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성장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1초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er Development St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미경;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3-174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유아 교육기관의 리더십 방향과 유아 교사의 성장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의 개인특성(학력, 결혼유무, 재직기간)과 조직특성(기관유형, 교사 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인 교사와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는 개인특성에서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교사가 능력구축과 안일안주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기간이 4년 이상인 교사가 능력구축과 열중성장단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에서는 어린이집 교사가 열중성장단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 교사발달단계,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은 높은 상관이 있고, 특히 교사발달단계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발달단계에서 안일안주단계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가 지각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발달단계도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중성장단계가 조직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마인드셋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ndset regarding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 방정숙;김리나;곽기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485-50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마인드셋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학생의 수학적 능력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마인드셋을 측정하기 위한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활용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문항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능력의 변화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 '수학적 능력의 변화에 대한 고정 마인드셋', '타고난 수학적 능력에 대한 마인드셋'이라는 세 가지 요인이 발견되었다. 이 세 가지 요인별 점수를 변수로 설정하여 마인드셋에 따른 교사 집단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가장 많은 연구 참여자가 속한 집단은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교사'이고 다음으로 '중립 마인드셋을 지닌 교사'가 많았다. '강한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교사'와 '고정 마인드셋을 지닌 교사'가 뒤를 이었다. 각 프로파일에 속한 교사의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여 해당 교사의 응답 결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교사의 마인드셋의 분류,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의 성장 마인드셋의 경향, 타고난 수학적 능력에 대한 교사의 마인드셋 연구 등의 측면에서 마인드셋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업성취, 교사의 자율성 지지 및 행복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 모형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Growth Mindset in the Link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ppiness)

  • 매기;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81-89
    • /
    • 2023
  • 본 연구는 학업성취와 행복의 관계에서 교사의 학생에 대한 자율성 지지의 매개효과를 성장 마인드셋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행복을 높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광저우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공대생 중 기업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 396명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 Win. 27.0과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 신뢰도, 상관관계,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 교사의 자율성지지, 성장 마인드셋, 행복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은 학업성취가 교사의 자율성 지지를 경유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성취와 행복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율성 지지의 매개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행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 운영이 예비교사의 과학문화소양 및 핵심역량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y Program Operation on Science Culture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Growth for Pre-Service Teacher)

  • 김현정;김성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9-3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이 예비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문화소양과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K대학교 255명의 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과학문화소양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핵심역량 성장 인식은 사후검사만 실시하였으며, ANOVA로 역량별 성장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문화소양에서 예비교사의 과학문화소양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평균이 더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핵심역량의 성장 인식 분석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70.6%의 예비교사가 성장을 보고하였으며, LSD로 사후검증 결과 다른 핵심역량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방안으로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대학생의 학업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impact of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self-efficacy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오미평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85-294
    • /
    • 2024
  • 본 연구는 학업적 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중국 광동성의 한 대학에서 의도적으로 표본을 추출한 광저우 의과대학 구강학과 및 구강과학 기술을 전공하는 대학생 300명이다. 자료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간접효과 및 조건부 직접 효과분석 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소진은 교사지지, 성장 마인드셋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사지지는 성장 마인드셋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업소진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지는 매개역할을, 그리고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역할을 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학업소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키는 교사지지와 완충시키는 성장 마인드셋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의 없이 정의 가르치기: 예비교사는 어떻게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칠 수 있는가? (Teaching Definitions without Definitions: How Can Preservice Teachers Teach Differently?)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311-331
    • /
    • 2014
  • 예비교사들의 정의에 대한 도구적인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관계적인 교수학적 내용 지식으로 변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Kinach의 인지전략을 반영한 교수과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예비교사들이 '정의'와 '정의를 가르친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통념에 도전함으로서 정의의 재발명이라는 새로운 교수방법을 포용할 수 있는 동인을 부여하였다. 예비교사의 PCK '성장' 과정은, 정의의 교수법에 대한 백지상태의 PCK를 수학교육이론으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도구적 PCK를 확인하고 도전하며 변화 및 확장하였던 정반합(正反合)적 과정이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교사의 지식 성장과 교사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Professional Growth of a Novice Science Teacher in Open Inquiry Teaching)

  • 박기라;윤희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53-471
    • /
    • 2024
  • 개방형 탐구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하지만 과학교사 대부분이 개방형 탐구 지도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2년간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과학교사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형 탐구 지도의 어려움, 극복과정, 전문성 성장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면접자료, 문화기물자료를 구분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형 탐구에서의 전문성은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탐구 지도 시 경험하게 되는 교수실행과 관련된 영역, 학생과 교사 자신을 제외한 외부 환경과 관련된 영역, 교사 자신의 내적인 영역 등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연구자는 개방형 탐구 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학생들에게 적절한 비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이 성장하게 되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 시간부족, 과학실 기자재 부족,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같은 제도적인 제약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변의 자원을 파악, 활용하여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적인 고민과 갈등을 도움 받을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부재하여 어려움을 겪었고, 과학부장님과의 소통으로 용기와 힘을 얻으며 지도교사로서 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경험은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2년 후 지도교사로서 성장한 모습을 확인하였다.

ODA를 통한 모로코 ICT원조 성과와 시장진출 방안 (The performance of ICT ODA in Morocco and The business entry strategy)

  • 윤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7-11
    • /
    • 2010
  • 우리나라는 2009년 OECD DAC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6.25전쟁직후 세계 최빈국으로써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60년만에 국제사회에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으로 성장한 국제사회의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우리 나라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는 ICT, 교육 분야 등과 같이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를 특성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모로코는 2012년까지 9,000여개의 모로코 초중등학교에 ICT를 보급한다는 계획과 ICT 산업 육성을 국가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있어 금번 프로젝트는 모로코 교사의 ICT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의 ICT 교육시스템을 모로코 초중등 교사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교육쎈터 리모델링, ICT 기자재설치, 교사 커리큘럼 개발, 홈페이지 개발, 정책보고서 발간, 모로코 교사 초청 연수로 구분되어 있으며, 2009년 1월에 시작되어 2010년 11월에 완료된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모로코 초중등 교사 23만명중 년간 1,000명을 교육하고, 교육을 받은 교사는 소속지역에서 ICT Master Teacher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프로젝트를 통하여 우리나라는 모로코 교육 선진화에 기여하며, 한국 ICT 기자재를 활용함으로써 한국산 H/W, SW 및 교육컨텐츠의 우수성을 모로코와 인근 국가에 홍보하고,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북아프리카 진출을 간접 지원하였다. 또한, 본 프로젝트를 통하여 모로코를 비롯하여 2000년도부터 년평균 5.3%의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아프리카지역에 한국 ICT제품이 진출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국산 e-러닝 개발툴을 영어, 불어와 아랍어 버젼으로 추가 개발하였으며, 모로코 대학과 합작기업을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 PDF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직에 대한 염려 조사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 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3
    • /
    • 2018
  • 최근 들어 교사 성장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염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직에 대한 염려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가?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이전 음악교수 경험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93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비음악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에 대해 가장 높은 염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교육 단계가 높아질수록 예비음악교사들의 자신에 대한 염려는 줄어들고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염려는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이를 경험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낮은 염려의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세부적인 염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사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교사교육기간 동안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