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법

검색결과 1,011건 처리시간 0.033초

스튜디오 수업에서 교사의 역량이 기술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structors' Capacity on Technology Integrated Education in Interior Design Studios)

  • 조명은;김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70-77
    • /
    • 2015
  • 현재 기술과 정보통신의 발전은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수업에 활용 가능한 기술개발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교사들이 수업을 위해 활용하게 되는 다양한 기술과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기술사용과 가치, 기술 숙련도를 이해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기술통합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특히 디자인툴들이 빈번히 사용되는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의 선생님의 기술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스튜디오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7개 대학의 스튜디오 수업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설문과 면접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조사 대상 교사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법에 대한 설문을 병행하였다. 스튜디오 수업의 디자인 과정에서 학생들이 기술툴들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법이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교사들이 디자인툴의 사용에 익숙하고 그것의 활용도를 폭넓게 이해하고 있을 때 학생들의 기술통합수업이 가능하였다.

A study on non-face-to-face 5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pplying extended reality (XR)

  • Lee, Byong-Kwon;Lee, Kyoung-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25-132
    • /
    • 2021
  • 코로나(COV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비대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에 제시된 교수학습방법은 대면 형태의 실습 및 체험형 교수법을 제시하고 있어 비대면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혁신원에서 선정된 교수학습 방법인 5AL(5Activity Learning) 교수법을 대상으로 확장현실(XR:eXtended Reality)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5AL교수법은 문제중심학습(PBL Learning), 하브루타학습(Havruta Learning), 플립드학습(Flipped Learning), 스마트엑티비티학습(Smart Activity Learning) 및 게이미피케이션학습(Gamification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출시된 확장현실 콘텐츠를 5AL과 접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5AL의 5가지 학습법을 통합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험을 통해서 학습 효과를 확인했다.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edictor Variables in Science Teaching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 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1-683
    • /
    • 2003
  •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서 교과교육학지식과 이와 관련된 유의미한 예측변인을 조사하였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서 교과교육학지식-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교육과정지식-을 조사하였다. 예측변인을 조사하고자 교사들의 학력, 경력 년 수, 과학전담교사 선택여부,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 교수법, 과학교수태도에 관한 문항을 함께 조사하였고, 이를 위하여 332명의 초등현직교사가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피어슨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모두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과학교수법,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교사들의 경력 년 수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의 방향을 가졌다. 이는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신뢰감이 있는 교사일수록, 과학교수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지시적인 교수법보다 비지시적인 교수법을 사용하는 교사일수록, 또한 교사들의 경력 년 수가 많을수록 6개 영역의 교과교육학지식이 모두 많은 것으로 결론 짓는다. 경력 년 수가 적은 예비교사나 초임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방안을 구성할 때 교과교육학지식을 설명하는 위와 같은 예측 변인들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수학에 필요한 기초 개념 이해도 측정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1호통권21호
    • /
    • pp.57-68
    • /
    • 2005
  • 무한, 극한, 연속, 미분가능과 같은 중요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대학수학 교양과정의 미분적분학 수강생들에게 필수적이다. 이들 개념의 이해 수준을 부록1, 2, 3을 통해 알아보고 평가를 분석한다. 평가결과는 이해도가 낮은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이 필요성을 알게 하고 수학적 기본개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정의의 정확한 이해를 돕고 구체적인 예제를 제시하는 교수법 개발에 수학교수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 PDF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in van Hiele's Geometric Teaching Using GeoGebra)

  • 임현정;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35-452
    • /
    • 2016
  • 본 연구는 기하학습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였을 때 도구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와 이 도구화가 교수법과는 어떤 관계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공학환경에서의 van Hiele 교수학습 모델에 근거한 4차시 학습지도안이 구성되었고 2015년 5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도구화는 준비기, 적응기, 응용기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학습차시를 진행하면서 시각화에 의존하는 준비기와 적응기에는 실제 시행착오적 과정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가 덜 필요한 단계, 즉 응용기에서는 도구의 역할이 자신의 추측과 정당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도구화 과정에 따른 교수법을 구성하여야 하며, 공학 도구사용이 학생의 학습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변화되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교수법에서 학생들의 도구화 과정에 대해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된다.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Mathematical Pedag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the U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7-507
    • /
    • 2011
  •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드 모르간의 수학교육 철학과 교수법의 재조명 (De Morgan's Thoughts and Pedagogics of Mathematics Education)

  • 손홍찬;고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5-190
    • /
    • 2007
  • 드 모르간은 집합 단원에서 나오는 이름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알려진 수학자이다. 그는 19세기 영국의 대수학과 논리학에 영향을 끼치는 등 매우 폭넓은 연구업적을 남긴 수학자임과 동시에 위대한 수학 선생이기도 하였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드 모르간의 생애와 수학에서의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후, 그의 수학교육에서의 철학과 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훌륭한 수학 교사가 갖추어야할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변형 Moore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lasses Conducted by Modified Moore Method)

  • 김성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65-8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몇 연구자들에 의해 대학 강좌에 적용된 변형무어 교수법들을 살펴보았다. 이 교수법들로 실시된 구체적인 수업 형태를 소개, 비교 분석하고, 국내의 수학 관련 전공의 현실에 맞는 변형무어교수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