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용게임

Search Result 32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f education game - In the case of Jumbini 2 (mountain rescue operations) (교육용게임의 적용 사례 분석 - 줌비니2(산악구출작전)을 중심으로)

  • Lee, Jong-Ho;Lee, Dong-Lyeor;Lee, Wan-Bok;Ryu, Seuc-Ho;Kyung, Byung Py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459-465
    • /
    • 2013
  • In this study, an educational game named "Jumbini 2: Mountain Rescue Oper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as a case of highly effective educational as well as significant popular game.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game software for education, stories and structure elements of the game are examined. Significant results are found on aspects of value and effect as an educational game, analyzing based on goal, rule, competition, challenge, fantasy, safety and fun, which are general elements for educational games.

Comparative Analysis for Educational Puzzle Game Development (교육용 퍼즐 게임 개발을 위한 비교)

  • Shin, Yongw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5
    • /
    • pp.7-14
    • /
    • 2014
  • Since educational and fun elements coexist in an educational game,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standards that can elicit fun with the game as well as educational standards. Many of the existing developed educational games have received low marks in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and game design. Thus, how to make up for their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his paper analyzes gaming elements of puzzle games that were released for smart phones and gained massive popularity from their users and will apply them to educational games. Such game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and won a commercial success include Anipang, Anipang 2, Candy Crush Saga, Farm Heroes Saga and Pokopang. This study will analyze gaming elements of these games.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games, it is applied to the game elements of casual games. In addition, we have proposed a element that can enhance the immersive. Game design elements that can improve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include game rules, stages and missions. Elements that can increase immersion include items, background maps and new learning environments.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which mean the fun of games through those that have been a commercial success and applies them to educational games.

A Study on the Adoption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Game for Edutainment Contents Development - through a Case Study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Came for Children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을 위한 게임 요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어린이용 영어 단어 학습 게임 컨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 박수정;김현정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271-280
    • /
    • 2003
  • In digital age, multimedia technology has changed the learning method as a learner-directed way. CD-rom and internet that are major two multimedia learning way, has aimed at edutainment which combin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However,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can only induce temporary learning motivation, and are in short of entertaining factors enough to induce continuous and ingenuous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in order to be used by users efficiently, educational software have to adap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game more actively. In this paper, adoption method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game in learning contents is sought and the specific example of adoption is demonstrated by a case study of developing vocabulary learning educational game.

  • PDF

Analysis of Educational Game in China (중국에서의 교육용 게임 분석)

  • Duan, XiaoYun;Im, Kwang Hyuk;Kim, Soo-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1-352
    • /
    • 2014
  • 교육용 게임의 목표는 교육 게임 산업보고서에서 밝힌 것과 같이 게임 사용자의 지식, 기술, 지력, 정감, 태도, 가치관, 그리고 교육적 효과를 가지도록 해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오락성에 못지않게 규칙, 경쟁, 도전 같은 요소들 또한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중요한 요소는 게임이 주는 교육적 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 만약 교육적 효과가 높다면 좋은 게임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일반적인 게임과 마찬가지로 교육용 게임에 대한 시선은 좋지 못한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시선으로 인해 교육용 게임은 크게 보편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육용 게임에 대해 소개해 본다.

  • PDF

A Study on Factors of Reuse of Edutainment Contents - In the Context on Educational of Games -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재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교육용 게임을 중심으로 -)

  • Lee, Ji-Hun;Kim, Hyun-S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0 no.2
    • /
    • pp.99-112
    • /
    • 2010
  • The game for education should newly be newly recognized in the view of user and development to bring out the particularity of game for education combined with educational factors and interest is needed.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cretely look at the effects of factors to reuse edutainment contents and educational games on reusing of the service, and examine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weight. In addition, by structurally analyzing the factors the influence of reuse factors of game for education can be observed to propose methods to activated industry of game fo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marketable method to increase the rate of reuse and to sustain consistent use of game for education.

Synchronizing Learning Data in Educational Games (교육용 게임에서의 학습 데이터 동기화 처리)

  • Jeon, S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100-104
    • /
    • 2008
  • 교육용 소프트웨어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플랫폼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용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 교육용 게임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의 학습도구와 웹을 기반으로 하는 부가적 교육 학습도구로 이중화 되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게임의 학습 데이터 결과와 웹의 학습 데이터 결과가 일치화 되지 않아 학습자에게 올바른 학습 결과를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게임 시스템의 학습과정에 따른 레벨 시스템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동기적 데이터 처리방식을 온라인 게임 시스템과 웹의 학습과정의 분기 조건에 필요한 학습결과 데이터만을 동기화 처리하는 학습 데이터 동기화 처리 방식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학습결과 데이터 동기화 처리는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다양한 학습 콘텐츠들이 온라인화 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향후 통합 교육용 시스템과 다중 교육용 게임 시스템으로 개발 될 때 좀 더 효과적인 학습 시스템으로 개발될 수 있는 학습 데이터 처리 방식이 될 것이다.

  • PDF

Design of Computer Using-Time Control System for Prevention of Game Toxication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컴퓨터 사용시간 제어시스템)

  • Cho, Sang-Hyun;Choi, Min-Ky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 no.1
    • /
    • pp.17-23
    • /
    • 2001
  • In this paper, we refer to positive effect and negative effect of game. And we inquire the recent trend of edutainment that emphasizes charm of game and educational effec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imulation game and the role-playing game have strong toxication, the limitation of computer use is essential. Therefore, we present dynamic computer using-time control system for prevention of game toxicaton and for activ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e method considered in this paper increases computer using-time n proportion to using of educational contents. So it lead user of computer to use educational contents voluntarily.

  • PDF

A Study for Vitalization of Educational Serious Game Competition (교육 기능성게임대회 활성화방안 연구)

  • Choi, Hun;Baek, Yejin;Seo, D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5-306
    • /
    • 2012
  • 미디어 플랫폼의 다양화로 인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교육용기능성게임은 G-learning 베이스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게임을 즐기고 자라난 게임세대들에 대한 인식전환과 교육용 기능성게임에 대한 교육적 효과검증을 통하여 교육용 기능성게임을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하여는 사회적 인식전환과 저변확대가 우선순위이다. 이를 위하여는 일반인들에게 교육용기능성게임을 알릴 수 있는 대회를 활성화하여 인식의 전환과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교육용 기능성게임대를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국내 교육용 기능성게임 유저를 확산시켜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research on "good game" factors for designing educational game (교육용 게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유익한 게임"의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N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05-306
    • /
    • 2014
  • 본 논문은 게임분야와 교육공학 분야 전공 전문가들이 융합하여 초등교과 학습과정과 연계 시킨 역사수업 복습 게임을 제작 한 사례를 바탕으로 교육용 게임 제작 시 초기단계에 고려하면 도움이 되는 게임의 요인들을 소개 한다. 먼저 "좋은 게임"을 구성하는 게임 속 요인들을 중심으로 게임이 주는 유익한 요소들을 놀이의 본질에서부터 고찰하였다. 그리고 게임 고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파이디아(Paidia) 즉, 놀이적인 특성이 강한 영역과 복잡한 규칙을 갖는 루두수(Ludus)적 특징의 두 영역의 범주안에 좋은 게임의 요인들을 편입시켜 이를 중심으로 교육용 게임을 기획 하고 제작 하였다. 마직막으로 제시한 요인들이 교육용 게임 제작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