이용하여 Project를 해결해가면 그 과정에서 지식이 살아있게 되고 지식이 더 깊어질 것이다. 주입식으로 지식을 알아가기보다 스스로 과제를 해결해가면서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스스로 깨닫고 알아가는 학습이 필요하다. PBL학습은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학습이다.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구체적조작기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시기에는 직접 만질 수 있는 학습도구인 교육용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교육용로봇인 피코크리켓을 활용하여 PBL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Building a Corpus for Korean Tutoring Chatbot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위한 말뭉치 구축)

  • Kim, Hansaem;Choi, Kyung-Ho;Han, Ji-Yoon;Jung, Hae-Young;Kwak, Yong-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88-293
    • /
    • 2017
  • 교수-학습 발화는 발화 턴 간에 규칙화된 인과관계가 강하고 자연 발화에서의 출현율이 낮다. 일반적으로 어휘부, 표현 제시부, 대화부로 구성되며 커리큘럼과 화제에 따라 구축된 언어자원이 필요하다. 기존의 말뭉치는 이러한 교수-학습 발화의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용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는데에 활용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수집, 도구 기반의 수집, 주제별 수집 및 분류, 점진적 구축 절차의 원칙에 따라 교수-학습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준구어 말뭉치를 구축한다. 교실에서 발생하는 언어학습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대화 흐름을 제어하고 채팅용 메신저와 유사한 형태의 도구를 통해 말뭉치를 구축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기 위해 말뭉치 구축용 챗봇과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교수자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발화문을 생성한 준구어 말뭉치를 최초로 구축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 Yang, Kilseok;Seo, Soohyun;Ok, Hyoun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7
    • /
    • pp.1-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elf-reporting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o use it as a tool for self-diagnosis 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e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competence, the tool was developed with 45 question items of 2 areas and 8 factors.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suitability were generally satisfactory based on the assessment data from about 3,000 middle school students. The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imarily applicable to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adult education. In future research, if the system is developed to be accessible to anyone online based on this tool, and the accumulated data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s self-developmen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the people.

A Design on Learner-Centric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ool based on Social Learning (소셜러닝 기반의 학습자 중심형 학습콘텐츠 개발도구 설계)

  • Bae, Ji-Hye;Kim, In-Hwan;Lee, Hyun;Park, Y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418-1420
    • /
    • 2012
  •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으로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SNS를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한 학습모델의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교육 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춰 학습자 스스로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소셜러닝 기반의 학습자 중심형 학습콘텐츠 개발도구의 설계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nalysis of difference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CS education according to CS education with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ing Tool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의 정보과학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 Shim, Jae-Kwoun;Kim, Ja-Mee;Lee, Won-Gy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3
    • /
    • pp.385-393
    • /
    • 2010
  •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2000 ICT educational guidelines. Although the focus of education has shifted from practical use to computer science since 2005, in which way academic education should be led isn't ye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CS education) by an education programming tool on school children's awareness of that education. The selected students received education about unplugged, scratch and robot programming, part of th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12 sess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ll the variables that included attitude to computer science, interest in that, satisfaction level,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he value of CS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n CS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thinking faculty should take precedence over practical use of what's learned, which is expected to heighten the value of that education.

  • PDF

PC의 역사와 미래

  • 오길록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17 no.12
    • /
    • pp.4-7
    • /
    • 1999
  • 산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인류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제는 정보화 시대의 필수적인 도구로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는 PC의 역사에 대하여 기술하고, 교육용 컴퓨터 개발사업으로 태동한 국내 PC 산업의 역사를 설명하였다. 현재의 PC산업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의 PC 발전 방향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 PDF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활동을 위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 Bae, Ji-Hye;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35-238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앱은 개발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현재도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앱을 활용한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는 콘텐츠 사용자의 유용성과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를 활용한 코딩 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관한 관련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PL을 바탕으로 비IT계열 전공의 대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적 사고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인 앱을 제작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위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EPL을 위한 도구는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의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2(App Inventor 2)를 사용하며, 제작한 앱을 스마트 기기에서 즉시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데 대해 학습만족도와 성취감이 높음을 수업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작 과정에서도 활발한 사고력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Survey Tool for the Scientific Character of Elementary Student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인성 검사 도구 개발)

  • Nam, Ilkyun;Im, S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6
    • /
    • pp.825-8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rvey tool of scientific character for elementary student which connects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ffectively by figuring out traits of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 being presented in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is, we adapted the theocratical model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defined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ies being able to practice in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science. Based on this model, we developed the survey tool as 'Scientific Character Inventory for Elementary Student' to assess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es to practice the virtues being pursue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l the items could be summarized into 28 items and eight constructs such as scientific problem-solving, self-management,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community participation,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ethics awareness. We found that minimum reliability coefficient of constructs was over than 0.5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total items was 0.878. And also, there was modes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ruct and the total score of scientific charact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survey tool can be useful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reveals constructs of scientific character which can be raised in concret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o as to suggest the survey tool to assess thi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External Educational Contents and LAMS (LAMS와 외부 교육용 콘텐츠간의 통신 메커니즘의 설계 및 구현)

  • Park, Chan;Jung, Seok-In;Han, Cheol-Dong;Seong, Dong-Ook;Yoo, Jae-Soo;Yoo, Kw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3
    • /
    • pp.361-371
    • /
    • 2009
  • LAMS(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1] is one of the useful tools for designing and managing effectively th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web search, chat, forum, grouping, and board. Even if LAMS has been upgraded to support the methods for making e-Learning contents conveniently, it does not have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educational contents (EEC) made by external tools like Flash, Java, Visual C++, and so on. LAMS, which has been operated on Web environment, should manage all EECs like video and dynamic educational contents as educational contents in LAMS database. However, the current LAMS does not support the functionalities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of EECs to LAMS database and can also access any information about EECs from the database ye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the LAMS and EECs for solving the problem. In special, the mechanism makes many statistical data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for reflecting in education, and can control various learning management that was impossible under the original LAMS. Based on the proposed mechanism, teachers using LAMS can make mor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nd can manage them in the system.

The evaluation of class design for the computing thinking Using EEG (뇌파분석을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수업설계 평가)

  • Mun, sung-yun;Lee, hyu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394
    • /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일환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교 정규교과에 도입된다.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와 엔트리용 센서보드를 활용한 5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 후에 문제 해결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감마파와 뇌파집중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