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재배치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교사재배치(校舍再配置)를 위한 초등학교(初等學校) 특별교실(特別敎室) 선호경향(選好傾向) 비교(比較) -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교사재배치(校舍再配置) 대상(對象) 초등학교(初等學校)를 중심(中心)으로 - (A Comparison on the Trend of Preference about Classroom for Special Purposes Related with School Relocation in Elementary School - Concentrated on the relocation-needed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city -)

  • 정주성;최병관;박영숙
    • 교육시설
    • /
    • 제9권2호
    • /
    • pp.15-24
    • /
    • 2002
  • This study is performed to understand a trend of preference about classroom for special purposes related with elementary school relocation. It is anayz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eachers at work in the two schools having similar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desirable to locate rooms for science or practice in low story and music room in the lowermost or uppermost story. Rooms for art, linguistic education and computer had not limited any place. It is shown that the scale of each preparation room i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grade and more large scale is needed in higher grade. These results reflect that the present arrangement of classrooms for special purposes is not adequate and require more reasonable arrangement with the grade in the architectural plans for relocation-needed elementary schools.

교과교실형 운영을 위한 중등학교 교사공간 재배치 요인 분석 (An Analysis about Factors on the Facilities Relocation Based on Variation Type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5-32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for architectural plans about factors on the facilities relocation needed in management of variation type. For this, floor plans of thirteen middle schools located in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a successful conversion to block system according to each subject after remodeling in the schools of our country, however, a monotonous spacial composition excluded other spaces such as media space, teachers' station and preparation room was also shown. These mentioned spaces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investigated schools of Japan. By the results of the spacial composition about each space required to the management of variation type, a space share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movement, had shown comparatively low share before remodeling, was improved to 6% and 11.6%, respectively. However, the spacial share of two areas were 16.8% and 12.9%, respectively, in the schools of Japan and it meant the distribution of area was more even than the cases of our country.

  • PDF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화학 교사에게 필요한 실험 능력 (Identification of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y to Carry-out Experimentation)

  • 박현주;정대홍;노석구;임희준;한재영;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65-773
    • /
    • 2009
  • 이 연구는 중등 화학 교사 전문성 및 지향점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실험 수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에 대한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 교과서 실험 분석, 과학 교사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한 연구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 규명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크게 네 개의 단계(실험 수업 준비, 실험 수행 및 정리, 실험실 관리, 실험실 안전 관리)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험 능력에 관련된 소영역과 세부 내용 요소를 선별 ․ 수정하여 재배치하였다. 실험실 안전 관리는 실험실 및 실험 활동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화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험 능력은 실험 수업 지도를 전제로 하여 교사 스스로 실험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으로, 시약 및 측정기기 사용, 시료 준비, 실험 설계, 바른 실험 습관 및 숙련도, 자료 정리, 분석 및 추론, 그리고 실험실 관리 및 실험실 안전 관리에 관련된 능력으로 특정지어 질 수 있다.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화주의 관점에서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Pedagogical Meaning of Flipp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Dialogism)

  • 박양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3-179
    • /
    • 2017
  • 본 논문의 목적은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의 관점에서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플립러닝의 등장은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연유한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교육적 시공간을 재배치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기존의 경직된 관점에 균열을 불러일으킨다. 새롭게 출현한 융합적 시공간 안에서 플립러닝은 수업 안과 밖의 활동을 뒤바꾸고, 강의 중심을 활동 중심으로 역전시키며, 교사와 학생의 위상과 역할을 새롭게 규정한다. 이러한 플립러닝의 시도는 대화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다음의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교육적 대화의 과정을 수업의 전면으로 부각시킨다. 둘째, 교육적 대화에의 참여가 확장 강화된다. 셋째, 지식에 대한 기존의 권위를 해체한다. 넷째, 학습자 자신의 목소리에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교육적 대화에서의 학습자 주도성을 높인다.

ALP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P Model-Applied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 하지훈;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25-103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의 이점과 한계를 분석하여 실제수업 적용에 효율적인 ALP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새로운 모형과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ADDIE 모형을 기초로 하였다. 먼저 거꾸로 수업의 어려움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새 모형의 주요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 요소들을 수업의 흐름에 따라 재배치함으로써 ALP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요약 강의 참여 단계(Attending a Short Lecture), 갭(gap) 이용 추가 학습 단계(Learning More in a Gap), 학생 중심 학습 수행 단계(Performing Student-centered Learning)의 3단계로 구성된다.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모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LP 모형을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와 실험집단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꾸로 수업의 어려움을 분석한 논문을 살펴본 결과 수업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주로 사전학습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구조적인 변화를 주어 사전학습의 동영상 강의 부분을 다시 교실로 가지고 오고, 자율적인 추가 학습 부분을 교실 밖에 유지하였다. 이를 통해 거꾸로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학생중심학습 시간의 증대를 꾀하고, 거꾸로 수업의 사전학습에서 교사의 준비 부담과 학생의 참여 관련 어려움을 줄이고자 하였다. ALP 모형을 적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에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측면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부 결과에서는 표와 그림 형태와 주장형과 정당화 유형에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학생중심학습의 시간과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나 면담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