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원

검색결과 1,410건 처리시간 0.027초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과 담당 교사의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Subject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우원재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5-85
    • /
    • 2019
  •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조건,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하여 직업계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후 담당교과(보통교과, 전문교과)별 교원들의 인식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 조건인 선택형교육과정도입, 교원들의 참여의지, 학교장의 지도성, 학생들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제고, 과목이수요건, 학년진급요건, 졸업요건 확정, 고교내신 절대평가, 교사별 학생평가, 수능 영향력 축소, 교원 부전공 연수실시 등은 전문교과 담당교원들이 보통교과 담당교원들보다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 관련 변인들은 전문교과 및 보통교과 담당교원들 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자질 및 양성, 임용 (A study on characteristics, training, and employment of the teacher of the gifted)

  • 김홍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93-125
    • /
    • 2002
  • 본 연구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자질을 탐색하고, 이러한 자질을 갖춘 교원을 양성하고 임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를 제시하고 있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자질은 문헌 연구와 개발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영재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의 세 측면에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현재 취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및 임용 제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사례로는 미국과 싱가포르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우수한 자질을 갖춘 영재교육 담당 교원을 양성하고 임용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원 은퇴자의 삶의 여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The Life History Study on the Life Journey of Retired Teachers)

  • 박종환;윤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26-638
    • /
    • 2021
  •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로서 교직에서 은퇴한 유·초·중등의 남·여 교원의 삶을 통하여 은퇴의 의미와 적응과정을 탐색하여 교원 은퇴자들에게 개인적·사회적 필요가 무엇일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 시절의 성장 경험과 학창 시절의 경험은 학생에게 선한 영향을 주거나 하지 말아야 할 행위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등, 오롯이 본인의 직업 수행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호의존의 시기에 단순 직업인을 넘어서 사회와 국가에 봉사하는 데에 기여하였고, 교직 후반기에는 아픈 경험이 자원이었고 '생각을 바꾸니 세상이 바뀌었다'는 표현으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였다. 교원이 미치는 행위의 영향이 다른 직업과 달리 다수의 대상에게 미친다는 점에서 교원 은퇴자들에게는 은퇴 전의 직업에 대한 보람이나 만족감이 다른 직종과 대비될 정도로 컸다. 그러나 은퇴 후에 교원 은퇴자들은 무한 자유에 행복을 느끼면서도 소속감과 성취감 없는 삶에 심리적인 공허함을 느꼈다. 그리고 새로운 공부에 도전하며 삶의 이모작을 위한 끊임없는 전진을 하고 있었다.

경락의 관점에서 본 근막 분리조직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 김동희;등영건;장병수;정한석;김단;권기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3호
    • /
    • pp.183-194
    • /
    • 2006
  •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책 실패의 교훈으로서 '정책학습'에 관한 연구 : 교원성과급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licy Learning' as a Lesson of Education Policy Failure : Focusing on the case of Teacher Incentive Policy)

  • 송경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21-233
    • /
    • 2021
  • 이 연구는 교육정책의 반복적인 정책실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규명하려는 학술적 노력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정책학습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정책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이 수립된 지 20여 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정부와 교원단체 간에 갈등이 심각한 교원성과급 정책을 정책 분석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원성과급 정책은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총 11차에 걸친 정책 내용의 변화가 있었다. 정부가 새롭게 출범할 때마다 교원성과급 정책은 내용에 변화가 생겼을 뿐만 아니라, 동일 정부 시기 동안에도 정책변화는 지속되었다. 둘째, 각 정부별 정책 내용의 변화 단계에서 어떠한 정책학습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을 때, 대부분 '정치적 정책학습'과 '도구적 정책학습'이 이루어졌다. 즉, 정책의 목표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보다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옹호를 위해 차등지급의 비율을 조정하는 정책학습을 이어왔다. 이와 같은 현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교원성과급 정책의 기본적인 가치와 전략을 검토하는 '사회적 정책학습'을 통해 경직된 교직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정책 제시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공공부문 기술교원의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필요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sential Elements for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 조병관;류길하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13-11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 기술교원들의 능력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변화하는 교육환경 및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교육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현장감 있고 내실 있는 기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기술교원의 능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특히 기술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교원은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현장의 신기술에 대하여 동향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능력 또한 겸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교원의 능력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고 현재의 능력개발 과정을 파악하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분야별로 능력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여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디자인 사고 기반 실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iveness for Solving Real Life Problems based on Design Thinking)

  • 박보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71-478
    • /
    • 2023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교육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연구는 필수적이다. 예비 교원의 창의적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모델의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교육은 의사소통과 협업을 기반으로 발현되는 창의적 사고 함양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1].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교수 학습 모델을 개선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우리는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통 만족도 문항과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분석결과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미래 창의교원 역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Study of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Jo, Hoon;Lee, Yonggyu;Sohn, Jungjoo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67.2-67.2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진행한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의 초급·중급과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개선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청에서 인정한 직무연수프로그램인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는 현대 천문학의 동향과 지식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수는 초등교원을 주대상으로 한 초급과정은 2019년 8월 5일부터 7일까지, 중등교원을 주대상으로한 중급과정은 8월 7일부터 9일까지의 일정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각각의 교육 과정이 교원 직무연수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를 충분히 따르고 있는지를 알아보자 사전, 사후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급과정과 중급과정에서 각각 30여명, 2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전조사 설문지는 기본 인적정보, 연수 참여 동기, 천문 관측 활동 경험 여부에 관한 것으로 10문항이, 사후조사 설문지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내용면에서 지적 및 정의적 만족도, 진로지도 유용성, 향후 수업 활용성, 개선사항에 관한 것으로 20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가 도출 된다면, 본 직무연수프로그램이 내용적인 면에서 교사들의 천문학에 대한 지적·정의적 향상 및 향후 일선 학교에서의 프로그램 보급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수정·보완해야할지 개선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