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자 평가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System (교수-학습 평가 시스템 구현)

  • 이미영;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6-258
    • /
    • 2004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교육시스템의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와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교육평가시스템은 부족한 편이다. 현재의 교육평가의 경우 교수자가 기계적으로 학습자의 응답에 대해 정, 오답을 체크하고 단순히 점수화 된 결과만 출력한다. 학습자 오답 응답에 대한 교수자의 적절한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곤란 및 학습결손에 대한 정보 취득이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교수자 자신의 교수방법과 교수 내용 혹은 출제된 문제의 적절성 등에 대한 정보 취득은 어려울뿐더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적이며 단순 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난이도와 이원분류를 문제 출제 시 적용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지도 및 학습장애 등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으며 교수자는 출제된 문제의 적절성과 교수방법 또는 교수 내용 등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 (교수방법의 효율화를 위한 웹 기반 진단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You, Sun-Kyoung;Lee, Mee-Je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3
    • /
    • pp.197-205
    • /
    • 2003
  •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 a teacher should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learners. Diagnostic evaluation is generally used to grasp a knowledge level of learners. However, it is not easy to take a diagnostic examination in every class because of time limitation. Accordingly, we propose a web bas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 In the proposed system, it is possible for teachers to feed diagnostic evaluation questions on the web at any time and for learners to take an online diagnostic examination without space and time limitation. In addition, the proposed system automatically grades the diagnostic evaluation and provides a teacher with various statistical data that can be a criterion to decide a proper teaching level.

  • PDF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

  • 이은덕;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71-273
    • /
    • 2004
  • 최근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World Wide Web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상호작용적인 웹 기반 협동학습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의 대부분은 일정한 기준이 없이 그룹이 편성되거나 오프라인에서 그룹이 편성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협동학습 이후 평가가 없거나 오프라인에서 평가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웹 기반 협동학습은 외형상으로는 협동학습을 표방하지만 완벽한 웹 기반 협동학습이 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웹 기반 협동학습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학습자의 적극적 협동수행 유도와 학습효과의 증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룹 구성부터 시작하여 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웹 상에서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일정한 기준을 통한 성향조사를 통해 교수자가 웹 상에서 동질적, 이질적 성향의 그룹 편성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교수자가 학습자의 성향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적당한 그룹의 편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웹 기반 협동학습 종결 후 자기평가, 동료평가, 그룹평가, 그리고 교수자 평가와 같은 다양한 평가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평가에 의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협동학습에서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동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Supporting Component on Web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교수지원 컴포넌트의 구현)

  • 길준형;신호준;김성원;김행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67-669
    • /
    • 2001
  • 현재, 사회가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교육분야에서 컴퓨터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교실위주의 수업보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 되는 WBI(Web Based Instruction)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WBI에서는 교수의 강의가 끝나면 수업 평가 후 학생에게 수업의 결과를 알려주는 형식이었고, 도한 학습자에게는 일률적으로 평가가 적용되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할 수가 없었으며, 교수의 입장에서도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수업의 질을 높이거나 내용을 변경시킬 근거가 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수준별 학습을 위한 단계별 예비 테스트와 학습 후 테스트의 평가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또한 교수가 평가의 준거를 입력하고 학습자의 평가결과와 교수자의 평가준거를 비교할 수 있는 교수지원 컴포넌트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이 되고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과목을 변경할 경우, 그 결과에 따라 교수 방법의 변화나 수업내용을 변경하고자할 때 용이하다. 또한 유사한 다른 패러다임의 WBI 시스템에서도 이미 개발된 컴포넌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 PDF

실시간 평가시스템이 학습태도를 바꿀 수 있는가?

  • Han, Beom-Su;Han, Gyeong-Su;An, J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5-37
    • /
    • 2003
  • 정보기술의 발전은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새롭고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가상대학이나 사이버 교육 등과 같은 온-라인 교육 뿐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가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이해하고 적전한 피드백을 주기위한 방법들이 제한적이고 부족한 면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동적인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정도에 대한 교수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실시간 평가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among Peer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on Argumentation Writing in the 'Biology Logic and Essay' ('생물교과논리 및 논술' 에서의 논증글쓰기에 대한 동료평가-자기평가-교수자 평가 간 상관관계 분석)

  • Kyunghee Ka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7 no.1
    • /
    • pp.75-8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among peer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of argumentation writing conducted in the 'Biology logic and essay' class. To this end, 14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rote argumentation four times, and peer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were conducted on these results. The peer evaluation for argumentation writing averaged 2.70 points, the self-evaluation average was 2.68 points, and the instructor evaluation average was 2.71. Looking at the average of each sub-evaluation area, scientific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peer evaluation, and the composition area was the highest in self-evaluation. In addition, the area of scientific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the instructor evalu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ndard devia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self-evaluation was the larg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type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eer 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and there was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y evaluation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in all four areas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argumentation, composition, and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between peer 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areas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omposi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and instructor evaluation only in the area of 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eer evaluation is highly likely to be applied in the 'Subject logic and essay' class.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ype of evaluation in order to use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PCSI Evaluation System Based on Rough-Fuzzy Inference (러프-퍼지 추론기반 PCSI평가 시스템)

  • Kang,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89-9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학습에 임하는 학생과 교수자의 성향을 좀더 객관성 있게 검출, 면학 효과를 증진시키고자,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 소통에 필요한 PCSI(Personal Coaching Styles Inventory)검사 모델을, 러프-퍼지 추론 기반에 의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onstructivism Abilities-based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to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of Underachievers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 Choi,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41-1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제안한다.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에서는 과거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와는 차별화된 방법을 적용한다. 본 모형에서는 먼저,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학습능력을 규명한다. 이후 규명된 학습능력을 일정 기간 이후 평가할 평가 방법을 결정한다. 학습능력과 그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 이후 실제 수업을 진행한다. 본 모형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단순히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 방법이 아닌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학습능력을 형성시켜주는 교수학습설계 전략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형성해야 할 학습능력을 기초능력과 핵심능력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구성주의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 PDF

Instructional Ratings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교수와 대학생의 수업평가 결과)

  • Kil, Yangso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271-275
    • /
    • 2022
  • We tested the difference and the relationship in instructional ratings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Subjects were 6 professors and 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eaching competition as a rater. They completed instructional rating forms consisted of 10 criteria for 11 participants according to Licker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ean scores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 ② Correl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evaluations was .78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high.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students evaluate as reliably as professors. They also imply that pre-service college students can be utilized for teaching practice as meaningful peer evaluators.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instructional rating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were compared in a controlled setting. However, replication studies involving wide range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re needed for generalization si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restrict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instru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