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자 요구분석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7초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에 따른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간의 서비스 요구격차 (Differences in Service Needs between Instructor-Learners and Information Managers for Mobile Devices Adoption in Cyber University)

  • 조상용;김종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65-17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오프라인 기반의 사이버대학과 2개의 순수 온라인 기반의 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각 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의 차이점과 해당 대학의 학습자와, 교수자의 이동성매체를 통한 서비스 요구사항들이 정보제공자와 어떠한 격차를 보이는지에 대한 요구격차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동성매체 도입에 따른 서비스 요구를 범주화하고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 유형모델을 제시 하였다. 심층면담에 근거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서,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에 대한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 간의 서비스 요구를 9가지 범주(컨텐츠 품질, 적시적 인포메이션 서비스, 교수학습자간 커뮤니케이션, 저작권 문제, 서비스 접근성, 서비스이해도, 서비스 선호도, 서비스 표준화, 교수-학습자와 정보제공자간의 컨센서스)로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뷰 결과의 분석을 통해서, 4개의 사이버대학이 중요시 하는 서비스 요구의 범주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이버대학의 이동성매체 도입의 유형을 '요구적극 반영형', '신중도입 검토형', '경쟁적 도입 반영형', '요구소극적 반영형'으로 분석하였다.

  • PDF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 Needs for Instructional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 김미정;안영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41-56
    • /
    • 2017
  •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 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을 기획 역량, 실행 역량, 관리 역량, 지원 역량으로 구분하고 35개의 하위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동시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는 35개의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사회관계망 관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육 요구 최우선순위 항목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에 위치하고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에 따라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나타났다. 차순위 항목은 '학습 자원 및 정보 수집 역량', '교수매체 개발 역량', '교수매체 활용 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행 재정 이해 역량', '집중력 개발 역량', '공정한 학생 평가 역량', '팀워크 구축 역량'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들은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우선순위 개발 역량으로 판단되며 개인차원과 조직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 교육환경에서 실시간 학습자 평가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for a Real-Time Student Evaluation System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 박찬정;현정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9-322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교육에서 주로 활성화 되어 있는 데이터 기반의 학습자 평가시스템이 아닌 초 중등학교 면대면 교실 수업 중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유의미한 학습활동 정보를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로 축적하고 분석하여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는 학습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주고 교수자에게는 수업방향을 제고하며 부모들에게는 자녀들의 학습활동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는 학습자 분석 및 평가 시스템을 개발 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스마트기기 기반 수업지원 도구를 조사하고 도구 사용 후 발생되는 학습활동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할만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소개하여 향후 학습자평가 시스템에 대해 제언한다.

대학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 (Analysis of Facult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based Adap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신종호;손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9-48
    • /
    • 2021
  • 인공지능을 활용한 적응형 학습은 최근 국내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와 학습격차 증가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이 성공적으로 대학 수업에 도입되고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적응형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대학 수업에서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A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62명의 교수들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교수들은 학생 맞춤형 피드백 제공의 어려움, 학생들의 사전학습 부족 및 기초학력 저하를 수업 운영에서의 문제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 적응형 학습에 대한 교수들의 지식 수준은 낮았지만, 적응형 학습 적용 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형 학습 적용을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활용이 쉽고 유용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적응형 학습 적용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적응형 학습의 성공적 도입과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실감미디어 창업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Immersive Media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Focus on Professo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안혜진;이일한;서국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5호
    • /
    • pp.185-202
    • /
    • 2024
  • 본 연구는 실감미디어 창업 교육과정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방향성을 짚어보았다. 실감미디어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대학 창업 교육에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교육 가이드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감미디어 창업교육의 필요성과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또한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실감미디어 창업과 관련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자들은 실감미디어 창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였으나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즉 아이디어 개발부터 시작하여 비즈니스 모델, 시장 분석, 자금 조달 등 종합적인 역량이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감미디어와 관련한 기술적·재정적·교육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대학 등 외부의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산학협력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실감미디어 창업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교수자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실무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산업 전문가와의 협력 방안에 근거한 교육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감미디어 창업교육의 구성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성적인 연구방법으로 제시했다는 한계를 지녀, 향후 연구에서 AHP 분석이나 델파이 분석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정량적 우선순위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 PDF

Max-Min을 이용한 요구분석 모형 제안 (A Suggestion of a Model of Needs Analysis By Using Max-Min)

  • 남보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30-203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 기술 영어 교과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기 위한 요구분석의 한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자들의 요구를 학습 내용에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표준화 점수에 의해 교수요목 순위 선정을 하는 연구에서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가 설문지에서의 Likert 5점 척도보다 크기 때문에 자료를 해석할 때 왜곡될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해석의 왜곡을 최소화 해줄 수 있는 방법이 Max-Min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표준화 점수 방법을 이용한 교수요목 선정과 Max-Min 점수 방법에 의한 교수요목 선정의 차이를 밝히고 그 의의를 제시해 본다. 순위 변화율은 기계 금속 관련 항목, 토목 건축 관련, 화공 섬유 관련이 각각 25%, 25%, 55%의 변화율을 보였다. 요구분석은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또한 요구분석이 언어 교수요목 설계의 출발점이라고 할 때 이에 대한 정교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앞으로의 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표준화 방법이나 Max-Min 방법 문제뿐만 아니라 심층연구를 통해서 각 집단의 중요도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서도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어 궁극적으로는 요구분석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직무능력표준 운영을 위한 교수자 역량 탐색 (Explor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in NCS)

  • 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16
  •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정책이 고등교육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 중심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있으며, 교육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NCS의 연구가 교육과정개발 사례에 초점을 두고 있는 한계점을 지적하며, 지속가능한 NCS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전문가인 교수자에 두고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역할과 역량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직무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자질을 인적자원개발(HRD)관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학습 수요자 요구에 관한 연구 : SNS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ers' Needs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Focusing on SNS)

  • 이명숙;이경미;임영규;한경임;박혜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59-261
    • /
    • 2016
  •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 수요자의 요구와 현재 편성되어 있는 교양교육 교과목들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다. 학습 수요자의 다양한 생각들을 SNS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고 시각화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로는 학습자는 교수자와 상호작용 잘되는 수업 방식,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자기주도 학습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양교육 교과목 개설로서는 취업에 필요한 외국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과목,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과목들을 요구하여 실제 균형에 맞게 개설된 교과목과는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캐릭터 에이전트 기반 코스웨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A Design of Agent-Based Present Interface for Courseware)

  • 최진용;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75-280
    • /
    • 2008
  • 교수 학습용 디지털 콘텐츠에서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위단계의 프로그래밍 및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래밍이 요구되지 않는 친숙한 'Pencil & Paper'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 인터페이스에서는 디지털 잉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교수자가 프레젠테이션 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또한 교수자를 대신할 가상 프레젠터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이나 전자 책,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용 컨텐츠 개발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적응형 코스웨어를 위한 요구 분석 (Requirements Analysis for an Adaptive Courseware)

  • 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0
    • /
    • 2012
  • 본 연구는 적응형 학습시스템을 위한 요구 사항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적응형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닝 활성화와 더불어 적응형 코스웨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응형 코스웨어 개발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제대로 반영한다면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응형 코스웨어 활용이 높은 교육대학 컴퓨터 교육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응형 코스웨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도출한다. 연구 방법은 설문을 통한 요인분석과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적응형 코스웨어의 중요한 요소로 학습자들의 개인차에 따른 학습 스타일에 대한 적응성 뿐만 아니라 교과 내용에 따른 교수 모형의 적응성 제공도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적응형 코스웨어에서 적응성을 지원하기에 우선순위는 학습자 수준 및 학습 목표, 학습 스타일 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 적응형 코스웨어들이 학습 스타일의 적응성을 제공하고 있는데, 추후 적응형 코스웨어 개발시 교수 목표 및 교수 모형에 대한 적응성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