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콘텐츠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2초

인터넷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관점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Students' Problems of Internet-based Distance Learning)

  • 남상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02-107
    • /
    • 2006
  • 인터넷 원격교육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인터넷 원격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검증은 매우 필요한 연구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면대면 교육이 아닌 인터넷 원격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은 교육적 효과에 대한 검증에서 반드시 거쳐야하는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원격교육에 참가한 60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바탕으로 인터넷 원격교육의 학습자 입장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제점을 환경적 문제, 학생자신의 문제, 교수설계 문제, 운영상의 문제의 4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카테고리별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설문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오늘날의 인터넷 원격교육에 시사하는 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각 문제들의 성별, 직업유무, 나이에 따른 차이 유무를 통계적 방법론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f Career Satisfaction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 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39-349
    • /
    • 2013
  • 본 연구는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3년제 일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 131명이며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만족의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만족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수행, 전공학업 집중, 내적동기, 문제해결력, 교내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진로만족의 영향요인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집중, 교내실습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들 개념은 진로만족을 63.0% 설명하였다. 특히 전공관련 진로인식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기에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간호전문직의 가치를 전달하고 간호철학 정립을 돕기 위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 :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martphones During Class : Focused on students of Child Care Departments in colleges)

  • 모아라;이소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03-30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 원인과 결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학생 10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 원인]은 <의도적인 사용 목적이 있음>, <의도적인 사용 목적이 없음>으로, [부정적인 결과]는 <집중력 저하>, <교수자와의 갈등>으로, [긍정적인 결과]는 <학습 지원>, <기억 지원>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생의 수업 중 스마트폰 바람직한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교육전공의 핵심역량중심 학습 프레임워크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Framework and Curriculum of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Major)

  • 김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9-468
    • /
    • 2021
  • 본 연구는 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영어교육관련 교과역량과 핵심역량강화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영어교육과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본인의 역량에 대한 관심이 많으나 어떠한 역량을 강화해야하는지 또는 전공과 연계하여 어떻게 강화해야 할지는 모르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핵심역량 중심의 전공 커리큘럼을 통한, 전공과 연계된 핵심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국가적 요구를 반영한 영어교육전공의 커리큘럼 개발 방향과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방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필요한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양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Effects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 허미선;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1-34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설계 및 실행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 효과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총 21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83건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메타분석을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업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9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과 영역별 효과크기 분석 결과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정의적·인지적·사회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과 변인별 효과크기에서 직업기초능력은 큰 효과크기, 창의성은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효과는 교과목, 학년, 산업체 협력유무, 수업유형, 팀원 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메타버스기반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 활용 가능성 연구 - 예술교육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etaverse Education :Focused on Arts Education)

  • 고사양;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40-547
    • /
    • 2022
  • 온라인 교육은 미래 교육 변혁의 큰 흐름으로, 2020년 이래의 코로나19 사태는 이 변혁의 진행 과정을 더욱 가속화 시켰다. 온라인 교육은 안정성과 연속성 측면에서 현대 교육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전통적인 온라인 교육은 오프라인 교육에 비하여 상호작용과 학습 몰입감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예술실기 수업이면 사용자의 체험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온라인 교육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미래 온라인 교육의 관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은 온라인 교육의 발생 공간을 재정의하고, 온라인 교육의 교수 모델과 학습 및 평가 방식을 변화시켜 발전 잠재력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메타버스의 특징과 그 기술 발전에 대한 현황분석, 예술교육 중심으로 메타버스에 기초한 스마트 온라인 교육환경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용 콘텐츠 저작을 위한 개발 툴 기능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Functions of Authoring Tool for Educational Contents)

  • 오미자;신성욱;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01-112
    • /
    • 2014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교육현장에서 웹을 통해 무료로 교육 자료를 공개하고 활용하는 서비스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들은 대부분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교수자가 교육 목적이나 내용에 따라 자료를 개발하거나 수정해서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사용자인 교사가 기존의 교육용 콘텐츠 개발 툴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봄으로써 교사 입장에서의 개발 툴에 대한 요구사항 및 필요기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직관적 인터페이스 환경,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지원, 산출물 버전의 다양화 등 10가지가 도출되었으며, 필요 기능으로는 외부자원의 연결, 포맷 자동 변환 기능, 기존 문서의 사용 및 편집, 학습자 정답 작성, 숨기기 기능 등 13가지 기능이 제시되었다.

  • PDF

일-학습 병행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Online Education System for Work Based Learning Dual System)

  • 권오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63-168
    • /
    • 2013
  • 국내 대학교육은 높은 진학률과 낮은 취업률이라는 과잉학력의 악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을 해소하고, 청년 실업 해소와 청년층의 노동시장 조기 진입을 지원 및 유도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선취업-후학습' 기회를 확대하고,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교육 훈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등장 하였다. MOOC는 교육, entertainment, social networking을 결합한 교수-학생,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교육환경으로 강의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온라인 교육환경을 활용하여 지식을 온라인으로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기술 및 공학교육에 꼭 필요한 실습교육을 캠퍼스에서 제공하는 멀티학습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재직자들의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자료구조 수업에서 온라인 자동평가용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문제은행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nk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Using Online Judge System in Data Structure Education)

  • 김성식;오소희;정상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대학에서 정보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기본이 되는 자료구조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자동평가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자료구조의 주요 토픽별 문제 은행을 개발하였다. 자료구조의 주요 토픽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평가 문제은행 70여 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온라인 자동평가 시스템에 탑재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적용 후 결과에 따른 학습동기와 몰입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원양성 대학에서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자료구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몰입하여 해결하는' 교수-학습 콘텐츠와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이버 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격증 취득자 중심으로- (Cyber impact on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Certificate holders in the center of-)

  • 정용걸;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59-165
    • /
    • 2012
  • 본 논문은 자격취득과정 교육생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 중에서 158부를 회수하여 SPSS 18.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총158명 중에서 남성이 146명(92.4%) 30대와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사이버강의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력은 대졸 이상의 집단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기혼자들의 사이버강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이버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에서는 여성, 고 학력자, 기혼자의 집단에서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전체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74.5%, 신뢰도는 88.7%로 상당히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학습동기, 학습 분야에 맞춰 다양한 교수설계와 콘텐츠를 지원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