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 자료

Search Result 3,31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 Yang, Chanho;Bae, Yujin;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3 no.7
    • /
    • pp.1312-1328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in curriculum design through a case study.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prior to their teaching students. We then observed their teaching and collected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s. Their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the aspects of reading, evaluating and adapting curriculum material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urriculum desig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reading curriculum materials that deriv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lso affected the way of adapting curriculum materials. While the 'adding' was an important adaptation in curriculum design with active perspectives, the 'changing' was an important one with passive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degrees of evaluating curriculum materials from the learners' views depended on their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It was also connected to qualitative differences of adaptation in 'increasing student control over an activity' and 'increasing teacher control over an ac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cdot}$ 도 교육청 영재 심화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71-197
    • /
    • 2004
  • 1999년 교육개발원에서는 초 ${\cdot}$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보고서에 초 ${\cdot}$ 중학교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이 제시되어 있다. 이 영재 교육과정 시안으로써 그 내용에 상응하는 수학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 및 영재교사 연수가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02년${\sim}$2003년 2년간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학생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왔다.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지금 우리에게 영재 교육의 시급한 문제는 초 ${\cdot}$ 중등에 필요한 다양한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마련한 교재개발 지침에 따라 2005학년도 교수 학습 자료를 중학교중심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 Cho, Mi Ky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4 no.2
    • /
    • pp.83-102
    • /
    • 2021
  • Curricular noticing is about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ontent and pedagogical opportunities inherent in curriculum materials. Since the enacted curriculum differs depending on which aspect of the curriculum material is paid attention to and how to interpret i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urricular Attending and Curricular Interpreting in Curricular Noticing for enhancing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objects that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attended when planning the lesson for rate.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ose objects, it was analyzed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interpret. By discussing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rawn on how to use Curricular Notic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he pedagogical design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rtual Education System on the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의 가상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노진순;이용배;맹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95-597
    • /
    • 2001
  • World-Wide Web으로 인하여 인터넷 상의 다양하고 고품질의 자료들을 교육 자료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정제되고,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상에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문서들을 교육 목적에 맞게 새로운 순서, 즉 문맥화된 순서를 가진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문서간의 부드러운 내용 전개를 위해서 부가적인 설명이나 기존 문서에 빠져 있는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가상교육 시스템은 교사가 교육용 지식문서를 작성하여 면대면(face to face) 교육에서는 직접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을 통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부족한 부분을 원하는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능동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교육 시스템에 가상문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인터넷 상의 수많은 리소스들을 인용하는 것에 대한 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교사가 교육과정에 맞게 쉽게 재구성해 줄 수 있도록 가상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Mathematics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중등학교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한인기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175-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various mathematics programs and related studies for gifted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to extract meaningful suggestions, and to develop some mathematics materials to realize our suggestions. We analyzed mathematics curriculum drafts for gifted students(by KEDI), mathematics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of Russia, and mathematics programs of some specialist of gifted education. We were able to extract some important aspects for developing teaching & teaming materials.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ook notice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and suggested a model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 PDF

Curriculum Orienta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

  • Ryu, Sang-H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0 no.1
    • /
    • pp.1-13
    • /
    • 2001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교육자(전국 국 사립 대학의 가정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들의 교육과정 관점을 조사함으로써 실천적 비판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세미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은 하나의 두드러진 교육과정 관점을 선호하지는 않았지만 인지과정중심 교육과정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 석사과정에서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3) 박사과정에서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개인중심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4) 가정교육학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보다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교원양성기관의 통계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자료

  • Lee, Gang-Seop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59-64
    • /
    • 2003
  • 이 연구는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중 통계분야에 대한 사항을 논의하는 기본 자료로서 통계학 전공 교수 현황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현재 수학교육과 소속의 전임교수 164명중에서 통계학 전공교수는 7명으로서 전체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또, 확률 및 통계영역에 대한 교육과정의 편성은 6.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통계학에 대한 교수 및 교육과정 편성이 적어도 10%는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PDF

An Analysis on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as Statistical Literacy: Focus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s (통계적 소양으로서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의의 분석: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ak, Byungj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3
    • /
    • pp.221-240
    • /
    • 2018
  •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s which have been rarely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 analyze the significance of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sata in terms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variability as the core of statistical literacy. As a result, the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are important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variability which is ubiquitous in the data and to construct distribution of data, respectively. They ar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s the statistical literacy for addressing data.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teach the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as the practice of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eir statistics classes for 1st and 2nd grades.

  • PDF

재량활동 운영을 위한 수학의 통합교과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u-Hwan;Park, Yeong-Hui;Jeong, Ji-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27-44
    • /
    • 2004
  • 재량 활동을 위한 완벽한 자료의 개발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자료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절실하다. 이를 위하여 현직 교사들을 자료의 주 개발자로 하여 10개 학년별 수학 교육과정 6개 영역별 통합교과적 소재의 프로젝트 교수 ${\cdot}$ 학습 활동 자료를 개발하였다. 수학 교과 재량 활동 자료의 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시사점과 개발된 자료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바람직한 활용 방안을 찾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