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가

Search Result 3,550, Processing Time 0.392 seconds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향상시킬까?: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eong;Kim, Do-Hyeon;Lee, U-Jin;Kim,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57-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지수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의 3개 영역(인지, 사회, 정의), 9개 하위요소(혁신성, 적극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리더십, 공감,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기효능감, 모호함에 대한 인내)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고등학생의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사전-사후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구성하는 인지, 사회, 정의영역 중인지영역과 정의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9개 하위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및 위험감수성 요소를 제외하고 7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간 관계 연구

  • Byeon, Ji-Y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23-127
    • /
    • 2020
  • 4차산업 이래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경기악화로 인해 청년실업율이 지속적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구조 변화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진로역량에 영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일자리창출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대학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세를 이어 왔고, 더불어 주요 창업지원성과라 볼 수 있는 창업자수·고용인원수·매출액 성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창업교육이 어떠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창업교육은 주로 국내 교육 및 해외교육 현황이나 일부 역량관점으로 대학 창업교육을 다루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아직 역량관점에서의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도입단계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학에서는 실질적인 창업지원 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창업교육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또한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다면 사회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창업교육의 양적성장에 이은 질적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유럽에서는 수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역량을 국민의 전생애역량으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에 적용해 오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 별로 3~5단계 내외의 교육체계를 세우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씽킹이나 캡스톤디자인식 등의 창업교과목과 같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도 다소 증가하고는 있으나 주로 창업스킬 중심의 교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통해 사업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가를 육성해야 하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계의 다양성에 더하여 이제는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관점으로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 간 관계를 밝혀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 Competence) 개념을 기반으로 4년제 창업선도대학의 역량별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 간 연관성을 밝혀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교육 지원체계를 고도화 함에 더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역량을 제고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를 높이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사명감을 가지는 바람직한 기업가를 발굴하고 육성함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 2개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Kim, Ga-Yeong;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9-118
    • /
    • 2019
  •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혁신 및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가정신교육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Katz, 2003; Kurako, 2005). 한국 정부는 '창의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정책 목표로 기업가정신교육 예산이 증가시키고 있으며, 교육 대상자도 대학생 및 성인 대상을 중심에서 중 고등학생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가정신교육은 창업가적 스킬을 발전시키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Linan, 2004), 다수의 기관에서는 저마다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정의 및 운영방식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수준의 프로그램에서는 교육의 효과성을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로 측정하고 있지만, 사회에 진출하기에 이른 시기인 청소년에게 그 지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기관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효과성 지표를 제시하고, 두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 4가지 영역에 대한 교육효과성 검증

  • 김종성;김도현;이우진;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89-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검증에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4가지 변인(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이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 요소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징신 요소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향후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연구에 있어 교육대상자의 역량 변화와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요소 간의 관계 분석을 하는데 있어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교육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심층인터뷰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김종성;김도현;이우진;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7-4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및 2021년 J사-S사의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여한 25명을 대상으로 그룹인터뷰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관한 교육 효과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 결과, J사-S사의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은 창업에 대한 프로세스를 경험한 이후 개인역량, 진로역량이 강화되고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양적연구가 밝혀내지 못한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연구 효과성 연구에 있어 교육참가자의 개인 역량 및 태도,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질적 성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분석)

  • Lee, Soo-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1
    • /
    • pp.99-11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ie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ies by grade, gender, and attitude. To this end, 20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ed their experience, attitudes, perceptions, entrepreneurship attempts, and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y levels.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direct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high. The average of the value-creation competency group consisting of innovation,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change agil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challenge, group creativity, and self-directed competency group. The difference of the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y level between the grades was not significant, and female students' competency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average of the four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in the group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as essential competencie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nhanc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y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ere presented.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 The Case of K University (역량기반 기업가정신 교육모델 개발 : K대학의 사례)

  • Lee, Cheolki;Ahn, Taeuk;Lee, Sangkon;Lee, Sangsoo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1
    • /
    • pp.61-72
    • /
    • 2020
  • Entrepreneurship works as a driving force in socio-economic innovation, the leading role in job cre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s increased,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training methods based on the capability model is vitalized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entrepreneurship in the EU and OECD. In Korea, however, the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capability is nearly not proceeding while the outcome of entrepreneurship training is insufficient. The research, therefore, invented the entrepreneurship training model at K university after analyzing cases of entrepreneurship training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followed up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ntrepreneurship capability and collecting suggestions from experts. The training model rejects the existing economics-based theory education,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capability, and suggests an educational process considering students' developing stage of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ear to Start-up and Start-up Communities in Class (기업가 정신 교육과 창업 의도: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 창업 동아리를 중심으로)

  • Kim, Taeky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2
    • /
    • pp.95-104
    • /
    • 2019
  • Fear to start-up failures has been kn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government adopts a policy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vercome their fear of start-ups. Setting educational goals to foster innovative and progressive entrepreneurs, universities have been condu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t it is hard to say that constructive results have been achieved so far. Rather than adopting the practice of opt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have all university freshmen mandatorily take the cour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impact of more aggress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osition in the university by analyzing empirical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ntrepreneurship level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tested, and start-up fear was also considered. In the research model,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were included as regressors to entrepreneurship levels. Especially, this study tested moderate effects of start-up community during the course. The results from the sample of 2,500 freshmen indicate that entrepreneurship level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taking the course; however, fear to start-up failures remains still. In addition,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putting start-up communities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helps students by moderating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This study extends our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by analyzing university freshmen data empirically.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기업가정신교육이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Jun-Hw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3
    • /
    • pp.59-69
    • /
    • 2018
  • This study aimed at ascerta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fostering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tal 22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nationwide. In order to acqui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three key variables that include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were focused on the study in line with the prior stud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oactiveness, innovativeness and risk-taking, all of which are known as the key elemen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he finding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to foster the basic competence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for university student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give guidelines the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down the road.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