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유아상호작용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유가공산업의 발전과 전망 - 시유

  • 김필주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5년도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 웰빙시대의 우유.유제품의 새로운 발견
    • /
    • pp.107-116
    • /
    • 2005
  • 최근 사회의 다변화, 고령화 및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증대 등으로 인하여 세분화된 소비계층을 겨냥한 다양한 신제품들이 출시, 판매되고 있는 반면, 일반 백색시유를 제외하고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시대의 도래와 함께 첨단 기능성 소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유가공업계도 이들 소재를 응용한 연구개발과 공정개선을 통한 신제품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음용유 시장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유부문은 저출산율과 수입개방 등의 악재로 인하여 점차적인 감소 추세에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국내 유가공업체는 원유소비 증대와 유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제품의 다양화, 고급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유제품의 적극적인 홍보 등의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 단순가공에 의한 유제품 생산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공정 개발, 신물질 탐색 등으로 생산비 절감, 수율 증대, 다양한 형태의 유제품 개발, 그리고 기능성 소재의 탐색 등 건강 지향적 기능성 식품 개발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국공립 및 사립대학교 및 정부 출연기관과 일반 유업체의 공동과제 실시 확대로 기능성 식품에 대한인식제고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TV 매체를 통한 홍보, 우유의 교과서 반영, 자조금 활성화 등으로 어릴 때부터 우유 먹는 습관을 형성하여 시유 소비기반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임과 아울러 교육당국과 협력하여 학생과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한 우유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실시 및 중 ·고등학교 급식화대 추진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낙농진흥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 PDF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역할놀이 유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A Pre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etend Play Competence)

  • 한찬희;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9-124
    • /
    • 2015
  • This study developed a teacher training program aimed at promoting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in relation to pretend play and examined its effects on the teachers'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 in pretend play. Regarding the learner's job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a small group session of 90 minutes per week was conducted for 8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on the teachers' knowledge and the efficacy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the teachers' interaction by observ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xecution. The fourteen child care cent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both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in which 38 teachers were included. In conclusion, the pretend play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teacher was obser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knowledge, efficacy and interactions in pretend play.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부모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모형 분석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강미숙;송승민;박남심;이승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17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on 321 child care teacher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ed among variables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payment/promotion and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 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confirm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 are preceding factors for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Significa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hild care teachers'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relationships to promot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 박보경;박선영;이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infant ca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 effect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eacher-parent partnership, their sensi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eacher-parent partnership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 indirectly influence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eacher sensitivity.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sensitivity,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interactions for infan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eacher sensitivity as a mechanism to explain how teacher-parent partnership is link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nhancing teachers' sensitivity and, ultimately, providing high-quality child care to infants.

취약계층 어린이를 위한 책 배달, 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Book Delivery and Reading Program for Vulnerable Children: Focusing on the Case of Library A in Gyeonggi-do)

  • 공정자;조미아;이부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1-154
    • /
    • 2023
  • 본 연구는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취약계층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행한 찾아가는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A시 도서관은 방문교사를 활용하여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책을 비대면으로 책만 배달하거나, 대면으로 책을 읽어주고 책 배달을 함께 하였다. 2022년 프로그램 참여자는 103가정 158명으로 이 중 책 배달은 67가정 103명, 책 읽어주기는 36가정 55명이다. 취약계층 어린이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사업 시작과 종료 시기에 독서 효과 측정지표를 설문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방문교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분석결과 책 배달과 책 읽어주기 중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고 상호작용이 큰 책 읽어주기의 효과가 높았다. 연령상으로 독서경험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유아가 초등학생보다 독서 효과가 더 좋았다. 계속 참여집단보다 신규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약간 더 효과적이었다. 이외에 프로그램 시행 후 독서 흥미, 독서 태도, 독서환경, 독서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사회성, 언어능력, 독서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도서관 이용률 등에서 향상되었다.

직장내 탁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영·유아를 중심으로 - (Infant and Toddler Group Care at the Mother's Work Place)

  • 지혜련
    • 아동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
    • /
    • 1986
  • 한국은 급속도로 산업화해감에 따라서 점점 더 많은 어머니들이 가정 밖에서 일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어머니 부재시의 영 유아 양육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 영(1986 a, 1986 b)의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녀를 가진 여성의 취업율은 훨씬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자녀 관리문제에 대한 대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존 제도하에 있는 시설로써는 취업모의 요구에는 물론 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인력의 활용과 변화하는 가족 구조에 맞추기 위한 제도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가정 외의 자녀 양육에 대해서는 다양한 선택의 여지를 둘 것이 권장되고 있으며(Beck, 1982), 국내에서도 대안책이 논의되어 왔는데(한국여성개발원, 1984), 본 논문에서는 특히 직장내 탁아소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여성 종사자가 많은 직장에서 부터 우선적으로 직장내 혹은 직장 근처에 탁아소를 설치함으로써 여성이 직장에 더욱 충실할 수 있고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전한 2세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본다. 특히, 3세 이하의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시급한 현 시점에서 3세이하의 영 유아를 위한 직장내 탁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대안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대안적 모형 연구에서 취업모의 자녀양육지원제도에 관한 국제적 추세와 외국의 대표적인 모형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한국의 실정에 맞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취업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과 제도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 할 개념은 무엇보다도 질적 수준이다. 질적 수준에서는 인적 환경의 측면으로 교사의 자질, 교사(양육자)대 아동의 비율, 아동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이 고려되었고, 물리적 환경 및 교육프로그램의 철학적 배경 및 건강 위생 측면이 가장 핵심적인 측면이 가장 핵심적인 측면으로서 고려되었다.

  • PDF

교사-유아의 친밀감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성의 중재효과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 이예진;신유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05-41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based on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52 three-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a day care center and pre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measured on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This measure is a type of teacher's report with ratings based on a teacher's daily observations. This scale is composed of closeness items on the degree of warmth and open communication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interactions were measured with a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is measure is composed of play interaction items, play disruption items and play disconnection. Negative emotionality was measured with Child Behavior Questionnaire. Teachers measured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scales. Parents reporte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The research showed that negative emotiona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 of teacher-child intimacy, play interaction, play isolation and play disruption. The magnitude of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lay disconnection as well as play interaction was greater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eacher-child intim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y disruption only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와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성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 a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Achievement)

  • 권영례
    • 아동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43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which was compared with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Two teachers from two different kindergarten groups were trained and observed during conversation and science corner activities. Sixty children were observed during science corner activities and tested with a scientific achievement instrument.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an teacher's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achievement than teacher's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children's scientif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 PDF

행동주의와 상호작용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교수행위 분석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Behaviorist and Interactionist Theories on Pedagogy in Kindergarten)

  • 김수영
    • 아동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4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istency between theor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eaching practice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4 teachers selected from a pool of 125 teachers in the city of Taegu. The instrument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the teacher belief test inventory (TBTI) and teacher practices observation form (TPOF).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teachers supported the interactionist theory. (2)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behaviorist theory and teaching practices. A positive but non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interactionist theory and teaching practices. (3)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amount of teaching experience on behaviorist theory and teaching pract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