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학습 전개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Improvement of Efficacy by Applying Intuitive Learning and Group Investigation Methods o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 있어 직관 연상과 집단학습을 통한 효능감 향상 사례 연구)

  • Ma, Jeong Beom;Kim, Jong Hyun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2 no.1
    • /
    • pp.15-20
    • /
    • 2014
  • Intuitive learning method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each lecture to induce students to draw their interests. Avoiding simple explanation of equations and problem solving by using them, we repeated theoretical concepts verbally and applied physical meanings when we developed and wrote equations. By these methods we expected to find a way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effects. We also took a group investigation on pursuing term projects. Students choose their own subjects individually and submitted reports according to the time schedule. The reports included the contents that they learned during classes. After choosing best reports for each group by instructor, students at each group divided roles and prepared presentations. Thorough these methods they increased their scores from mid-term to final exams, and got aquatinted with responsibilities among group and organizations. They also experienced physical meanings from the usual daily life phenomena which could be connected to the engineering concepts and improved abilities as junior engineers.

The Effects of the Unplugged Class According to Learners' Attributes (언플러그드 수업의 학습자 특성별 효과 분석)

  • Seo, Bon-Won;Lee,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3
    • /
    • pp.291-298
    • /
    • 2012
  • The use of Unplugged Classes to easily teach th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widespread.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o discover which learner groups would benefit most from this method. Therefore,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learner's traits by examining score levels of post-class assessments made after Unplugged Classes. For this research, the learner's trait data has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students' propensity towards computer comprehension and students' natural disposition. In addition to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 learner's accomplishment level and the aforementioned data groups, meaningful applications of the data will also be recognized for practical use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valuab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utilize the Unplugged Class.

  • PDF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초등영어교육에 있어서 발음교육

  • 박매란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257-257
    • /
    • 1997
  • 우리 나라에서 초등영어 교육이 실시되는 연령층이 언어습득 분야에 있어 그렇게 일찍 언어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학습효율성의 측면 또는 언어숙달도 측면에서 과연 이로운지에 관해서는 학자들간에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많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의하면, 의식적 조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가 바로 발 음분야이기 때문에, 따라서 의식적 조작이 이루어지는 '형식적 조작기'이전인 10-11세 정도에서부터 음성언어 중심의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따라서 듣기와 말하기의 기능에 주안점을 둔 초등영어 교육은 감각과 놀이, 게임, 노래나 챈트 둥으로 흥미를 지속시키면서, 영어의 특질인 강세박자리듬언어(stress-timed rhythm language)의 특성올 초창기부터 듣기 및 말하기 훈련으로 지속적으로 연습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James Asher가 창안한 교수법인 천신반용볍(Total Physical Response)도 초기에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 없이 흥미 있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동기를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었다. 뿐만 아니라, 청취단계에 있어서 초기에는 귀로들은 외국어를 무조건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인 인지로 끌어내어, 점차 이와 같은 인지훈련을 반복함으로써 결국에는 기억에까지 도달하려 하는 초기학습에 중한 역할을 차지하는 학습법이다. 음성학적인 측면에서 초동영어 교육의 시작단계인 3학년에서는 특히 분절음소 차원에서 영어의 자,모음이 우리말의 자,모음과는 다르다는 차이점을 배우게 되고, 초분절 음소 중에서는 강세와 리듬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을 들려주어 정확한 발음을 해 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6차 교육과정의 영어교육 목표가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 에 그 목표를 두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작단계부터 반드시 정확한 발음을 지녀야 하는 가의 문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확한 발음은 그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이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흔히 경험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초등영어 교육과정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을 심어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측면은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는 지적인 학습활동보다는 정의적인 학습활동의 전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Teaching Behavior Elements and Analysis of Instructional Types Generated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Classroom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 Yang, Il-Ho;Ser, Hyung-Doo;Jeong, Jin-Woo;Kwon, Yong-Ju;Jung, Jae-Gu;Seo, Ji-Hye;Lee, Hea-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3
    • /
    • pp.565-5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teaching behavior and classify instructional types through the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s. 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t Seoul city and Kyungkido. The topic of lesson was 'How the weight of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to sink in the water'. Each class was recorded and analyzed that. The teaching behavior elements were used inductional analysis method. The instruc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instructional organization, teaching strategies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level of openness of inquiry at science classroo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analyzed by 7 science educa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discourse showed that there are 23 types of teaching behavior elements. Used teaching behavior elements revealed the differences from each teacher. There were 7 types among the 12 types of class and the most common types of instruction were unsystematic, teacher-centered, and guided-inquiry. The result showed that guided inquiry type was found more than open inquiry type and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content-centered instructional, superficial inquiry process showed characteristic.

대학에서의 e-learning 활성화를 위한 대책과 향후 지원 방향

  • 김두연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8
    • /
    • pp.5-12
    • /
    • 2004
  • 최근 국.내외적으로 e-learning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e-learning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정부의 관련 부처들도 e-learning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관련법을 제정하거나, 전문 기관을 신설하고, 각종 지원 제도를 정비하는 등 다각도로 구체화되고 있다. 산업계에서도 e-learnin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많은 투자와 활동들이 전개되고 있으며, e-learning을 통한 교육 시장 또한 급속히 활성화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함께 대학이 이미 e-learning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대학내 교수학습센터 등을 설립하여 활발하게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e-learning의 국내시장 규모는 2002년도에 1조 7천억원 규모에 달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2조 5천억원으로 전체 교육시장의 4.5%를 차지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Letters and Expressions in View of Semiotic (기호학 관점에서의 문자와 식 분석)

  • 김선희;이종희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59-76
    • /
    • 2003
  • Algebraic signs are important o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of algebr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letters and expressions in textbooks by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considered the introduction and extension processes of algebraic signs didactically. We also categorized the signs, and looked into textbook problems in view of semiotic. The result is that textbook is constructed in syntactics and semantics. Finally, the assessment of 7th grade students' competence in syntactics, semantics, syntactics+- semantics, pragmatics, and problem solving shows that students' ability in syntactics and pragmatics Is a predictive variable for algebraic problem solving.

  • PDF

Study of Textbook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Reform - Focused on Middle School Education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컴퓨터 교과를 중심으로-)

  • Kim, Min-Kyeong;Kwon, Hye-Eryun;Choi, Sung-Hee;Tae, W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5 no.2
    • /
    • pp.170-184
    • /
    • 2001
  • At the Information Ag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omputer education taking role of computer literacy education as well a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has been magnified. Since 2000, the 7th curriculum reform has been influenced on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o implement in textbook duvelopment of cumputer educa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reform focused on middle school education. It includes the design of textbook, its contents and organization, various teaching-learning situation method, and evaluation including real situational problems fashioned to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 PDF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Prior Studies Based on Using Teaching Tools (초등수학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물의 활용 방안)

  • Kim Hae-Gyu;Park Seon-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2 s.26
    • /
    • pp.179-205
    • /
    • 2006
  • The 7th curriculum sets a basic direction based on learner centered teaching. To this end, the curriculum puts a focus on activity centered classes using teaching tools. In reality,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nd using the teaching tools in their classes difficult, although there are various studies going on to improve the practical use of the teaching tools in the classroom.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hose prior studies on using the teaching tools in classes for 4th, 5th and 6th graders.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riteria of Evaluating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 Lee, Chong-Hee;Kim, Ki-Yoen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3
    • /
    • pp.301-322
    • /
    • 2010
  • In this study, researchers developed the criteria evaluat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ducts, which contain such evaluation headings as cognitive abilities(; creativity, analytic thinking, expert skill and knowledge), performing ability of the Mathematically Gifted-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n a case study is carried out to apply the criteria to an actual condi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This case study shows that how teachers can apply those of model and criteria in actual condi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education. Through the criteria above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roductivity can be grasped clearly and evaluated in deta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