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유아상호작용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성 연구 (A Valid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Competency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Teachers)

  • 이영미;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3-1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 지표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72명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역량군과 하위역량지표 구성 모형에 대한 적합도, 타당도(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증된 4요인은 '디지털 기술 이해',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 기술 기반 상호작용', '디지털 윤리 이해 및 실천' 역량군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할 수 있었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각 디지털 역량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는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Burnou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 홍길회;정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3-280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우울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 인천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79명으로 직무스트레스, 우울, 직무소진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평균, 표준편차,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중 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모든 하위영역은 우울,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과 직무소진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은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우울은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에 직접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뿐만 아니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은유(metaphor)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 김혜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57-362
    • /
    • 2023
  •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놀이중심교육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놀이중심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4년제 및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들로 최종 18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 범주에서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환경, 즐거움·행복, 자율, 성장발달, 상호작용관계, 유아주도, 삶의 본, 흥미, 창의성, 잠재력, 가변성, 일상, 시작과 끝의 모호성, 자연스러움, 기타 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중심교육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비유아교사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어머니의 정서표현력, 양육효능감,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arenting self-efficacy, verbal control style and child's peer interaction, ability to solve interpersonal problem)

  • 김현지;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3-29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력, 양육효능감,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실제적인 양육방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5곳의 만 4~5세 유아 212명이며, 이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유아들에게 직접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 부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 양육효능감과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명령적 통제와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 지위적 통제와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 인성적 통제와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과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명령적 통제와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 남미경;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9-210
    • /
    • 2015
  •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적 역할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반 9곳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1명; 평균연령 6.24세)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줍음, 교사-유아 관계,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검증,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남녀별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유아의 수줍음 특성,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아의 경우 수줍음 특성과 교사-유아 관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남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교사-유아 간 친밀관계 수준이 낮고, 교사-유아 간 갈등관계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즉, 남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는데 있어, 교사-남아 간 친밀관계는 보호요인으로, 교사-남아 간 갈등관계는 위험요인으로써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줍음 특성이 있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서석원;박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293-30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the impa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o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s. We used data from 970 children aged between 49 and 55 months and 970 homeroom teachers from the fifth Korean Child Panel (2012)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model fitness was excellent afte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model of structure to testify the relationship and effect among teaching efficacy,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peer-play interactions. Fir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did not influence peer-play interactions directly, but g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he classroom environ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the variabl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fully effectiv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of th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verified through a bootstrapping method.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Withdrawal of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 이유선;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9-267
    • /
    • 2015
  • 본 연구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에 의한 아동행동평가척도인 K-CBCL에서 임상범위에 해당되는 만 3세-5세의 위축유아 12명이었다. 이 유아들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 유아에게 주 2회 35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불안척도, 또래 상호작용척도 및 뇌파검사를 한 후 결과처리를 위해 맨 휘트니(Mann-Whitney-U)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은 감소하였고 긍정적 또래상호작용과 뇌파의 정서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루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tudy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Production of Tools in Domest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Ha, Yan;Lee, Jong-M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21-231
    • /
    • 2020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날이 갈수록 연령과 상관없이 과도하게 스마트기기에 많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의존도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유아교사 및 유아 대상으로 무분별한 스마트폰 기기 노출 등으로 인한 스마트폰과의존 등 다양한 정보윤리의 문제점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유아대상 정보윤리교육의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윤리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 사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유아들에게 정보윤리교육을 균형있게 실시하며, 상호작용이 활발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에게 정보윤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바람직한 유아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STEAM 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STEAM-based Smart Apps that support Children's Free play)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0-130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문헌 및 자료수집, 현장조사를 통하여 유아의 자유놀이에 STEAM기반 스마트 앱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개발된 'Free Play' 앱을 설치하고 자유놀이 시작, 중간, 종료 단계에서 유아의 놀이에 대해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는 교수전략이다. 이러한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핵심인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와 유아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전략이자 공학과 교육이 융합된 발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추후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앱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