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사임용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xploring the Core Keyword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A Mixed Method of Content and Text Network Analyses (중등학교 가정과교사 임용시험의 핵심 키워드 탐색: 내용 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Mi Jeong, Park;Ju, Han
    • Human Ecology Research
    • /
    • v.60 no.4
    • /
    • pp.625-64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ends and core keyword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using content analysis and text network analysis. The sample comprised text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1st selection test for the 2017-2022 school years. Determination of frequency of occurrence, generation of word clouds,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NetMiner 4.4.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questions and scores for each subject (field) has remained constant since 2020, unlike before 2020. In terms of subjects, most questions focused on 'the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mong the evaluation content elements, the highest percentage of questions asked was for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ractice'. Second, the network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covering the 2017-2022 school years has an extremely weak density. For the 2017-2019 school years, 'learning', 'evaluation', 'instruction', and 'method' appeared as important keywords, and 7 topics were extracted. For the 2020-2022 school years, 'evaluation', 'class', 'learning', 'cycle', and 'model' were influential keywords, and five topics were extra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new research method combining content analysis and text network analysis and prepared basic data for the revision of the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A Study on Employment Analysis of Graduates Major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ase of K University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 Lee, Jo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125-139
    • /
    • 2012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graduate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 Universit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mployment of those graduates, and to propose approaches to improve employment. Among 178 graduates getting a job for five years from August 2006 to February 2011, 65% of them was employed, 32% was not employed, and 3% continued further study, The 116 graduates employed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40% are full-time employees and 60% are part-time workers. For workplace types, 29% worked in general companies and 16% worked in public libraries. 10% worked in school libraries and college libraries. Those who worked in administrative divisions in colleges or schools comprised 9%. Those who worked in public organizations and publishing companies/bookstores were 6% each. 5% worked in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case of duties, 38% were librarians. 30% were engaged in office work. Those in sales/administration were 7%. Tellers/salesperson comprised 7%. 5% worked as teaching assistants and 3% worked in the web or in IT related businesses. Those who worked in private institutes and product planning/design comprised 2% each. Teacher librarians, day care center teachers, secretaries, company newsletter reporters, soldiers and self-employed workers were 1% for each. As a result, the major congruence was around 40%. For the career which the (56) unemployed desired, 57% prepared themselves for employment and 21% prepared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ose who prepared for teacher recruit examination and who weren't confirmed were 11% for each.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high unemployment to 32%, higher employment as part-time workers than full-time workers, and major congruence of just around 40%. As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actively create jobs, make the students majoring in LI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jobs related to information science, develop jobs related to LIS on the academic level and provide guidance to graduates.

사학연금 가입자들을 위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eong-U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47-102
    • /
    • 2017
  • 오늘날 대다수의 선진 국가들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자국의 노후소득보장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서도 지난 2015년 사학연금제도의 개혁이 이러한 취지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문제가 단순히 노인부양비용의 증가 그 자체가 아니라, 평균수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늘어나게 된 노후의 삶에 대한 시간적 배분이 근로와 여가에 걸쳐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적 부양을 필요로 하는 노후의 여가만 일방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생애근로기간의 연장을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개인별로 건강상태나 가족상황 등의 이유로 생애근로주기의 연장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하여 별도의 제도적 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보면, 고령화 사회의 노동시장 문제는 개인별로 다양한 욕구나 능력을 반영하여 각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연금수급연령 상향조정의 필요성을 사학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득공백문제와 연금가입경력 공백문제 등 제반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략적으로 사학연금제도에 있어서 점진적 퇴직모형은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 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법정연금수급연령이 60세로 유지되는 2022년까지의 단기적 대책으로서 여기서 점진적 퇴직의 자격연령은 모든 가입자에게 60세로 적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입자들의 신분구분에 따라 각각 교수 5년, 교원 2년(문제해결에 대한 정책적 의지에 따라 이행구간을 확장할 수도 있음) 그리고 교직원 0년의 조기의 점진적 퇴직이 허용되므로, 현재 교원이나 교수의 임용대란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2023년 이후 2033년 사이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단계에 해당되는 기간 동안의 대책으로서 여기서는 교수, 교원, 교직원에게 적용되는 정년연령과 매년도 법정연금수급연령 사이의 기간을 조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으로 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행구간에 상당하는 기간만큼 후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그에 적절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2033년 이후부터는 교수, 교사, 교직원의 신분구분 없이 모두에게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65세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5년은 사학연금의 적용을 받는 조기의 점진적 퇴직 그리고 그 이후의 5년은 국민연금의 적용을 받는 후기의 점진적 퇴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체 10년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 동안 개인별로 퇴직시점이나 퇴직형태의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험수리의 원칙에 입각한 감액률 또는 가산율의 엄격한 적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고령계층이 자신의 근로시간을 단계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득의 감소부분은 별도의 제도적 방법(가교연금, 시간가치적립계정 등)으로 충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점진적 퇴직제도의 운영방식은 근로시간의 단축뿐만 아니라 작업부담의 경감 등에 대해서도 인정을 해주도록 해줌으로써 임금피크제도의 기능과 연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