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과정 충실도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 교육 철학적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 파악 (An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Philosophical View of Mathematics Education)

  • 이명희;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5
    • /
    • 2000
  •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위하여 그 동안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수량적, 외형적 분석에서 나아가 의미론적으로 파악하고자 무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경향을 수학 교육 철학적 견지에서 파악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각 시기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나름대로의 수리 철학을 의식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내포하게 되고, 그 수리 철학을 배경으로 한 수학과 교육과정이 수학교육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것이 학교 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배경이 되는 수리 철학의 철학적인 입장과 교육과정 실천의 장인 수업 현장이 가지고 있는 사회학적 입장을 동시에 반영하게 된다. 수학교육의 수리 철학적 분석과 사회학적 분석을 조화롭게 이끄는 Ernest의 사회적 구성주의 중심의 수학 교육 철학적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20세기 중반 이후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경향을 파악해 보면 대략 진보주의(1차)에서 과학 기술적 실용주의(2차)로 그리고 구 인본주의(3, 4차)에서 진보주의 경향(5, 6차)으로 마지막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의 순서(7차)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한 한 초등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A Teacher's Cognizance Change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ho Implement it)

  • 김진호;이소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105-121
    • /
    • 2008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기본정신으로 하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선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수업은 전통적인 교사중심 수업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수업에 익숙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충실하게 실천한다는 것은 대단한 도전이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던 교사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천하면서 자신이 형성하고 있던 아동관, 교과서관, 교사관 등에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진술하고 있다.

  • PDF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Th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a Reflected Programs in Astronomy Science Museums)

  • 윤광아;최상인;정구송;이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42-151
    • /
    • 2009
  • 이 연구는 과학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단원의 내용과 천문과학관의 전시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천문과학관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천문과학관 5곳으로 천문과학관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형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된 평가도구는 교육부(1997)에서 고시한 과학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평가원(2000)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근거로 고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천문과학관에서는 과학 교육과정 내용 중 천문관련 학습요소를 대부분 반영하고 있었다. 이는 천문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반영 비율은 5학년이 가장 높으며, 전시 형태는 패널 형태가 가장 많았다. 평가점수는 반영비율에 비하여 낮았는데 이는 향후 천문과학관의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과학 교육과정을 더 충실히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학교도서관 영역 교과목 운용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Area in the LIS Education)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71-392
    • /
    • 2004
  • 이 연구는 사서교사 양성과정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직과정 이수가 승인된 전국 31개 문헌정보학과를 대상으로 교과교육 영역과 학교도서관 관련 영역의 교과목 운영 실태를 자세하게 조사하여 그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충실한 사서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과교육론 영역의 교과목을 원칙대로 운용하고 학교도서관 관련 교과목의 편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PDF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합리적 행동에 대한 실증 사례연구 (An Empirical Case Study on Self-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Theory of Reasoned)

  • 엄명용;최연숙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 주체인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별 특성과,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가 가지고 있는 학교별 특성이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유층 표집한 82개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변인별 특성과 학교별 특성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교사 변인별 특성은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교육계획수립'과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기자재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 변인별 특성 중에서 '교사직위'는 이들 변인들에 공통적으로 의미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학교별 특성은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학년 교과목간 연계성',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 및 '교과교육과정의 충실성'에,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특성화 추진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별 특성 중에서 '숙영시설'이 '학년 교과목간 연계성',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 공통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서는 '특성형태'와 '성별'이 미미하지만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의 편성 운영 발전방안에서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 전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고급인력 양성 - 유한대학 건축설비과 -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26호
    • /
    • pp.66-68
    • /
    • 2009
  •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는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기계를 다루는 기술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계관련 이론과 작업분석에 대한 다양한 실기를 통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것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에서는 오늘날의 첨단 기계 산업의 발달 및 다양화에 발맞추어 생산 및 생산시설 관리, 제품의 설계 및 제작, 엔지니어링 마케팅,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업무를 충실히 담당할 중견 전문가 양성도 담당 한다. 2009년 현재 전국 13개 대학에서 기계 설비분야의 미래를 책임질 기계설비 전문인 양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본지는 지난 3월호부터 전국의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를 소개한다.

  • PDF

기계설비관련대학 탐방 (6) - 국내 최초 건축설비관련 석.박사과정 인가 - 경원대학교 건축설비공학과 -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29호
    • /
    • pp.71-75
    • /
    • 2009
  • 국내의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는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기계를 다루는 기술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계관련 이론과 다양한 실기를 통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직업인 양성에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오늘날 첨단 기계 산업의 발달 및 다양화에 따라 생산 및 생산시설 관리, 제품 설계 및 제작, 엔지니어링 마케팅,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업무를 충실히 담당할 중견 전문가 양성도 담당하고 있다. 기계 설비분야의 미래를 책임질 기계설비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는 2009년 현재 전국의 13개 대학에서 다양한 커리큘럼을 통해 배출하고 있다. 본지는 지난 3월호부터 전국의 기계 및 설비관련 학과를 소개한다.

  • PDF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경향 분석 (Analysi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literacy in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parts presented in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s)

  • 김용대;최길수;이종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2
  • 정보 교과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정보 활용 능력은 물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개설된 교과이다. 그러나 창의적 문제해결요소가 교과서에 어느 정도 포함되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학교 정보 1 교과서 '문제해결방법 및 절차' 영역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경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 교과서가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 요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 최길수의 정량적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문제해결과정 반영과 문제해결전략 제시의 충실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모든 교과서가 활동 요구 지수, 창의적 문제해결력 관련지수, 활동 유형지수가 전체적으로는 바람직한 범위에 있으나 소 영역별로는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 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수 값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 교과서가 있고 활동 유형이 일부 유형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정보 교과서의 개발 및 수정 보완 시 문제해결과정 반영과 문제해결전략의 충실도를 높이고, 교과서의 학습 활동 구성 시 다양한 학습 활동 유형을 활용하고 기본 정신 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을 요구하는 활동 비율의 균형을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과학 수행 평가 문항의 선정 및 제작을 위한 평가 준거의 개발 (Developing of a Criterion for Selecting and Producing of Performance)

  • 김은진;박현주;강호감;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8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수행평가의 올바를 사용과 정착을 위하여 과학 수행평가문항의 선정과 제작을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평가목표 및 수행평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평가준거의 대범주로 평가 목표의 충실도(Fidelity), 수행평가의 특징과 구성 요소에 대한 만족도(Satisfaction), 문학의 내용 타당도 (Content Validity), 학습자에 대한 내용의 적합도 및 공정성(Suitability & Fairness), 문항의 신뢰도와 객관도(Reliability & Objectivity), 사용상의 편의성 및 실용성(Usability)의 6가지 범주를 개발하였고, 각 대범주별 하위항목을 선정하여, 총 25개의 하위 항목을 가진 평가준거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평가준거표의 타당도는 과학교육 연구자 5명의 안면타당도로 보았고, 신뢰도 3가지 종류의 과학 수행평가문항을 과학교육 전문가 2명가 초등예비교사 6명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Kendall계수를 통한 평가자간 합치도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합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인 평가준거표를 완성하여 제시하였다.

사서 계속교육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 Current Situations and Suggestions)

  • 장덕현;구본진;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1-202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사서 계속교육은 도서관 확충과 교육수요 증가에 따른 대응, 교육과정 확대 및 충실화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교육의 세분화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운영, 급변하는 지식정보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한 사서직 역량 개발, 사이버 교육콘텐츠 확보 등 다양한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교육기관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사서 계속교육에 있어서의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보환경과 교육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사서계속교육의 국가 주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재의 사서 계속교육 체제를 '교육원'과 같은 전문기관으로 개편하고, 이를 통하여 사서 교육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교육플랫폼의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